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ncisal angl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비발치로 치료된 I 급 부정교합의 형태적 특성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CLASS I, NON-EXTRACTION PATIENTS)

  • 장영일;신수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3-351
    • /
    • 1998
  • 본 연구는 비발치로 치료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형태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비발치로 치료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과 치료후 안면형태를 평가하고 이를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군과 4개의 제 1소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I 급 부정교합 환자군과 비교하였다. Edgewise appliance와 MEAW를 사용하여 비발치로 치료한 환자로 치료후 비교적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갖는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14.7세 였고 평균 치료기간은 2.6년이었다 치료전과 치료후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에서 32개의 계측점을 사용하여 24항목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였다. Student t-test를 시행하여 비발치군의 치료전과 치료후의 변화, 비발치군과 정상군의 차이, 그리고 비발치군과 발치군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p{\leq}0.05$),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비발치로 치료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 ODI는 $69.9^{\circ}$, APDI는 $82.1^{\circ}$, CF는$152^{\circ}$, EI는 $152^{\circ}$ 였다. 2. 비발치군의 골격형태는 정상군과 유사하였으나 정상군보다 큰 절치간각을 보였다. 3. 발치군은 비발치군보다 돌출된 안모와 작은 절치간각, 그리고 낮은 EI를 가지고 있었다. 4. 비발치군의 치료전,후 골격형태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료후 상,하악 구치의 직립과 절치간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 개안모의 성장양상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growth pattern of craniofacial skeleton in skeletal class III)

  • 박영철;박민성;김태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51-761
    • /
    • 1998
  • 악교정 수술이 꼭 필요한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예정이거나 수술을 시행한 7-17세의 남녀 37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정상교합을 가진 8-13세의 남녀 56명을 정상군으로 하여, 두 군을 비교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epubertal Group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ANB, SN-Pog, IMPA,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2. Pubertal Group 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S-Go/N-Me, Mx. Lenth/Mn. Length, S-N/Go-Me, Wits, Saddle Angle, SNB, ANB, SN-Pog, IMPA, Interincis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Prepubertal Group과 Pubertal Group간에는 95% 유의수준에서 Mx. Length/Mn. Length, APDI 외에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실험군에서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Saddle Angle과 SNB, SN-Pog와 SNB, ANB와 Facial Convexity항목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소아(小兒)에 있어 교정전후에 악골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 (FACIAL GROWTH CHANGE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IN CHILDREN)

  • 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2
    • /
    • 1983
  • The author used cephalometric roentgenogram to observe the longitudinal change by orthodontic treatment for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in primary and mixed dentition. First, the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were measur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NA, SNB, ANB, Gonial angle, and SN to mandibular plane were measured as skeletal pattern and $\underline{1}$ to SN. $\overline{1}$ to mandibular plane and interincisal angle were measured as denture pattern. 2. Angular measurements for the Class III malocclu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for the normal occlusion of the same Hellman dental age.

  • PDF

골격형(骨格型) III급(級)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수직부조화(垂直不調和)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ERTICAL DYSPLASIA I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신문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33-354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se vertical dysplasia such as open bite or deep bite in person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ontrol patients, 40 Class III open bite patients and 40 Class III deep bite patients. The mean age was 19.8 years in the control group, 17.8 years in the Class III open bite group and 16.5 years in the Class III deep bite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dysplasia are under the palatal plane. 2.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ite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dysplasia are mandibular plane angle, lower gonial angle, lower facial height, dental height & inclination of the upper first molar, interincisal angle, maxillary & mandibular occlusal plane angle. 3.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LPFH/LAFH ratio shows the highest significance among the facial height ratios. 4.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open bite group has a upward cant of maxillary occlusal plane & downward cant of mandibular occlusal plane. And deep bite group has a downward cant of maxillary occlusal plane & upward cant of mandibular occlusal plane. 5.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molar teeth of the open bite group are measially inclined and those of the deep bite group are upright.

  • PDF

치아 및 두개골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TEETH AND SKULL)

  • 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3
    • /
    • 1975
  • For the purposes of augmentation of the aid for case analysis and diagnosis of malocclusion,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was made from 84 Korean adolescences. The Subjects consist of 42 males and 42 females aged from 17 to 20 years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facial appearance. The author measured 18 angles and 14 linear distances as suggested by Jaraba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Each linear measurement of the males' skull was greaten than that of the females. 2) The posterior to anterior facial height was $69.2\%$ in the males and $67.1\%$ in the females. 3) In the relationship of upper lip to esthetic line, the lip of females was more behind than that of males. 4) Saddle angle was $124.7^{\circ}$, articular angle was $148.7^{\circ}$, genial angle was $119.4^{\circ}$ and upper and lower genial angles were $45.1^{\circ}\;(N-Go-a^{\circ})$ and $74.2^{\circ}\;(N-Go-Me^{\circ})$. 5) The ratio of mandibular body to anterior cranial base was about 1:1. 1. 6) The angulations of $SNA^{\circ},\;SNB^{\circ}\;and\;SNP^{\circ}$ were as follows; $SNA^{\circ},\;80.3^{\circ},\;SNB^{\circ},\;79.8^{\circ},\;SNP^{\circ},\;81.1^{\circ}$. 7) The angle of the sella-nasion plane to the mandibular plane $(SNG^{\circ}Me^{\circ})$ was $32.0^{\circ}$ and that of the occlusal plane to the mandibular plane was $18.2^{\circ}$. 8) The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the sellanasion plane $(1-SN^{\circ})$ was $105.6^{\circ}$. That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mandibular plane $(1-GoMe^{\circ})$ was $94.0^{\circ}$, and the interincisal angle $(1\;to\;1^{\circ})$ was $127.6^{\circ}$. 9) The linear distance from incisal edge of upper central incisor to facial plane was 8.0mm and that of lower central incisor was 4.6mm. 10) In the relationship of the lower lip to the esthetic line, the lower lip was 0.2mm front of the esthetic line.

  • PDF

수완부골성숙단계에 따른 두부방사선계칙학적 연구 (CEPHALOMETRIC MEASUREMENT ACCORDING TO SKELETAL MATURITY STAGE OF THE HAND AND WRIST)

  • 최해운;김재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5-148
    • /
    • 1987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growth and bone maturity of the hand wrist in normal occlusion, the author took cephalogram and handwrist radiogram of 391 students (male 192, female 199) and assessed the measurements of cephalogram according to skeletal maturity stages of the hand and wrist. In this study, four skeketal stages and 36 linear, angular measurements of the cephalometrics were selected. In hand-wrist X-ray the bones used to determine skeletal maturity were the middle phalanges of the third finger, and distal epiphysis of the radius. In cephalogram, the landmark used to measure the angle and length were N, S, Po., Ar., Go., Me., Gn., Pog., Point B, Point A, ANS, PNS, Or., U1, L1, U6, L6 et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able of mean, standard deviation, p-value from measurements were made in each group and both sex. 2. The increased measurements according to skeletal maturity were anterior cranial bese length,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ramus height,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facial height, L1 to mandibular plane (mm), facial plane angle. In contrast to, decreased measurements were genial angle, facial cnvexity and facial plane angle. 3. Denture pattern measurements (IMPA, FMIA, occlusal plane to Go-Gn, interincisal angle, U1 to SN plane, U1 to SN plane, U1 to facial plane, L1 to facial plane etc.) .had nothing to do with skeletal maturity. 4. Skeletal maturity had close relationship with craniofacial growth, but had little to do with tooth development.

  • PDF

Milwaukee brace 장착자(裝着者)의 교정치험례(橋正治驗例) (AIM ORTHODONTIC CASE REPORT OF MILWAUKEE BRACE WEARER)

  • 남동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5
    • /
    • 1984
  • 10years and 8 months old patient, who had been wearing Milwaukee brace for 5 months, was treated by multibanded system without extract on. She complianed severe protrusion and interdental spacing of upper anterior teeth. Cephalometric analysis revealed short anterior facial height, infraclusion of the lower first molars and severe profrusion of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Milwaukee brace was replaced by TLSO, so the orthopedic force on the dentofacial region was eliminated. After 2 years and 3 months, she gained raised bite, increased interincisal angle, salient reduction in the protrusion of upper central incisals with agreeable overjet, complete obliteration of interdental spacing and reduction of protrusion of upper and lower lips.

  • PDF

전치부 개방교합의 골격요소간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ON THE SKELETAL FACTORS OF THE ANTERIOR OPEN BITE)

  • 김형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59
    • /
    • 1985
  • To analyze the skelet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the faces of normal occlusion and open bite were measured using a cephalogram. The factors which were greatly different from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incisal overbite and correlation on these factors were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13 factors which compri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were obtained. (Table 5) 2. The cause and amount of the open bite were dependent on the skeletal angulation than skeletal length. 3. For determining the incisal overbite, most highly correlated single factor was the interincisal angle. 4. The correlation on the selected 13 factors which compri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was obtained. (Table 6) 5. The open bite was due to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than due to single factor. (Table 3,4).

  • PDF

두부방사선 분석에 의한 상악전치부 후방이동시 연조직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PROFILE CHANGE PREDICTION IN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BASED ON CEPHALOMETRICS)

  • 최진희;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5-78
    • /
    • 1997
  •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효과를 배제한 교정치료시의 연조직 변화와 치아 및 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Angle씨 2급 1류 부정 교합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치아 및 악골, 연조직의 수평, 수직이동의 평균 변화량을 측정하고 연조직에 대한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조직 계측항목 중 상악 중절치의 수평이동 및 기울기, 하악 중절치의 수평 및 수직이동, 수평피개량, 수직피개량, interincisal angle, 하악골 위치, 변화, A, B, 경조직 측모 돌출각 등의 항목에서, 연조직 계측항목 중 상순의 두께 및 후방이동, 기울기, 하순의 후방이동 및 기울기, interlabial angle, 비순각, 이순각, Sn, Ss, Si, 연조직 측모 돌출각등의 항목에서 치료 전과 후에 유의성 있게 변하였다(P<0.05). 2. 치료 전 후 유의한 변화를 보인 연조직 계측항목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경조직의 변화에 대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연조직 회귀방정식에 중절치 수평피개량, 상악 전치 절단연의 후방이동량, 상악 전치 치근의 후방이동량, Pg의 수평변화량이 가장 높은 빈도로 포함됨으로써 이들은 연조직의 수직 및 수평변화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하악 전치의 수직이동량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연조직 변화와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Sn의 수직 및 수평변화는 경조직의 가장 많은 항목과 연관됨으로써 (A, B, Pg(H), overjet, upper incisor angle, Ur, Is(H)) 여러 경조직 변화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조직 계측항목에 대한 상관계수($R^2$)의 범위는 0.2-0.6으로 중등도의 상관정도를 나타내었다.

  • PDF

발치지수(Extraction Index) 기준에 관한 두부 방사선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Study on the Extraction Index in Korean Adolescent)

  • 신수정;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58
    • /
    • 1996
  •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영구치 발거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교정학의 역사상 커다란 논쟁거리였고, 따라서 진단과정에서 사용되는 많은 분석법들과 발치의 기준들이 제시되었다. 이제까지 제시되어 온 발치기준들(Extraction formulas)을 검토해 보면, 치열궁 장경 부조화, 치열의 전방돌출, 그리고 환자의 골격형태에 기초하여 발치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진단요소는 환자의 골격형태로, 결국 개개 환자의 부정교합은 그 환자의 골격형태 범위 내에서 치료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EI(Extraction Index)는 환자의 골격형태를 감별진단 할수 있는 CF를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CF는 부정교합의 수직적, 수평적 요소를 감별해내는 ODI이와 APDI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피에는 환자의 안모에 영향을 미치는 절치간 각과 입술의 전후방 위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안모형태도 고려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자로서 골격이 조화를 이루며 좋은 안모를 가지고 있고 교정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11.2 - 14.4 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EI에 관련된 항목들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DI이는 $73.5^{\circ}$, APDI는 $82.8^{\circ}$, CF는 $156.3^{\circ}$ 였다. 2. 절치간 각은 $123.6^{\circ}$ 였다. 3. E-line에 대한 상순의 거리는 0.0mm, 하순은 1.4mm 였다. 4. Extraction Index는 153.8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