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5초

상호작용이 가능한 사회적 U-LEARNING 공동체 설계 (Interactive Social U-Learning Community Design)

  • 김혜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3-201
    • /
    • 2011
  • 본 논문은 개방형 콘텐트에 기반하여 세계 모든 지역 학우들과 상호작용적인 온라인 학습 그룹 경험을 제공하는 개방형 사회적 u-learning 공동체에 대한 전체론적 개념 및 모델을 표현하였다. 상호작용적인 사회적 u-learning 공동체 설계를 통해 학습에 있어서 유비쿼터스 환경이 가지는 장점들을 개념화하고 극대화하도록 한다. 제안된 모델은 최신 웹 기술, 고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협력 기술, 관련 콘텐트 및 다른 학습자와 해당 학습자를 연결하여 주는 지능형 추천 시스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기법 등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u-learning 설계는 상호작용적이고 매력적이면서 고도로 측정 가능 시스템이어야 한다.

효과적인 스마트 교육을 위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active Contents for Effective Smart Education)

  • 손준호;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7-221
    • /
    • 2014
  • Education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long the usage of various devic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Learners of diverse age groups and genders are exposed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us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smart education contents production, this study classified interactive types that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into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based , NC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based , and NTS (New Technology System) based . Then we investigated how each interactive types affect immersion, utility, self-efficacy, practicality, and stimulation. The effec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age. As the result, interactive types do affect smart education, where male ha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for CAI based, game type, and wiki type while female had higher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 establishment type and experience type. Also, for age group, the 10s preferred NTS based, 20~30s NCS based, and 40s and over CAI based interactive type. Thus, if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re considered when producing smart education contents,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educative contents that meet the dispositions of the learners.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실시간 수업 설계 및 개발 연구 : 기독교교육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ractive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using EduTech : A Cas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Class)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343-382
    • /
    • 2021
  • 본 연구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기독교교육과 수업에 적용한 사례 연구로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의 기독교교육과에 개설된 교직필수 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 수강생 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대면 수업과 상호작용, 에듀테크와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 한 후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설계 및 개발했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은 Flipped-PBL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개발했다. 또한 비대면 상황가운데서 진행될 Flipped-PBL 과정에 따라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에듀테크를 선정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수업 설계 및 개발의 과정에 있어서는 기독교교육과를 대상으로 하는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특성을 살려 기독교교육적인 특성을 살려 실천적 사역현장인 교회를 중심으로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진행했다. 수업 적용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와 흥미도는 보였으며, 둘째, 학습의 공간과 생활의 공간에 긍정적인 전이가 나타났다. 셋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은 학습 간에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상호작용적 에듀테크와 학습방법은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학습의 효율성과 몰입, 그리고 만족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대면수업의 대안으로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할 수 있었다. 즉 앞선 학습의 만족도와 흥미, 학습 공간의 전이 또한 수업 간에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통해 발생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했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만족의 저해 및 상호작용의 방해 요인으로는 통신(인터넷) 환경적 요인과 학습자의 온라인 기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요함이 나타났다. 학습 중에 통신 환경의 장애는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활용하는데 방해를 일으켜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지 못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학습의 만족과 흥미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지고 왔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학습환경도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방해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럼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설계함에 있어서 사전에 에듀테크 및 학습 방법에 대한 충분한 학습자 교육과 통신(인터넷) 환경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시대 가운데에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학습과 생활의 일치적 전이가 가능한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기독교교육과 수업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제한적인 기간과 인원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사례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면수업의 대안으로서 온라인 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할 시대 속에서 대안적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수준별 교과운영에 따른 기존 중학교의 시설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Face of Middle School Facilities Responding to Individualized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IILA))

  • 이화룡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권1호
    • /
    • pp.44-58
    • /
    • 2001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new architectural agenda for the existing middle school facilities responding to individualized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IILA). First, it investigates the mechanism of new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propos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he province guidances. Secondly, it suggest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new (multi-purpose) classrooms that should be built for operating new curriculum in the existing middle schools. Finally, it finally emphasizes the educational specification that should be prepared prior to planning school buildings.

  • PDF

상호작용적인 웹기반 디지털 논리회로 가상실험실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Web-based Virtual Laboratory For Digital Logic Circuits)

  • 김동식;서호준;서삼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22-2624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virtual laboratory system which can be creating efficienci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proposed virtual laboratory system for digital logic circuits provide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under which the multimedia capabilities of world-wide web can be enhanced. The virtual laboratory system is implemented to describe the on-campus laboratory, the learners can obtain similar experimental data through it. The virtual laboratory system is composed of four important components: principle classroom simulation classroom, virtual experiment classroom and management system. The database connectivity is made by PHP and the virtual laboratory environment is set up slightly differently for each learner. Learning efficiencies as well as faculty productivity are increased in this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 PDF

교수-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저비용 전자칠판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ow Cost Interactive WhiteBoard System for Improv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 김경열;박지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9호
    • /
    • pp.291-296
    • /
    • 2020
  •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정보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매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교실 수업은 강의 위주의 학습 환경이 학습자가 참여하는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전자칠판은 교수자-학습자가 상호작용을 위한 협동 학습을 하는데 효과적인 디지털 매체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 전자칠판은 구매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작동시키는 데 있어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담이 가중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이나 최빈국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프로젝터가 설치된 공간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협동 학습을 지원하는 저비용 전자칠판을 개발하고, 학습활동이 학습 관리 시스템에 연동되도록 시스템을 구현한다.

U-Learning: An Interactive Social Learning Model

  • Caytiles, Ronnie D.;Kim, Hy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5권1호
    • /
    • pp.9-13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s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to construct a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that enables learning to take place anywhere at any time. This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is described as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students' learning using digital media in geographically distributed environments. The u-learning model is a web-based e-learning system that could enable learners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the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are allowed to be in an environment of their interest. Th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the embedded computers in the environment allows learner to learn while they are moving, hence, attaching them to their learning environment.

ACS & 방향벡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 대화형 멀티에이전트 전략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non-interactive multi agents by ACS & Direction vector algorithm)

  • 김현;윤석현;정태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1-1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비대화형 에이전트(독립에이전트)를 바탕으로 멀티 에이전트 연구의 대표적 실험 모델인 먹이추적문제(prey pursuit problem)의 해결에 대한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먹이추적문제는 가상 격자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서 4개의 멀티 에이전트가 1개의 먹이(목표)를 포획하는 실험이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대화형 에이전트, 비대화형 에이전트로 구분되어 연구 되어왔으며 우리는 비대화형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문제의 새로운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제한된 환경과는 전혀 다른 순환구조형 격자 공간에서 ACS를 이용한 방향 벡터 알고리즘을 통해 비대화형 전략의 새로운 해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에이전트들은 개미의 습성을 응용한 ACS를 이용하여 학습을 하고 목표인 먹이는 에이전트의 학습 속도를 증가시키는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이동방향과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이전에 제기되었던 에이전트간의 정보교환(대화형 에이전트)방식에서 벗어나 비 정보교환(비대화형 에이전트) 방식을 새롭게 적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에 기존의 다른 멀티에이전트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다.

스마트 배움터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Eliciting and Analyzing Requirements for Smart Environment for Future-Oriented Learning and Coaching)

  • 이정우;이혜정;김민선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1-132
    • /
    • 2013
  • In education, innovati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always under development and keep being proposed with advanced concepts since the ancient times. Student-center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have been three major trends under development i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more than a decade or so. Combined with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se trends will greatly transform the way we teach and learn in classroom environment and may change the classroom environment itself, into a more interactive and self-centered coaching type environment. In this study, a smart environment that utilizes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and network is conceptualized, accommodating requirements contained and proposed in the recent trendy pedagogies. Pedagogical cases discussed in these trends are analyzed in detail, producing requirements for such a learning and coaching environment. These requirements are modeled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leading to a proposal of a basic architecture for an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this environment.

  • PDF

교육용 로봇과 증강 현실 결합을 통한 인터랙티브 학습 경험 (The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 by Integrating Educational Robots into the Augmented Reality)

  • 유정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19-42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학교 교실 수업에 교육용 로봇과 증강 현실 기술을 결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증강 현실과 로봇이라는 기술적인 요소가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학습 환경과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교실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학습모형은 기존의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초등학교 5,6학년 18명을 대상으로 정규수업 시간에 8주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로봇과 증강 현실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학습 경험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특이점은 증강현실과 로봇이라는 새로운 기술테크놀로지를 통해 성적이 하위권 학생들이 상위권 학생들보다 창의성 점수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