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1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32초

Expression of the Functional Recombinant Interleukin-16 in E. coli and Mammalian Cell Lines

  • Kim, Seon-Young;Lee, Chang-Hun;Kim, Kyung-Joo;Kim, Yeo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34-241
    • /
    • 2001
  • The C-terminal 393 bp region of the human interleukin-16 (IL-16) gen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along with mammalian cell lines. Recombinant IL-16 expressed from E. coli was 22 kDa on SDS-PAGE and showed 260% of chemoattractant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0.1\;{\mu}g/ml$. HeLa, COS, and Neuro-2a cells were transduced by recombinant retrovirus vector pLNC/IL-16/IRES/TK and the intracellular and secreted amounts of IL-16 produced by HeLa/IL-16/TK, COS/IL-16/TK, and Neuro-2a/IL-16/TK cells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HeLa/IL-16/TK $(1{\times}10^5)$ and COS/IL-16/TK $(1{\times}10^5)$ cells secreted 36.1 and 13.3 ng of IL-16 for 48 h, respectively. Forty-nine ng and 86.4 ng of IL-16 remained in the cell lysates of HeLa/IL-16/TK and COS/IL-16/TK. Intracellular and secreted amounts of IL-16 from Neuro-2a/IL-16/TK $(5{\times}10^5)$ cells during 24 h cultivation were 50 ng and 3.3 ng, respectively. Also, HeLa and COS cells wee stably transfected with mammalian expression vector pCRIII/IL-16. Both culture media and cell lysates prepared from HeLa/IL-16 cells and COS/IL-16 cells showed chemoattractant activity ranging from 190% to 460%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periment. Expression of the herpes simplex virus thymidine kinase (HSV0tk) gene in pLNC/IL-16/ IRES/TK bicistronic retroviral expression vector was verified by performing a genciclovir (GCV) sensitivity assay. Finally, IL-16 repressed Tat-transactivate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long terminal repeat (HIV-1 LTR) promoter activity.

  • PDF

혈관내피세포에서 트롬빈이 TNF-$\alpha$에 의해 유도되는 IL-6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rombin on the TNF-$\alpha$ Induced IL-6 Production in HUVECs)

  • 배종섭;박문기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11-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저농도의 트롬빈이 TNF-$\alpha$가 NF-kB의 활성화를 통해 생성되는 IL-6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TNF-$\alpha$는 혈관내피세포에서 NF-kB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을 유발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TNF-$\alpha$가 매개하는 염증작용에서 저농도의 트롬빈은 TNF-$\alpha$가 생성시키는 IL-6의 생성량을 감소시켰고, 여기에는 트롬빈의 수용체인 PAR-1이 작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세포내의 PI3-Kinase 역시 저농도 트롬빈이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저농도의 트롬빈이 수용체인 PAR-1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PAR-1 은 PI3-Kinase의 활성화을 통해 항염증작용을 보여준디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향후 중증 패혈증 및 각종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에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혈관내피세포에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트롬빈의 염증작용 및 항염증작용의 기전을 밝히는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Caffeine이 지방세포주 3T3-L1 분화에 미치는 영향: 영양유전체학적 접근 (The Effect of Caffeine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 A Nutrigenomical Approach)

  • 김미자;김영옥;정주호;김종우;김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49-655
    • /
    • 2005
  • Nutrigenomics refers to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nutrition and the human genome. Caffeine in tea and coffee is widely and routinely consumed by peop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caffeine treatment on the gene expression and cytokine profiling in 3T3-L1 adipocyte cells using microarray and protein array methodology. Treatment of caffeine in 3T3-L1 adipocyte cells increased expression of several genes related with obesity including adipocyte C1Q and collagen domain containing (ACDC), Adipsin (ADN), uncoupling protein 3(UCP3), whil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which is known as lipid storage enzyme, was decreased by caffeine treatment. Furthermore,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3 (IL-3), interleukin-12(IL-12), interleukin-13 (IL-13),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decreased in caffeine treated 3T3-L1 adipocyte cells. These results provided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the genes related with caffeine and cytokine expression profiling in obesity.

단순 열성 경련에서 interleukin-1β promoter 유전자의 다형성 (Polymorphisms of interleukin-1β promoter in simple febrile seizures)

  • 윤장원;천은정;이영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1007-1011
    • /
    • 2008
  • 목 적 : 열성 경련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경련의 원인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6-9%의 발생율을 보인다. 열성 경련의 원인으로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열성경련과 관련된 정확한 유전자는 밝혀지지 않았다. $IL-1{\beta}$은 내인성 발열인자로서 열성 경련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방 법 : 40명의 열성경련 환아(가족형 20명, 산발형 20명)와 33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말초혈액에서 DNA를 추출했으며 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IL-1{\beta}$ gene의 -31, -511 promoter region에서 C/T biallelic polymorphism의 빈도를 대조군과 단순 열성경련 군(가족형과 산발형)으로 나누어 각각 비교해 보았다. 결 과 : 두 군간 다형성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통계학적 의의는 없으나 가족력이 있는 열성경련 군에서 CT/CT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70.0%) 측정되어 많은 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an herbal drug(s) meet the challenges of genomewide screen results on rheumatoid arthritis

  • Paul, Bholanath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251-261
    • /
    • 2005
  • Rheumatoid arthritis (RA) is an autoimmune/inflammatory disorder with a complex genetic component. RA is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of the synovial membrane in the joint, which leads to the progressive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ligament and bone. Several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and\;interleukin-1{\beta}\;(IL-1{\beta})$ and interleukin-6 (IL-6)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athological mechanisms of synovial tissue proliferation, joint destruction and programmed cell death in rheumatoid joint. Genome wide screening of subjects suffering from autoimmune diseases especially arthritis revealed linkage to inflammatory molecules like $TNF-{\alpha},\;IL-1{\beta}$ and IL-6,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human leucocyte antigen/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HLA/MHC) locus. The status of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 of herbal drugs in the light of genome wide screening results has been discussed to reinforce the therapeutic potential and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 herbal drugs.

봉독이 연골육종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Microarray 연구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Chondrosarcoma Cells Stimulated with Bee Venom)

  • 인창식;고형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28
    • /
    • 2004
  • 봉독은 관절염 치료를 비롯한 여러 질환에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기전규명과 새로운 치료효과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골의 파괴는 진행된 각종 관절병증의 공통 병리기전이며 연골세포의 기능이상은 이 기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람 연골세포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HTB-94 연골육종세포를 배양하고 봉독을 처치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microarra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4배 이상 발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보았을 때 microarray의 344개 유전자중 봉독처치시 발현이 증강되는 유전자는 없었으며 발현이 억제되는 유전자는 interleukin 6 receptor, interleukin 1 alph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matrix metalloproteinase 1, tumor necrosis factor (ligand) superfamily, members 4, 8 and 12, and caspases 2, 6, and 10등 35개가 관찰되었다. Microarray를 통한 유전자발현 분석을 통해 관절염에 대한 봉독치료의 기전을 시사하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앞으로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타리 뿌리로부터 분리한 Lignan 화합물의 IL-6 저해활성 (Ligna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atrinia scabiosaefolia F. and their IL(Interleukin)-6 Inhibitory Activity)

  • 최은진;김청룡;신지은;김현규;김정진;우은란
    • 약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01-205
    • /
    • 2009
  • In an ongoing investigation into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the $CH_2Cl_2$ soluble fraction of Patrinia scabiosaefolia F. (Valerianaceae) was found to inhibit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line. By means of a bioassay-directed chromatographic separation technique, lappaol E (1), and nortrachelogenin (2) were isolated. Thes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Compounds $1{\sim}2$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using NBT superoxide scavenging assay. Moreover, compound 1 decreased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line.

The Effect of Barbaloin on LPS-stimulated Inflammatory Reaction in Mice Peritoneal Macrophages

  • Jeon, Yong-Deok;Lee, Jo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0-286
    • /
    • 2017
  • Barbaloin is a major component of Aloe vera, which has been used for a laxative. Also, barbaloin is C-glucoside of aloe emodin anthrone which is founded in Aloe vera. Barbaloin has varieties of pharmacological activity such as inhibitory effects on inflammation, histamine release, cancer and microbial infection. But the effect of barbaloin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s has not been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barbaloin against LPS-stimulat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flammatory cytokines and MAPKs activation in macrophage. We treated barbaloin (0.1, 1, 10, $100{\mu}M$) in LPS-stimulated mice peritoneal macrophage. Our results showed that barbaloin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interleukin $(IL)-1{\beta}$ in 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Moreover, barbaloin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arbaloin could be useful for inflammatory diseases.

Treponema denticola와 Treponema lecithinolyticum의 분쇄액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nicated Extracts of Treponema Denticola and Treponema Lecithinolyticum on the Cytokine Secre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ation of Gingival Fibroblast)

  • 서혜연;최봉규;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979-99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강내 spirochetes 균중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TDC)과 가장 최근에 분리 배양된 Treponema lecithinolyticum 분쇄액(TLC)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균의 분쇄액을 치은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Interleukin-6(IL-6)와 $Interleukin-1{\beta}(IL-1{\beta})$의 분비 증가 여부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gelatinase zymography와 gelatin 분해능 측정을 통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의 하나인 pro-MMP-2(progelatinase A)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DC와 TLC가 치은섬유아세포의 IL-6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TDC 와 TLC 처치군에서 세균 분쇄액이 없는 비처치군에 비해 IL-6 분비량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2. TDC 와 TLC로 처리한 치은섬유아세포의 $IL-1{\beta}$ 분비는 측정 가능치(1pg/ml)이하의 분비량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분자량 72 kDa의 pro-MMP-2가 TDC와 TLC에 의해 활성형으로 발현되어 zymography상에서 62kDa의 위치에 clear band로 나타났다. 4. 치은섬유아세포가 분비하는 MMP-2의 gelatin 분해능이, TDC와 TLC 처치군에서 비처치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5. TDC 처치군에서는 gelatin 분해능에 있어서 세균 자체의 serin protease의 영향이 있었으나 TLC 처치군에서는 치은섬 유아세포의 MMP에 의해서만 gelatin이 분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TDC와 TLC는 치은섬유 아세포를 자극하여 IL-6 의 분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pro-MMP-2를 활성형으로 발현시켜 결합조직의 파괴를 야기함으로서 치주 질환의 병인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