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est Degree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28초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in Adults)

  • 박선남;임희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7-35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성인 중 연구에 동의한 1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결과 치매 지식 정도는 8.17점(12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7.14.점(10점), 치매예방에 대한 교육요구도 정도는 4.56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변수와 각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치매교육요구도는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치매교육에 대한 관심정도에서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예방교육 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치매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행위에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성인을 위한 치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개별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겠다.

수종의 재생 술식 시행이 매식체 근원심부의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Regeneration techniques on Bone Regeneration around Dental Implant)

  • 이명자;임성빈;정진형;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383-399
    • /
    • 2005
  • The successful implantation necessitate tissue regeneration m site of future implant placement, there being severe bone defect. Therapeutic approaches to tissue regeneration in the site have used bone grafts, root surface treatments, barrier membranes, and growth factors, the same way being applied to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Great interest in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has lead to research in bone graft, guided-tissue regener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growth factors as possible means of regenerating lost periodontal tissue. The blood component separated by centrifuging the blood is the platelet-rich plasma. There are growth factors, PDGF, $TGF{beta}1$, $TGF{beta}2$ and IGF in the platelet-rich plas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histopatho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platelet-rich plasma and the healing of bone defect around implant fixture site. Implant fixtures were inserted and graft materials were placed into the left femur of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implant fixtures.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platelet-rich plasma and BBP xenograft were placed at the implant fixture site,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had platelet-rich plasma, BBP xenograft, and the e-PTFE membrane placed at the fixture site. The degree of bone regeneration adjacent to the implant fixture was observed and compared histopathologically at 2, 4, and 8 weeks after implant fixture inser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Bone remodeling in acid etched surface near the implant fixture of all experimental group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new bone formation. 2. Bone remodeling in acid etched surface distant to the implant fixture of all experimental groups was decreased and new bone formation was not changed. 3. Significant new bone formation in machined surface near the implant fixture of bothl experimental groups was observed in 2 weeks. 4. New bone formation in machined surface distant to the implant fixture of both experimental groups was observed. Bone remodeling was significant in near the implant fixture and not in distant to the implant fixtu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ggested that the change of bone formation around implant. Remodeling in machined surface distant to the implant fixture of both experimental groups, and new bone formation and remodeling near the implant fixture were significant.

W-Station을 활용한 고밀도 초미세먼지 모니터링 연구: 제주도 사례 (A study on the monitoring of high-density fine particulate matters using W-station: Case of Jeju island)

  • 이종원;박문수;원완식;손석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47
    • /
    • 2020
  • Although interest in air quality has increased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high-concentration fine particulate matter recently, the official fine particulate matter measuring network has failed to provide spatial detailed air quality information. This is because current measurement equipment has a high co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hich limits the composition of the measuring network at high resolution.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official measuring network, this study constructed a spatial high density measuring network using the fine particulate matter simple measuring device developed by Observer, W-Station. W-Station installed 48 units on Jeju Island and measured PM2.5 for six months. The data collected in W-Station were corrected by applying the first regression equation for each section, and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official measurements installed in Jeju Island. As a result, the time series of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in W-Station showe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easuring network.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easurements of W-Station within a 2 km radius of the reference station and the reference station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79, 0.81, 0.67,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W-Station within a 1 km radiu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85, 0.82, 0.68, respectively, showing slightly higher correlation. In addition, the local concentration deviation of some regions could be confirmed through 48 high density measuring networks. These results show that if a network of measurements is constructed with adequate spatial distribution using a number of simple meters with a certain degree of proven performance, the measurements are effective in monitoring local air quality and can be fully utilized to supplement or replace formal measurements.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der)

  • 주형욱;안혜령;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0-273
    • /
    • 2010
  •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관심이 높은 흑마늘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Mixograph를 이용한 mixogram 결과는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으며, 반죽의 stickness는 흑마늘 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식빵 반죽의 1차 발효 시간이 60분 정도 소요되는 동안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다. CrumbScan의 기공의 조밀도 대조구와 흑마늘 분말 첨가 식빵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흑마늘 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흑마늘 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작아졌으며,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는 외관과 맛은 BG 6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와 9% 첨가구(BG 9)가 동일하였으나, 원가 절감 측면에서는 BG 6이 흑마늘 가루의 최적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정보 매개하기 : 시뮬레이션 연구 (Information Mediating in Social Network Sites : A Simulation Study)

  • 노상규;김태경;박진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55
    • /
    • 2013
  • 개인의 관심사나 사회적 문제를 토론하는 장으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가 최근 활발하게 쓰인다. 기업에 대한 소식들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회자되기는 마찬가지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정보가 확산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되나, 어떻게 그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학문적 이해는 부족한 형편이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정보가 전파될 때, 개인과 개인 간의 담화, 혹은 한 개인이 자신의 지인들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따른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개인적 노력으로도 사회적 파장을 불러올 만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보 확산은 대단하다. 본 논문은 '정보 매개하기'를 중심으로 어떻게 개인 수준의 정보 전파가 네트워크 수준의 정보 확산을 가져오는지를 이해하려 한다. 특히 정보 매개하기에 있어서 '정보 걸러내기의 효과'의 역할에 관심을 집중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통해, 정보 매개하기 활동이 정보 전파를 활성화시키며, 나아가 정보 확산에 기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정보 걸러내기 효과가 있을 때, 매우 작은 확률로 정보 매개하기 활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력은 아주 크다는 점을 보였다. 즉, 이미 정보 전파가 있었다는 사실이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면 비록 소수만이 정보 전파 활동을 하더라도 정보는 아주 빨리 퍼져나갈 수 있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실험.실습 운영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Students' Recognition on the Experiment and Practice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 송지선;두경자;홍희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45
    • /
    • 2006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통합된 중학교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와 실험 실습의 가치 또는 중요성과 실생활 활용도 등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한 흥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많은 흥미를 보였으나, 영역별로 보면 가정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으나, 기술영역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흥미도가 더 높았다. 학습자들은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의 내용 이해나 동기 유발을 위해 실험 실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에 비해 운영되는 실험 실습의 양에 관해서는 부족함을 보고하였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의 실험 실습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가 활용도를 가장 높게 인식한 단원은 타 단원에 비해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컴퓨터와 정보처리'였으며, 활용도를 가장 낮게 인식한 단원은 주로 '자원관리와 환경', '제도의 기초'와 '기계의 이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험 실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되 학습자의 성별에 따른 단원별 활용도에서 인식 차이를 고려한 실험 실습의 운영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 PDF

수상레저안전법의 개정에 따른 관련규제에 관한 의식실태분석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nsciousness for related regulations with revised Water Leisure Safety Regulation)

  • 김정훈;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9-194
    • /
    • 2005
  • 전국적으로 도로망이 확충되고 소득증대와 함께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면서 수상레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되고 수상레저 스포츠의 활동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수상레저활동과 관련된 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1999년에 수상레저안전법이 제정되었고, 2005년에는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수상레저안전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수상레저인구를 대상으로 수상레저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상레저안전법에 관련한 의식실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수상레저활동자를 대상으로 개정된 수상레저안전법의 규제를 중심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등을 통해 상호변수간의 연관정도와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상레저활동자들 중 $60\%$ 이상이 등록, 안전교육, 보험, 안전검사에 대해 각각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기구의 안전성에 대한 불만과 보험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법적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책표지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가 독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문학도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sual factors on the reader's preference in the book cover design -Focused on the literary books)

  • 남미현;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9-338
    • /
    • 2004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표지디자인의 개념 및 기능,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문학부문 베스트셀러 표지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표지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독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표지디자인에 대한 독자의 선호도를 설문조사와 이미지 평가를 통해 책표지 디자인의 조건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표지디자인의 선호도 조사에서 연령, 성별에 따라 관심있게 읽는 책의 종류와 책을 구매하는 장소, 표지디자인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자는 스타일서체를 선호하며, 남녀 모두 한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의 시각적 요소에대한 선호도 차이가 없는 것은 표지디자인이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통합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SD법을 통해 통합적인 이미지로써 표지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나친 추상적 이미지는 명료성이 떨어져 의미전달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일 서체가 주를 이룬 표지디자인이 독특성, 명확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주얼이 뛰어나다고 해도 기능적인 면인 의미전달에서 뛰어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 논문은 시각적 요소만을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표지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인 재료, 재본, 형태 등에 따라 독자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연장 안전관리 실태 및 개선에 따른 민간경비 역할증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Methods to Enhance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Firm for security Management in the Site of Performing Arts Events)

  • 유영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58-1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 정서에 맞추어 사람들의 삶의 질 역시 향상되어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 향유의 욕구충족을 위해서 공연 및 행사장을 많이 찾는 현실적 추세에 따라 인명 피해 역시 발생하였으며 또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 실태분석 및 대책을 마련 해보았다. 공연주최사 및 민간경비의 실태는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사실적으로 분석 파악하고 문제점을 진단하였으며, 공연장 안전관리를 위한 양측의 역할을 모색하고 관련기관과의 협력체계의 향상을 시키고자 함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관람객의 안전보장을 고려하여 공연시작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대책 마련에 대한 각자의 역할을 모색하고 살펴보게 된다.

인터넷 뉴스 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우리나라 농촌다움에 대한 이미지 연구 (The Image of Ruralism in Korea through a Text Mining for Online News Media analysis)

  • 손용훈;김용진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13-26
    • /
    • 2019
  • The rural areas in South Korea have changed rapidly in the process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Rural landscapes have become discoloured, and their attractiveness has decreased as cities have expanded. But the attractiveness or multifunctional values of rural area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contemporary society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this social demand, the efforts of conserving the rural landscape are of high priority and the recovery of ruralism in the area is required. This study has tried to understand how the public image of ruralism in Sou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e news media. The study retrieved news articles using the web searching portal site from the six keywords, commonly used to refer to ruralism, including 'rural landscape', 'rural community', 'rural tourism', 'rural life', 'rural amenity', and 'rural environment'. News data from the six keywords were also collected respectively from within the year-period of 2004-05, 2007-08, 2012-13, and 2016-17. In the text mining analysis, the noun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were figured out, and the changes by year-period were identified. Then, LDA topic analysis was performed for text datasets of six keyword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news articles gave an informed focus on only a handful of issues such as 'poor rural living condition', 'regional or village improvement projects', 'rural tourism promotion projects', and 'other government support projects'. On the other hand, nouns related to virtues and values in the rural landscape were less shown in news articles. These results have become more apparent in recent years. In the topic analysis, 35 topics were identified.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rural tourism', and 'urban-rural exchange projects' were appeared repeatedly in several keywords. Among the topics, there are also topics closely related to ruralism such as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eco-friendly rural areas', 'local amenity resources', 'public interest values of agriculture', and 'rural life and communities'. The study presented an image map showing ruralism in South Korea using a network map between all topics and keywords. At the end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Korean rural area policy and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