• 제목/요약/키워드: Intra Coding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1초

Reduced-Resolution Intra Block Coding Mode

  • Park, Sung-Jae;Nam, Jung-Hak;Sim, Dong-Gyu;Oh, Seoung-Jun;Hong, Jin-Woo
    • ETRI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0-82
    • /
    • 2009
  • In this letter, a new intra-block coding mode is presented to improve the coding efficiency for band-limited signals. A band-limited block is sub-sampled, and the sub-sampled signal is coded on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prediction/transform coding. The rest of the samples are reconstructed by interpolation at the decoder side without any side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coding gains of 2.7% for common intermediate format (CIF), 4.29% for quarter CIF, and 6.39% for 720p60 sequences against the H.264/AVC JM10.2 reference software.

  • PDF

비디오 해상도 및 양자화 파라미터를 고려한 HEVC의 화면내 부호화 복잡도 감소 기법 (Scheme for Reducing HEVC Intra Coding Complexity Considering Video Resolution and Quantization Parameter)

  • 이홍래;서광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836-846
    • /
    • 2014
  • 최근 초고해상도(UHD: Ultra High Definition) 영상 서비스의 확산을 위하여 기존의 비디오 압축 기술인 H.264/AVC 대비 두 배이상의 압축 성능을 가지는 HEVC (High-Efficiency Video Codec)의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그러나 높은 압축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기법들이 많이 도입되어 HEVC의 부호화 복잡도는 H.264/AVC보다 크게 증가되었다. 예로써 HEVC의 화면내 예측 부호화는 예측 모드을 최대 35개까지 확장함으로써 기존 H.264/AVC에 비해서 향상된 부호화 효율을 갖지만 화면내 부호화의 복잡도는 크게 증가되어 복잡도 감소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화면내 예측 부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 35가지를 비디오 해상도와 양자화 파라미터 크기를 고려하여 4개의 세트로 분류하고 비디오 해상도에 따른 PU (Prediction Unit)의 크기의 점유율에 따라 예측 모드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대략 2%의 BD-rate 증가로 부호화 시간을 7% 가량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Deep Learning-Based Rate Control for HEVC Intra Coding

  • Marzuki, Ismail;Sim, Donggyu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0-181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rate control algorithm for intra coding frame in HEVC encoder using a deep learning approach.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for CTU level bit allocation in intra frame by considering visual features spatially and temporally. Our features are generated using visual geometry group (VGG-16) with deep convolutional layers, then it is used for bit allocation per each CTU within an intra frame.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proposed algorithm can achieve -2.04% Luma component BD-rate gain with minimal bit accuracy loss against the HM-16.20 rate control model.

  • PDF

Adaptive Scanning for H.264/AVC Intra Coding

  • Lee, Yung-Lyul;Han, Ki-Hun;Sim, Dong-Gyu;Seo, Jeong-Il
    • ETRI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668-671
    • /
    • 2006
  • In this letter, an adaptive scanning that improves intra coding efficiency in the H.264/AVC standard is proposed. The proposed adaptive scanning utilizes the prediction directions (modes) that inclu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information in a block. Depending on the prediction directions, the proposed method uses three scanning methods: zigzag scanning, horizontal scanning, and vertical scanning. In the proposed method, horizontal and vertical scanning are us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prediction modes, respectively, and the normal zigzag scanning in the H.264 standard is used in all other intra prediction modes.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bit rate by approximately 2.5% compared with H.264/AVC, without the degradation of video quality.

  • PDF

JM KTA 소프트웨어에서 인트라 및 인터 예측블록이 혼합된 코딩 방법 (Adaptive Combination of Intra/Inter Predictions in JM KTA Software)

  • 김민재;서찬원;장명훈;한종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0-20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KTA 소프트웨어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적응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확장된 매크로 블록 내에서 인터 예측 블록들을 먼저 부호화 및 복호화한 후 그 복원값들을 인트라 예측 부호화 과정에서 이용한다. 기존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서는 현재 블록의 우측과 하단에 위치한 화소들을 이용하지 못하였으나,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현재 부호화하려는 블록의 상단과 좌측뿐만 아니라 우측 또는 하단의 복호화가 완료된 화소를 이용하여 양방향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양방향 예측 필터를 디자인하였고, 확장 매크로블록 내의 매크로블록들의 적응적인 코딩 순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신택스 구조를 수정하였다. 컴퓨터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기술에 비해 압축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VC 스크린 콘텐츠 코딩 성능 향상을 위한 화면 내 블록 카피 기술 분석 (Intra Block Copy Analysis to Improve Coding Efficiency for HEVC Screen Content Coding)

  • 마종현;안용조;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6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CC (screen content coding)의 화면 내 블록 카피 (IBC: intra block copy) 기술의 소개와 분석을 통해 성능향상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분석을 위해 HEVC SCC 참조 소프트웨어인 SCM 2를 사용하며, HEVC SCC에 새롭게 채택된 예측 모드인 IBC의 선택 비율과 IBC의 블록 벡터 예측 방법 및 블록 벡터 부호화 방법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IBC의 선택 비율은 I-Slice와 B-Slice에서 각각 평균 31.08%와 0.33%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IBC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면 부호화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블록 벡터 예측 방법과 블록 벡터 부호화 방법에 대한 분석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이 스크린 콘텐츠 특성이 강항 영상에 대해 효율적이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인접 화소 성분 분석을 이용한 H.264/AVC에서의 Intra 예측 정보 생략 (Intra Prediction Information Skip using Analysis of Adjacent Pixels for H.264/AVC)

  • 김대연;김동균;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1-279
    • /
    • 2009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과 Video Coding Experts Group (VCEG)은 기존의 MPEG-4와 H.263 표준안보다 우수한 비디오 압축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새로운 표준안은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 이라 하며, MPEG-4 Part 10과 ITU-T Recommendation H.264로 공동 발표 되었다. H.264/AVC에는 9가지의 모드를 가진 $Intra4{\times}4$ 예측 부호화가 존재하는데, 이는 영상의 공간적인 상관성을 이용한 압축 부호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접 화소들의 유사성을 이용한 ABS (Adaptive Bit Skip) 모드를 제안함으로써, 적응적으로 intra mode bit를 생략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R-D 곡선 상에서 평균 약 0.2 dB의 PSNR (Peak signal-to-noise ratio) 향상이 있었고 평균 약 3.6%의 비트율을 절약하였다.

VVC의 화면 내 예측에서 적응적 TBC를 사용하는 방법 (Adaptive TBC in Intra Prediction on Versatile Video Coding)

  • 이원준;박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9-112
    • /
    • 2020
  • VVC는 화면 내 예측에서 67가지의 모드를 사용한다. 이때 화면 내 예측 모드 표현을 위한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MPM(Most Probable Mode)을 사용한다. 시그널링 되는 모드가 MPM 후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MPM 리스트의 해당 index를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MPM 후보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TBC 부호화를 적용한다. 화면 내 예측에서 TBC가 적용될 때 MPM 후보를 제외하고 낮은 번호의 모드 순서대로 3가지가 선택되어 5비트로 부호화되고 나머지 모드는 6비트로 부호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VVC의 화면 내 예측에서 사용하는 TBC 기술의 한계점을 알아보고 화면 내 예측에서 TBC를 사용할 때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으로 부호화 할 수 있는 적응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기존의 부호화 방법과 비교해서 overall 부호화 성능이 AI와 RA에서 각각 0.01%, 0.04%의 부호화 효율이 증대되었다.

Fast Quadtree Structure Decision for HEVC Intra Coding Using Histogram Statistics

  • Li, Yuchen;Liu, Yitong;Yang, Hongwen;Yang, Dac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5호
    • /
    • pp.1825-1839
    • /
    • 2015
  • The final draft of the latest video coding standard,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was approved in January 2013. The coding efficiency of HEVC surpasses its predecessor, H.264/MPEG-4 Advanced Video Coding (AVC), by using only half of the bitrate to encode the same sequence with similar quality. However, the complexity of HEVC is sharply increased compared to H.264/AVC.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decrease the complexity of intra coding in HEVC. Early pruning and an early splitting strategy are applied to the quadtree structure of coding tree units (CTU) and residual quadtree (RQT). According to our experiment, when our method is applied to sequences from Class A to Class E, the coding time is decreased by 44% at the cost of a 1.08% Bjontegaard delta rate (BD-rate) increase on average.

주변 인트라블록 예측 모드의 통계적 분포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트라 $4{\times}4$ 예측 모드 부호화 방법 (Efficient Coding Technique for Intra Prediction Modes Us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tra Modes of Adjacent Intra Blocks)

  • 김재민;전주일;강현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49-950
    • /
    • 2008
  • The intra prediction technique is the one of the key factors to the success of H.264. There are nine optional prediction modes for each $4{\times}4$ luma block and 4 modes for each $16{\times}16$ luma block. To reduce the intra mode bits efficiently, the most probable mode (MPM) is estimated by using the intra modes of the adjacent blocks, since intra modes for neighboring $4{\times}4$ luma blocks are correlated.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estimating the MPM is proposed by us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intra modes of adjacent intra block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a coding gain of about 0.1d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