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dos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초

$Co^{60}-{\gamma}$ ray을 조사시킨 MOS 구조에서의 I-V특성의 방사선 조사 효과 (Radiation effects of I-V characteristics in MOS structure irradiated under $Co^{60}-{\gamma}$ ray)

  • 권순석;정수현;임기조;류부형;김봉흡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7
    • /
    • 1992
  • MOS 커패시터가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MOS 커패시터의 방사선 조사 효과는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동작 수명에 심각한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MOS 커패시터는 (100) 방향의 P-type Si wafer 위에 산화막층을 $O^2$+T.C.E. 분위기에서 성장하였으며, 그 두께는 40~80 nm로 만들었다. MOS 커패시터에 대한 방사선 조사는 $Co^{60}-{\gamma}$선을 사용하였고, 조사선량은 $10^4{\sim}10^8$으로 조사하였다. MOS 커패시터에서 전기적 전도 특성의 방사선 조사효과는 산화막 두께와 조사선량을 변화하면서 측정된 P-type MOS 커패시터는 조사선량에 의해서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과 저전계 영역에서의 Ohmic 전류가 전체 선량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 결과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산화막 트랩전하와 산화막-반도체($SiO_2$-Si)계면 트랩전하에 의해서 설명 할 수 있다.

  • PDF

CURRENT RESEARCH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IN KOREA

  • Kim, Jong-Kyung;Kim, Kyung-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531-544
    • /
    • 2009
  •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key issues and current research outcomes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Accelerator-based neutron sources are efficient to provide epithermal neutron beams for BNCT; hence, much research, worldwide,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onents crucial for its realization: neutron-producing targets and cooling equipment, beam-shaping assemblies, and treatment planning systems. Proton beams of 2.5 MeV incident on lithium target results in high yield of neutrons at relatively low energies. Cooling equipment based on submerged jet impingement and micro-channels provide for viable heat removal options. Insofar as beam-shaping assemblies are concerned, moderators containing fluorine or magnesium have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neutron accumulation in the epithermal energy range during the slowing-down from the high energies. NCT_Plan and SERA systems, which are popular dose distribution analysis tools for BNCT, contain all the required features (i.e., image reconstruction, dose calculations, etc.). However, detailed studies of these systems remain to be done for accurate dose evaluation. Advanced research centered on accelerator-based BNCT is active in Korea as evidenced by the latest research at Hanyang University. There, a new target system and a beam-shaping assembly have been constructed. The performance of these components has been evaluated through comparisons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with simulations. In addition, a new patient-specific treatment planning system, BTPS, has been developed to calculate the deposited dose and radiation flux in human tissue. It is based on MCNPX, and it facilitates BNCT efficient planning based via a user-friendly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전신 방사선조사를 위한 10MV 선형가속기의 선량측정 (The Dosimetric Data of 10 MV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 for Total Body Irradiation)

  • 안성자;강위생;박승진;남택근;정웅기;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225-232
    • /
    • 1994
  • 연구목적 :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가동중인 10MV X-ray를 이용하여 전신 방사선 조사에 필요한 기본적인 선량측정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환자 전신이 포함될 수 있는 대형조사면을 얻기 위하여 collimator를 완전히 개방하여 조사방향이 수평이 되게 gantry각을 맞추었다. 방사선 선원에서 환자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360cm일 때 최대 기하학적 조사면은 $144cm{\times}144cm$이었다. Polystyrene팬텀과 평행평판형 전리함을 이용하여 깊이선량율과 principal 및 diagonal axis에서 측방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1cm두께의 아크릴판을 팬텀의 전면에서 20cm 떨어진 위치에 놓고 표면 선량의 증가와 최대선량점($d_{max}$)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AD 360cm에서 팬텀의 중심에 측정기 위치를 고정시키고 팬텀의 두께를 12cm에서 30cm까지 변화시키면서 MU당 선량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SSD 345cm, 조사면 크기 $144cm{\times}144cm$의 조건에서 깊이선량율은 10cm 깊이에서 $78.4{\%}$였고, dmax정은 1.8cm이었다. 1cm두께의 아크릴판을 spoiler로 팬텀에서 20cm 띄우고 사용했을 때 dmax점은 1.8cm에서 0.8cm으로 이동하였고, 표면선량은 $61\%$에서 $94\%$로 증가하였다. 평행 2문 조사시 30cm두께의 팬텀에서 선축상 선량분포의 차이는 $7\%$이내였다. $100\%$ 선량점의 선축이탈거리는 principal axis에서 67cm. diagonal axis에서 80cm이었다. 팬텀의 중심에서 측정된 출력계수로 MU당 선량은, (Dose/MU)=$-0.00178{\times}(T/2)+0.08676$ (T:팬텀 두께(Cm))로 표현되는 직선의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결론 : 1)좌우 대향 2문조사 방법으로 30cm두께의 팬텀에 10MV X-ray를 조사하였을 때 선량분포의 차이는 $7\%$이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2) 고에너지 광자선으로 전신방사선 조사시 표면선량 증가를 위하여 beam spotter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측방선량분포곡선에서 principal 및 diagonal axis에 따른 선량분포의 차이가 있어 환자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 전신방사선조사시 선량분포는 여러 가지 요인에의하여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된 MU당 선량은 깊이와 직선의 관계식을 보여 실제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전신 방사선조사에 관한 기본적 선량측정자료는 AAPM보고서 No. 17에서 권장된 범주에 들었으며 향후 임상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객체 지향 개념을 이용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계획 시스템 (Object-Oriented Stereotactic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 박승훈;서태석;서덕영;강위생;하성환;김일환;박찬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87
    • /
    • 1994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bject-oriented stereotactic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which accepts medical images such as CT and angiography, transforms the coordinates to a reference frame coordinate, calculates dose distributions, and finally displays isodose curves over the images. The user finds an adequate one for radiosurgeries after performing computer simulations on different treatment parameter sets. The object-oriented design concept was fully applied to the system composed of seven manager objects of different classes: a patient information manager, a user-interface manager, a coordinate transformation manager, a blackboard manager, a dose calculation manager, an isodose curve display manager, and a report manager. All the user interaction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use of mouse button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verified by four physicians and two medical physicists, and now is being used in two clinical sites.

  • PDF

컴퓨터를 이용한 통합적 2차원 방사선치료계획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2-D Radiation Therapy Planning System)

  • 서태석;윤세철;서덕영;김민철;이형구;최보영;신경섭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65
    • /
    • 1998
  • The aim of this work is to develop computerized 2-D radiation therapy planning system. The algorithms to compute dose for photon, electron, radioisotope have been developed, and dose distributions were superimposed on CT or MR images. Using object oriented modeling the structure of program has been designed for the efficient user-interface. Finally, a prototyp of 2-D radiation therapy planning syste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clinical cases for the demonstration.

  • PDF

디지털위성중계기용 전원공급기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ower Supply Unit of Digital Communication Satellite)

  • 김기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55-860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위성중계기용 전원공급기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였다. 위성버스의 PLDIU(: Payload Distribution and Interface Unit)와 전원공급기의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고, 우주환경에 대한 WCA(: Worst Case Analysis)를 통하여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등의 발생에 대한 회로 오동작 가능성을 최소화 시켰다. 발사환경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우주 방사능에 의한 TID(: Total Ionizing Dose)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전원공급기를 설계하였으며, 제작 후 우주환경시험을 통하여 기능 및 성능에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PC를 이용한 TLD 판독장치의 제작과 특성조사 (Construction of the TLD Readout System Using the Personal Computer and Its Characteristics)

  • 우홍;강희동;김도성
    • 센서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342-349
    • /
    • 1998
  • 방사선 선량판독과 함께 열형광 현상의 연구가 가능한 다목적 TLD 판독장치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TLD에서 방출되는 열형광은 광전증배관과 전류-주파수 변환장치로 측정하였으며, 백금 열판을 사용하여 TLD를 가열하고 가온율을 선형적으로 변화시켰다. 개인용 컴퓨터와 interface board를 이용하여 전 장치를 제어하고 glow 곡선을 측정하였으며, 제어 소프트웨어로 자동이득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제작한 TLD 판독장치는 선형적인 선량판독이 가능하였고 검출하한은 약 $10\;{\mu}Gy$였다.

  • PDF

다이싱 테이프용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의 접착 물성 (Adhesion Properties of UV-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Dicing Tape)

  • 도현성;김성은;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4호
    • /
    • pp.1-8
    • /
    • 2004
  • 다이싱 테이프에 사용되는 UV경화형 점착제를 아크릴 공중합체를 butyl acrylate, acrylic acid, methyl methacrylate를 용액 중합을 통해 중합한 뒤,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를 블렌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는 UV 조사량에 따라 접착력, 유리전이온도 ($T_g$)를 측정하였는데 UV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T_g$도 증가하였다. 웨이퍼 표면에 점착 샘플을 부착하여 UV 조사 후 박리하여 표면을 관찰한 결과 점착잔류물을 남기지 않았다.

  • PDF

우주 인증용 대전자전중계기의 전원공급기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ower Supply Unit of Digital of Dehop/Rehop Transponder of EQM)

  • 김기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37-442
    • /
    • 2021
  • 본 연구는 우주 인증용 대전자전중계기용 전원공급기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였다. 위성버스의 PLDIU(Payload Distribution and Interface Unit)와 전원공급기의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고, 우주환경에 대한 WCA(Worst Case Analysis)를 통하여 SEU(Single Event Upset) 등의 발생에 대한 회로 오동작 가능성을 최소화 시켰다. 발사환경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우주 방사능에 의한 TID(Total Ionizing Dose)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전원공급기를 설계하였으며, 제작 후 우주환경시험을 통하여 해당 구성품에 대한 환경 시험 규격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한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의 개발 (Development of a Thermoplastic Oral Compensator for Improving Dose Uniformity in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최준용;원영진;박지연;김종원;문봉기;윤형근;문수호;전종병;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4호
    • /
    • pp.269-278
    • /
    • 2012
  •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공동 경계면 및 주변 치료 부위의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조직 등가의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를 개발하였다. Thermoplastic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해 오던 치과용 인상재료인 paraffin, alginate, 그리고 putty로 제작한 각 구강 보상체의 물성 및 선량 분포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물성 평가에는 강도 평가(압축 실험, 낙하 실험)와 자연변형도(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개발한 선량 검증용 팬톰에 삽입한 유리선량계와 Gafchromic EBT2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선량, 공동 경계면 선량 및 빔 측면도를 측정하여 전달 선량을 평가하였다. 두 달간 각 구강 보상체의 자연변형도 평가하였을 때, alginate는 수분증발로 최대 80% 체적 변화를 보였으나, thermoplastic을 포함한 나머지 조직 등가 물질은 체적 변화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강도 평가 중 5회 반복한 1.5 m 높이의 자유 낙하실험에서 paraffin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되었으나, thermoplastic은 낙하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압축 강도 실험에서도 paraffin에 비하여 8배 이상의 높은 힘에서도 파손되지 않았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 검증 결과, 1문 조사 시 조직등가[약 80 HU (Hounsfield Unit)]의 thermoplastic은 동일한 처방 선량 전달 시 약 1,000 HU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putty에 비해 4% 낮은 출력계수(monitor unit) 전달로 약 4.9%의 낮은 표면 선량을 전달하였다. 또한 빔 입사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구강 통과 후 경계면의 빔 측면도에서 선량 균일도 평가를 위해 측정한 조사영역 편평도는 air, thermoplastic, putty에서 각각 11.41, 3.98, 4.30으로 나타났다.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는 조직 등가 물질로 기존에 사용해오던 구강 보상체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물질 변형 확률이 적으며, 구강을 포함을 경계면 및 주변 부위에 균일한 선량 분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처방 선량 전달 및 피부 선량 감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