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Utilization Abilit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민간경비 종사자의 ICT직무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CT Curriculum for Private Security Workers)

  • 심현;권경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97-404
    • /
    • 2019
  • 본 연구는 아파트 경비원들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ICT직무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파트 민간경비종사자의 대다수가 노인인 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교육을 위한 ICT직무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만족도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평균 4.00점대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노인정보화 교육프로그램 정성적 평가 검사 도구를 활용해 교육프로그램 투입 전 후로 실험집단의 인터넷 자기 효능감, 인터넷 활용능력 향상, 인터넷 이용용도 인지, 개인정보화 의지, 생활교정, 세대 간 갈등해소, 자신감, 인터넷 스트레스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민간경비 ICT직무교육" 교육프로그램이 노인정보화에 효과적이며 다른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및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 권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19
    • /
    • 2022
  •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 문제인 디지털정보격차가 사회·문화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대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격차수준을 파악하고 정보의 접근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특성이 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정보격차는 감소하고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정보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세부적인 계층별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와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취약계층의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디지털 포용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정보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구급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mergency big data)

  • 이성연;권유진;임동오;김민규;박희진;권혜란;주영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5
    • /
    • 2016
  • Emergency statistics for cities and provinces are currently derived using simple results of comparative numerical data, but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to analyze and compare deviations relevant to a specific city and province. This study aims to derive various correlatio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emergency and rescue data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o develop an analytical model that can be applied nationwide. With the new statistical model, further detailed analysis is possible beyond simple evaluation of rescue data, through links to other institutions and analyses using keywords from Internet portal sites and social networks. Second, a system which that can analyze data that are not shared is required. Through this system,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automatically analysed in real time. Third, the results should flow back for application in various policies. A real-tim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reated for abnormal patterns of disease. In addition, the results should be available to tailor services for individuals, communities, or specific organizations.

수산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통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 Utilization Method of Marine Information - on the basic of the Area, Tong-Yeong -)

  • 박연식;이상욱;김영수;정근회;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1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어업, 양식업, 수산물 유통, 수산 관계 기관을 대상으로 통영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취급되어지는 수산물 분포 및 유통을 통한 주요 수산업의 동향을 파악하여, 생산자들과 수요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실용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터넷 환경하에서의 수산물 직거래 유통 시스템의 구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은 분산처리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지역 정보 센타의 서버는 각각의 서버들이 감당하기 곤란한 기능들을 상호 보완하여 운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Handover Call Admission Control for Mobile Femtocells with Free-Space Optical and Macrocellular Backbone Networks

  • Chowdhury, Mostafa Zaman;Saha, Nirzhar;Chae, Sung-Hun;Jang, Ye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권1호
    • /
    • pp.19-26
    • /
    • 2012
  • The deployment of mobile femtocellular networks can enhance the service quality for the users inside the vehicles. The deployment of mobile femtocells generates a lot of handover calls. Also, numbers of group handover scenarios are found in mobile femtocellular network deployment. The ability to seamlessly switch between the femtocells and the macrocell networks is a key concern for femtocell network deployment. However, until now there is no effective and complete handover scheme for the mobile femtocell network deployment. Also handover between the backhaul networks is a major concern for the mobile femtocellular network deploy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handover control between the access networks for the individual handover cases. Call flows for the handover between the backhaul networks of the macrocell-to-macrocell case are proposed in this paper. We also propose the link switching for the FSO based backhaul networks. The proposed resource allocation scheme ensures the negligible handover call dropping probability as well as higher bandwidth utilization.

메타버스(가상·증강·혼합·확장현실)를 이용한 운동재활의 활용 방안 (Utilization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Metaverse (VR·AR·MR·XR))

  • Yang, Jeong Ok;Lee, Jook Soo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9-258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using virtual reality or metavers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n order to help the disabled or elderly patients with exercise rehabilitation, and suggest a method for using metavers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Method: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discuss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exercise rehabilitation through electronic search of recently published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s, and internet websites,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lan using the metaverse was proposed. Results: In the case of domestic research, the diversity of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echnology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was not secured, but recently, virtual reality or metaverse-related technologies were developed and specialized in a form suitabl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n the case of overseas studies, it was analyzed that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metaverse games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can help improve brain, physical ability, and anti-aging by activating the body and mind. Conclusion: Smart metaverse health care is actively introduced to exercise rehabilitation, metaverse telemedicine business is applied to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digital twin games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developed by metaverse related companies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If customized smart metaverse healthcare is used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t is analyzed that it can lead this field.

확장된 강화학습 시스템의 정형모델 (Formal Model of Extended Reinforcement Learning (E-RL) System)

  • 전도영;송명호;김수동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3-28
    • /
    • 2021
  • 강화학습은 한 환경에서 에이전트가 정책에 따라 액션을 취하고 보상 함수를 통해 액션을 평가 및 정책 최적화 과정을 반복하는 Closed-Loop 구조로 이루어진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강화학습의 주요 장점은 액션의 품질을 평가하고 정책을 지속적으로 최적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화학습은 지능형 시스템, 자율제어 시스템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강화학습은, 단일 정책, 단일 보상함수 및 비교적 단순한 정책 업데이트 기법을 제한적인 문제에 대해 제시하고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요소의 복수성을 지원하는 확장된 강화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확정 강화학습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그들의 컴퓨팅 모델을 포함하는 정형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이 정형모델을 기반으로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로 자율 최적화 자동차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적용 및 실험을 진행한다. 제시된 정형 모델과 설계 기법을 적용한 사례연구로, 복수의 자동차들이 최적 목적지에 단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진화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진행한다.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공중보건의 대상 의료장비 원격교육 (Remote Medical Equipment Training for Public Health Doctors in Vulnerable Medical Areas Using Smart Glasses)

  • 최종명;최소은;문지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5-80
    • /
    • 2023
  • 국내 의료취약지에서 공중보건의는 지역민의 일반의료는 물론 응급의료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공중보건의는 일반적으로 현장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응급 환자에 대한 대처 능력이 부족하고, 의료장비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중보건의에게 필요한 의료장비에 대한 사용법을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으로 진행 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의료장비 활용 교육을 위해서 스마트 글래스는 리얼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신안군 10개의 섬 지역 공중보건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 후 장비 활용 효과와 만족도 모두 3점 이상이었다. 따라서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원격교육이 의료취약지의 공중보건의를 대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Generating Radiology Reports via Multi-feature Optimization Transformer

  • Rui Wang;Rong Hu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0호
    • /
    • pp.2768-2787
    • /
    • 2023
  • As an important research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computer science in the medical field, the automatic generation technology of radiology report has attracted wide attention in the academic community. Because the proportion of normal regions in radiology image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abnormal regions, words describing diseases are often masked by other words, resulting in significant feature loss during the calculation process,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generated reports. In addition, the huge difference between visual features and semantic features causes traditional multi-modal fusion method to fail to generate long narrative structures consisting of multiple sentences, which are required for medical repor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propose a multi-feature optimization Transformer (MFOT) for generating radiology reports. In detail, a multi-dimensional mapping attention (MDMA) module is designed to encode the visual grid features from different dimensions to reduce the loss of primary features in the encoding process; a feature pre-fusion (FP) module is constructed to enhance the interaction ability between multi-modal features, so as to generate a reasonably structured radiology report; a detail enhanced attention (DEA) module is proposed to enhance the extraction and utilization of key features and reduce the loss of key features. In conclusion,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odel against prevailing mainstream models by utilizing widely-recognized radiology report datasets, namely IU X-Ray and MIMIC-CXR. The experimental outcomes demonstrate that our model achieves SOTA performance on both datase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 the average improvement of six key indicators is 19.9% and 18.0%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bstantiate the efficacy of our model in the domain of automated radiology report generation.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ICT 활용 학습의 유형과 특징: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Using I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 허신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3-161
    • /
    • 2022
  • 현행 국가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에게 길러야 할 핵심 역량으로 '정보활용능력'을 명시하였다. ICT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된 된 상황에서 이 능력은 전통적인 교육에서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만큼이나 기초적이고 필수적이 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학습자의 기초 능력과 사회변화에 필요한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초등사회과교육 과정에서 ICT 활용 학습의 특징을 검토하고, 이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습단원에 ICT 활용 학습이 배치되었으나, 주를 이룬 것은 '검색하기'와 '영상시청하기' 활동이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가장 초보적인 수준에 해당하는 '접근'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상위의 단계인 '이해'와 '창작'에 해당하는 활동은 매우 드물었다. 이는 그동안의 ICT 교육에 대한 성찰 과제를 남겼다. 단지 ICT 사용의 빈도수를 늘이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목적을 둔 학습으로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ICT 학습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은 다르게 계발되기 때문이다. 넷째, 디지털 자료 활용에 대한 책임감과 윤리의 문제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능력으로 포함시켰던 유네스코의 제안을 적극 수용하여, 이를 학습의 내용과 활동으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