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Presenta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Forced vibration of the hydro-elastic system consisting of the orthotropic plate, compressible viscous fluid and rigid wall

  • Akbarov, Surkay D.;Huseynova, Tarana V.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8권3호
    • /
    • pp.199-218
    • /
    • 2019
  • This paper studies the forced vibration of the hydro-elastic system consisting of the anisotropic (orthotropic) plate, compressible viscous fluid and rigid wall within the scope of the exact equations and relations of elastodynamics for anisotropic bodies for describing of the plate motion, and with utilizing the linearized exact Navier-Stokes equations for describing of the fluid flow. For solution of the corresponding boundary value problem it is employed time-harmonic presentation of the sought values with respect to time and the Fourier transform with respect to the space coordinate on the coordinate axis directed along the plate length. Numerical results on the pressure acting on the interface plane between the plate and fluid are presented and discussed. The main aim in this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plate material anisotropy on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mentioned pressure. In particular, it is established that under fixed values of the shear modulus of the plate material a decrease in the values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direction of plate length causes to increase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interface pressure. The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not only for the viscous fluid case but also for the inviscid fluid case.

다양한 재생 환경을 지원하는 XMT 저작 시스템 (An XMT Authoring System supporting Multiple Presentation Environments)

  • 김희선;임영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3호
    • /
    • pp.251-258
    • /
    • 2004
  • XMT는 텍스트 형식의 MPEG-4 씬 기술 언어로 방송용 오디오/비디오 편집 및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 컨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재생 환경에서 컨텐츠의 상호 교환을 지원하는 XMT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XMT 저작 시스템은 XMT의 두 가지 파일 포맷인 XMT-$\alpha$와 XMT-$\Omega$를 생성한다. 두 파일 포맷은 같은 객체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추상화된 XMT-$\alpha$를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와 XMT-$\Omega$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파일 포맷을 지원할 수 있는 내부 자료 구조를 정의하고, XMT-$\alpha$를 BIFS로 변환하는 기능과 XMT-$\Omega$를 SMIL, XMT-$\alpha$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XMT의 특징인 다양한 환경에서 멀티미디어의 상호 교환성을 제공한다.

W3C 기반 상호연동 가능한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 (W3C based Interoperable Multimodal Communicator)

  • 박대민;권대혁;최진혁;이인재;최해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0-152
    • /
    • 2015
  • 최근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양방향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연구를 위해 인간의 의사소통 체계와 유사한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모달리티라고 부르며, 다양한 단말기 및 서비스 환경에 따라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모달리티를 활용하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에는 각각의 모달리티가 갖는 정보 형식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호 연동이 어려우며 상호 보완적인 성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EMMA(Extensible Multimodal Annotation Markup language)와 MMI(Multimodal Interaction Framework)표준에 기반하여 복수의 모달리티를 상호연동할 수 있는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를 제안한다.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는 W3C 표준에 포함된 MC(Modality Component), IM(Interaction Manager), PC(Presentation Component)로 구성되며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설계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모달리티의 수용 및 확장이 용이하다. 실험에서는 시선 추적과 동작 인식 모달리티를 이용하여 지도 탐색 시나리오에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HMD기반 가상현실 FPS게임 인터페이스의 메타포 유형 분석 연구 (A case study on Metaphor forms of User Interface in HMD based Virtual reality FPS games)

  • 김보연;석혜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7-38
    • /
    • 2018
  • 오늘날, 가상현실의 대표적 구현장치인 HMD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분야는 게임이다. HMD기반 가상현실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메타포를 활용한 디자인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매체인 HMD디바이스의 가상현실 FPS장르 게임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메타포 유형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인터페이스가 메타포를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심성모형을 생성하고 있는지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다수 인터페이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메타포 유형은 정보 지각 측면에서 조작, 예측, 친숙화, 물리적 세계 메타포로 나타났으며 조작 행동 측면에서는 예측성, 친숙화 메타포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의 일반적 경험과 지식을 통한 올바른 심성모형 구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 외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성 메타포, 정보 공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제시 메타포의 사용이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저작도구 툴북에서 객체 자동 변환을 이용한 자동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 Presentation System of Toolbook Using Object Auto Transition on Multimedia Authoring Tool)

  • 양옥렬;정영식;이용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1182-1195
    • /
    • 1997
  •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저작도구를 멀티미디어 툴북의 경우 객체들이 사건을 기반으로 하는 상태 변환 방식을 사용하므로 프리젠테이션 을 자동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의 자동 변환 기법을 통하여 자동 프리젠테이션 기능을 멀티미디어 저작도구가 시스템 DLL(Dynamic Link Library) 형태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자동 변환기법을 개발하고자 이를 멀티미디어 툴복의 페이지 전환 및 미디어 제어 인터 페이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자원의 상태 변환 기능을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기능 확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 PDF

실시간 환경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시각화 시스템 (3D Visualization System for Realtime Environmental Data)

  • 김종찬;김경옥;김응곤;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07-715
    • /
    • 2008
  • 최근들어 태안에서 발생한 기름유출 사건과 인근연안의 적조 발생이나 수온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해양생태계 및 양식장 등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관리하는 기술요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의 신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WPF(window presentation foundation)기술을 활용하여 단순한 숫자의 나열 또는 2차원 그래프로 제공되던 각종 센서 및 측정 장비로부터 받은 실시간 데이터를 2D 및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환경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전용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MIL Authoring Tool)

  • 신동규;신동일;김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1호
    • /
    • pp.103-110
    • /
    • 2003
  • SMIL은 XML을 기반으로 한 선언적 마크업 언어로서, 멀티미디어 개체들의 상호 유기적인 동기화로 워 상에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통한 언어인 SMIL을 이용하여, 웹 멀티미디어 문서를 직관적으로 작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게 하는 SMIL전용 저작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문서의 생성, 관리, 저작 모듈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게 손쉬운 멀티미디어 표현(Presentation)의 저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넷 망이 대역폭에 따른 템플릿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고, SMIL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와의 연동으로 다수사용자를 위한 SMIL문서 관리 기능을 구현하였다.

인터넷상의 동영상 메일을 재생하기 위한 실시간 연출 기법 연구 (A Study on a Real Time Presentation Method for Playing of a Multimedia mail on Internet)

  • 임영환;이선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877-890
    • /
    • 1999
  • 본 논문은 기존이 텍스트 위주였던 인터넷 한 단계 넘어 동영상, 음향, 그래픽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메일을 제안한다. 이를 개발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프리젠테이션 메일을 구성하는 요소가 일반적으로 거대한 용량을 가지는 멀티미디어데이터라는 것이다. 거대한 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전송 및 저장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갖게 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 데이터 부분과 제어 데이터를 분리시켜 제어 프로그램만을 전달하고 실제 데이터는 보낸 사람의 컴퓨터에 있거나 고속 접속이 가능한 원격지 서버에 저장되어 실제 연출할 때에 서버로부터 전송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젱 프로그램에 포함된 하이퍼프리젠테이션을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기 위한 버퍼관리 및 쓰레드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는 멀티미디어 연출을 제어하는 방법은 일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쉬워야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제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도구로써 VIP(Visual Interface player)를 이용하였으며 그것을 LAN기반엣 구현하고 실험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VING OBJECTS MANAGEMENT SYSTEM APPLYING OPEN GOESPATIAL DATA ENCODING

  • Lee, Hye-Jin;Lee, Hyun-Ah;Park, Jong-He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63-666
    • /
    • 2005
  • The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is an XML encoding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geometry and properties of geographic features. This paper uses the GML to provide extendib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spatial data in moving objects management system. Since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ovide locations of the moving objects in the web and mobile environments, we used the GML both for presenting map data and trajectories of the moving objects.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Location Data Interface, Moving Objects Engine, and Web/Mobile Presentation Interface. We utilized the concept of Web Map Server, that is web mapping technology of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to integrate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s. In the process of the integration, we used the standard data model and interfaces while defining new application schema. Since our suggested system uses open spatial data encoding and interfaces, both extendibility and interoperability are guaranteed.

  • PDF

Ergonomic Recommendation for Optimum Positions and Warning Foreperiod of Auditory Signals in Human-Machine Interface

  • Lee, Fion C.H.;Chan, Alan H.S.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6권1호
    • /
    • pp.40-48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positions and warning foreperiod for auditory signals with an experiment on spatial stimulus-response (S-R) compatibility effects. The auditory signals were presented at the front-right, front-left, rear-right, and rear-left positions from the subjects, whose reaction times and accuracies at different spatial mapp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patial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effect in which faster and more accurate responses were obtained in the transversely and longitudinally compatible condition while the worst performance was found when spatial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did not exist in either orientat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transverse compatibility effect was found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longitudinal compatibility effect. The effect of signal position was found significant and post hoc test suggested that the emergent warning alarm should be placed on the front-right position for right-handed users. The warning foreperiod prior to the signal presentation was shown to influence reaction time and a warning foreperiod of 3 s is found optimal for the 2-choice auditory reaction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