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Music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실행 가능성: COVID-19에 따른 새로운 접근 (Feasibility of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Interactive Sing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COVID-19)

  • 유가을;임주연;하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 대상 상호적 노래부르기 중심 실시간 비대면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는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상호적 노래부르기 과제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과제를 토대로 2단계에서는 노래부르기 과제 및 반주 유형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으로 송출되는 소리가 지각되는 수준이 다른지 비교하였다. 또한 3단계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확장, 다양한 맥락에서의 언어/노래 자원 적용, 상호적 구조 안에서의 자발적 표현 시도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구성된 프로그램은 4단계에서 평균 연령 9.3세의 ASD 아동 3명에게 30분씩 주 2회, 총 4회 동안 시행되었다. 회기가 지날수록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행동과 노래부르기 행동 모두 증가하였고, 보호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참여 행동의 변화 양상이나 참여 유도를 위한 전략 등에 있어서는 대상자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ASD 아동에게 실행 가능함을 보여주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과제와 음악의 유형, 보다 많은 치료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아동의 특성이 다를 수 있음도 시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행 방향과 고려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 Users' Social Experience on Purchasing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achment

  • Li, Jingr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53-60
    • /
    • 2019
  • With the gradual in-depth use of social elements, music social networking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 and discussion in the industry. Therefore, starting from the user experience theory and purchase intention theory, this paper explores the mechanism of user social 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music applications, and adds the mediating role of brand attachment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user experience measurement of social network and evaluation report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in the industry, and combined with in-depth interviews of users, whether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which pays more and more attention to social elements, has an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r not? What specific social experience can help form purchase intention? Are mediating variables at work? In practice, a total of 398 form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obtain first-hand data. Later,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 were carried out successively to verify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firstly, content experience, atmosphere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in users' social experi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achment, secondly, atmosphere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irdly, brand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purchase intention. Fourthly, brand attachment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tmosphere experience and content 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author puts forward corresponding marketing strategy Suggestions, which have certain guiding significance for mobile music applications to improve users' purchase intention, and have certain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and the expansion of business model.

인터렉티브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임베디드 PC-Fi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embedded PC-Fi system with interactive remote control)

  • 배민의;신옥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55-61
    • /
    • 2016
  • 임베디드 PC의 가격 대 성능비가 좋아짐에 따라 PC-Fi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PC-Fi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를 원격제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임베디드 PC-Fi를 구성한 다음, 이 원격 제어기의 GUI를 통해 자유롭게 선곡하고 음악재생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인터렉티브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러한 PC-Fi 시스템에 많은 양의 음원이 보관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쉽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PC-Fi의 장점을 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보관되어 있는 음원 각각에 대한 정보를 음원정보 DB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원하는 음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임베디드 PC-Fi와 원격제어기는 wifi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되며,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모바일 기기로 임베디드 시스템을 원격제어 할 수 있게 한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인터랙티브 음악연주 콘텐츠 제안 (Interactive Music Performance Content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Improvement)

  • 박민경;최예지;박영미;장세진;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144
    • /
    • 2018
  • 인간의 발달 시기 중 유아기에는 급격한 정서발달이 진행되는데, 정서 조절은 긍정적인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기에는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방식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시킬 수 있는 음악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리드믹스 음악 교육을 바탕으로 음악에 맞추어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여러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프로젝션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안한다. 즉 유아들이 손, 팔, 다리를 활용한 신체 동작으로 베이스, 드럼, 탬버린, 캐스터네츠, 마라카스의 5가지 악기를 연주하도록 하여,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음악 기반의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유아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보다 재미있게 정서조절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 time VJing responding to user's motion

  • Jung, Haehyun;Kim, Hyungg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41-50
    • /
    • 2015
  • As various media have developed in modern society, frequency of use of interactive media has increased which makes interactive function that uses and handles projection mapping and LED screen in set design of broadcasting, concert, play, musical and EDM(Electronic dance music) in real time possibl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led today's viewers to have higher cultural desire and the need of various interactive performance contents to receive more attention.[1]. This thesis implemented real time VJing that responds to user's motion based on existing H/W by utilizing real time interactive elements.

A study on the Interactive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in Typography

  • Lim, S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22-130
    • /
    • 2022
  • In modern times, text has become an image, and typography is a style that is a combination of image and text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It is developing not only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meaningful communication, but also to bring joy and beauty to our lives as a medium with aesthetic format. This study shows through case analysis that typography is a tool for expressing human emotions, and investigates its characteristics that change along with the media. In particular, interactive communication tools and methods used by interactive typography to express viewers' emo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We created interactive typography using the inputted text, the selected music by the viewer and the viewer's movement.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the exhibition, we could confirm that interactive typography can function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dium that shows the utility of both the iconography of letter signs and the cognitive function when combined with the audience's intentional motion.

V제잉에서 인터랙티브미디어아트 활용 (Applying Interactive Media Art to VJing)

  • 김윤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80-88
    • /
    • 2007
  • 대중음악 공연에서 영상의 활용빈도가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영상을 단순히 섞는 비디오 편집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기도 쉬워졌으며, 특이하고 개성 있는 표현 방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초창기의 대중음악 공연장에서 영상의 활용은 주로 규모가 큰 공연장에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복잡한 장비를 사용해야 했지만 현재는 작은 규모의 클럽에서도 대중음악 공연영상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가 소형화 되고 발전되었다. 특히 컴퓨터를 주로 이용하게 되면서 단순히 영상을 섞는 브이제잉에서 인터랙티브가 가능한 방향으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공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브이제잉 중 특히 실시간으로 소리와 시각이미지가 상호 변환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가 활용되는 방안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리해 보았다.

비전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찻잔 연구 (A study for interactive teacup using vision recognition system)

  • 조현철;김성현;강기호;이기훈;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3-17
    • /
    • 2008
  • 시대가 변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는 고도 산업 사회에 이르러 "현대인의 의식구조는 개인의 삶에 대한 가치에 큰 비중을 두므로 서양적인 물질 충족에서 생활 전반의 질적 향상으로 이행되고 있다." (서태양, 차석빈. (1995), 여가론. 서울:대왕사)는 정에서 최근 현대인들의 문화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참살이 운동이나 환경 운동, 몸 짱 열풍 등 문화 전반에서 삶의 질을 높이려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와 자국문화의 공존은 음식 메뉴를 더욱 다채롭게 하여 보다 새롭고 다양한 식기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의 차 및 찻간 이용 형태를 조사하여 보다 차 종류에 따라 각각의 차에 어울리는 음악을 제공 하여 차를 더욱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인터랙티브 한 찻잔 컨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컨셉은 도자 공예 프로세스에 적용 하여 제작 하였다.

  • PDF

A Study on "A Midsummer Night's Palace" Using VR Sound Engineering Technology

  • Seok, MooHyun;Kim, HyungG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4호
    • /
    • pp.68-77
    • /
    • 2020
  • VR (Virtual Reality) contents make the audience perceive virtual space as real through the virtual Z axis which creates a space that could not be created in 2D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eyes of the audience. This visual change has led to the need for technological changes to sound and sound sources inserted into VR contents. However, studies to increase immersion in VR contents are still more focused on scientific and visual fields. This is because composing and producing VR sounds require professional views in two areas: sound-based engineering and computer-based interactive sound engineering. Sound-based engineering is difficult to reflect changes in user interaction or time and space by directing the sound effects, script sound, and background music according to the storyboard organized by the director.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the sound effects, script sound, and background music in one track and not having to go through the coding phase. Computer-based interactive sound engineering, on the other hand, is produced in different files, including the sound effects, script sound, and background music. It can increase immersion by reflecting user interaction or time and space, but it can also suffer from noise cancelling and sound collis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devised and utilized to produce sound for VR contents called "A Midsummer Night" so as to take advantage of each sound-making technology. First, the storyboard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raction. It is to analyze sound effects, script sound, and background music which is required according to user interaction. Second, the sound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simultaneous sound' and 'individual sound'. Thirdly, work on interaction coding for sound effects, script sound, and background music that were produced from the simultaneous sound and individual time sound categories is done. Then, the contents are completed by applying the sound to the video.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sound quality inhibitors such as noise cancelling can be removed while allowing sound production that fits to user interaction and time an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