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Art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3초

컨버전스시대 감성영역의 확장과 산업활용 -Sommerer와 Mignonneau의 인터넷 아트 분석을 중심으로- (Expansion of Sensibility Area and Industrial Application in the Convergence Era - With Special Reference to Analysis of the Internet Arts of Sommerer and Mignonneau -)

  • 김희영;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46-154
    • /
    • 2010
  • 오늘날 '컨버전스'와 '소통'은 모든 분야에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예술가와 공학자는 새로운 기술에 기반을 둔 협업을 통해 그 동안의 상호단절에서 벗어나 점차 소통하고 있다. 컨버전스 시대에 예술 영역의 인터넷 아트와 기술 영역의 내비게이션과 아이폰에서 오감융합기술의 활용이 돋보인다. 소메라와 미뇨노의 인터넷 아트 $\ll$Riding the Net$\gg$, $\ll$The Living Room$\gg$, $\ll$The Living Web$\gg$은 음성인식을 통한 시각이미지와 촉각을 통한 시 공간 표현을 인터넷과 오감융합기술을 통해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산업기술에서 내비게이션과 아이폰은 음성인식을 통한 오감융합기술을 적용하여 감성영역을 확장하여 인터넷 아트와 비슷한 기술을 선보인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과 기술의 융합적 발전은 디지털 아트와 문화기술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보인다.

Research on the impact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al communication

  • Sun, Xiangbo;Hong, Chang-k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70-78
    • /
    • 2023
  • Culture is the soul of tourism, and communication is the key to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ourism culture. Therefore, culture 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Digital media art is a new form of art that combines technical, artistic, and media-oriented elements. Its artistic expression and crossover communication capabilities drive its usage in cultural tourism communi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by elucidat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igital media art, applying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in terms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relationship, content, medium, and effect. The role and value of digital media art in disseminating and developing tourism culture are discussed. We aim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issemination of tourism culture.

A Research of User Experience on Multi-Modal Interactive Digital Art

  • Qianqian Jiang;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1호
    • /
    • pp.80-85
    • /
    • 2024
  • The concept of single-modal digital art originated in the 20th century and has evolved through three key stages. Over time, digital art has transformed into multi-modal interaction, representing a new era in art forms. Based on multi-modal theor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gital art in innovative art forms and its impact on user experience. Through an analysi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multi-modal interactive digital art, this study summarises the impact of creative models of digital art on the physical and mental aspects of user experience. In creating audio-visual-based art, multi-modal digital art should seamlessly incorporate sensory elements and leverage computer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cusing on user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cultural communication, it strives to establish an immersive environment with user experience at its core. Future research, particularly with emerging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AR) and Virtual Reality(VR), should not merely prioritize technology but aim for meaningful interaction. Through multi-modal interaction, digital art is poised to continually innovate, offering new possibilities and expanding the realm of interactive digital art.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 예술치료 연구동향: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or Internet Addiction in Korea: from 2000 to 2015)

  • 박윤미;정미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3-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에 관한 예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인터넷 중독 관련 예술치료 분야의 발전적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5년 동안의 인터넷 중독의 예술치료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선행연구들의 분류기준을 수정 보완하여, 연구대상(연령, 성별, 실험 집단의 인원 수), 연구내용(예술치료 기법 수. 예술치료 기법 종류, 연구영역, 연구주제), 연구방법(연구유형, 연구설계, 측정방식, 치료회기)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국내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중독에 관한 예술치료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Analysis of Visual Art Elements of Game Characters Illustrated by the Case of Glory of Kings

  • He, Yangyang;Choi, Chul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213-219
    • /
    • 2020
  • Visual art elements can most intuitively express the information expressed by a game character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a successful game character. We compares and analyzes the role design in the skins of the "Five Tiger-like Generals" series in Glory of Kings in terms of color, line, graphic and other visual elements. Different visual elements form different visual impacts and influences, which brings people different psychological feelings and presents different emotional colors. The reasonable use of visual elements gives people a refined visual experience and a comfortable psychological feeling, adding more influencing factors to the "immersion" of the game. It not only can strongly attract the attention and love of players, but also spreads traditional culture of the nation and the country. Therefore, whether the visual art elements of a game character can be appropriately used is an important part of the success of the game work. The analysis of visual art elements of game characters has important learning and research value.

A Study on the Scalability of Design Content Using Pixel Art

  • Qianqian Jiang;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60-165
    • /
    • 2023
  • The pixel art style evolved from the shortcomings of computer image display technology has gradually transformed from a technical limitation into a widely recognized form of artistic expression since develop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analyzes the ap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ability of pixel art style design content in sub industries such as physical goods, environmental design, website design, digital art and illustration in the design field. It aims to explore the visual express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m of pixel art style under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that contradicts traditional technological concept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pixel art style generally pursues external visual features such as pixelated visual effects, sawtooth and matrix arrangements, its expansion in the art field shows a unique diversity of visual expressions. It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convey nostalgic emotions and cultural value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inspire more academic researchers and technology practitioners to explore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pixel art style in emerging fields and promote its innovative application in design practice.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특징과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pplication of the Image in Post-Internet Art)

  • 노아영;이정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47-357
    • /
    • 2020
  • 본 연구는 '포스트-인터넷 아트'라는 맥락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매개로 한 이미지의 실체에 대해 알아보고, 작품 이미지 안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류·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웹2.0의 배경과 확장된 디지털·네트워크 환경을 포괄하는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 이미지는, 고정된 형태를 넘어 다양한 포맷으로 변형·재매개되는 성격을 지닌다. 특히 디지털상에서 저화질로 복제·다운로드·재편집되는 이미지를 히토슈타이얼은 '빈곤한 이미지'라 명명하였으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젊은 작가들은 변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포착·재맥락화하고, 다양한 이미지로서 묘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적용을 SNS, 운영체제, 웹사이트에서 발견한 이미지를 수집 후 재구성한 '질료로서 수집된 이미지', 편집프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가공·재맥락화한 '작업에서 가공되는 이미지', 디지털 사회의 단면을 가상과 실재가 결합된 영상·이미지로 나타낸 '혼합된 디지털-현실 이미지'로 분류·분석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마케팅의 성공: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의 사례 (A Service Marketing Success Using Internet of Things: The Case of Cleveland Museum of Arts in the United States)

  • 주미경;김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49-555
    • /
    • 2016
  • 이 논문의 목적은 미술관 방문 및 참여 증가 요인이 사물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마케팅 강화에 있다고 보고 이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도입 후 제공된 클리블랜드 미술관 서비스의 내용과 그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한국의 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저널논문, 통계, 기관 및 정부의 보도자료, 뉴스기사, 웹문서, 웹페이지 기사를 수집하여 참조한다. 분석결과는 첫째,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의 적용은 미술관 방문 및 재원 창출에 긍정적이다. 둘째, 사물인터넷의 도입은 미술관의 '교육', '접근성', '의사소통' 서비스의 강화는 물론 체험을 활성화시켜 온 오프라인 참여를 증가시킨다. 셋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방정부의 자금지원과 관련업체의 기술지원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론으로 사물인터넷 불모지나 다름 없는 국내 미술관에 관람객의 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이와 같은 디지털기술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안한다.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게임과몰입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Aggre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Immersed in Internet Games)

  • 이건욱;이현미;신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769-778
    • /
    • 2016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게임과몰입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의 H지역아동센터, Y시의 G지역아동센터 초등학생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4일부터 2016년 2월 15일까지 주 2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인터넷게임중독 척도, 공격성 척도,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시시기와 집단에 따른 차이를 반복측정 변량분석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실시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게임과몰입 초등학생의 공격성 완화와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인터넷게임과 몰입 초등학생의 공격성 완화와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게임과몰입 초등학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본 프로그램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Cellular-Phone Addiction and the Personal Data Leakage of Modern Society

  • Lee, Joohun;Baek, Jis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65-72
    • /
    • 2015
  • Alth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has brought great convenience in modern lives, amongst the aggravated complexit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modern minds who have failed to create genuine relationships undergo a sense of alienation and solitude that may appear as a type of social pathology called cellular-phone addiction. Also, while the emergence of the information age seemingly brings about benefits including diverse acquisition regarding knowledge and broader communication, underneath exists side effects involving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Especially, being excessively addicted to relationship network may induce one to become insensitive towards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without recognizing, and thereby instigating yet another social problem. Media art is very practical in terms of suggesting a critical perspective concerning social phenomena and elevating them into a work of art by rendering them artistically. Particularly, when social problems of the modern days are express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media art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foundation that will enable them to sympathize without hostility. This dissertation calls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problems regarding cellular-phone addiction and possible hazards of information leakage based on media art, while at the same time propos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a media art work that attempts to raise awareness and sympathy on such soci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