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disciplinary scienc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8초

학문 통합적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제IV보)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IV))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15-1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접근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학문 통합적 접근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접근 시기 및 방법, 장애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5.9%의 과학 교사가 학문 통합적 교육에 대해 알고 있으며 61.2%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와 입시부담을 고려할 때, 학문 통합적 교육이 중,고등학교 보다 초등 저학년에 더 적합하며 시행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접근법에 대해서는 57.6%의 교사가 주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으며, 16.5%의 교사가 문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다. '주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수업 자료의 구성 및 시행이 수월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고, '문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학문 통합적 접근이 교육적으로 필요하며 효과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공 교과 외의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부족'과 '교육 자료 구성을 위한 시간적 여유 부족'을 가장 큰 요인으로 선택하였는데 이는 학문 통합적 교육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전략 및 교육 자료의 안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제간 과학철학 연구의 두 방향: 간학문 STS와 다학문 STS (Two Ways of Doing Cross-disciplinary Philosophy of Science Research: Inter-disciplinary STS and Multi-disciplineary STS)

  • 이상욱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21
    • /
    • 2005
  • '과학기술학'과 '과학, 기술, 사회'의 두 가지로 번역되는 STS는 최근 국내외에서 과학 기술철학, 과학기술역사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의 여러 분과 학문의 연합체로서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학문적 정체성을 가진 독자적인 연구분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상황에서 과학철학이 과학기술학으로 이해된 STS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제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기술학 연구는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양식에 따라 분과 통합적 지적 협력인 간학문적 연구와 주제중심적 지적 협력인 다학문적 연구로 나뉘어 질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그 후 구체적인 예를 통해 과학철학이 이 두 분야 모두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외식상품학의 학제적 접근방법 연구 (Study 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Food Merchandise)

  • 김기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223
    • /
    • 2007
  • The method of study generally includes multi-disciplinary studies, inter-disciplinary studies, cross-disciplinary studies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by Meeth. In the study of food, however, it can be used intersectionally or step by st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types of related studies and define the food merchandise using th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food merchandise was defined all things considered menu; it was the academic system about menu design, reengineering and analysis. It constructed social science system and independent research system in holding peculiarity and speciality of it. Then, its own research field was gradually created as the practical and scientific method. Finally, further study about it will be progressed not in the merchandise but in the social science from now on.

  • PDF

Citation Impact of Collaboration from Intra-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Korea

  • Lee, Jae Yun;Chung, Eun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65-82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collaboration from a disciplinary perspective in Korea. There are needs to explore to what extent researchers collaborate by discipline and across discipline along with the impact of collabor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order to investigate collaboration with respect to entire discipline areas and author-declared discipline information we analyzed a national researcher information database (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with a citation index database (Korean Citation Index) covering the entire range of discipline.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sets for 10 years (2004-2013) including a total of 8 categories and 119 sub-categories of disciplines, 109,551 researchers, 650,263 articles, and 1,170,039 citations in Korea. Findings -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are different intensities of collaboration from heavy to minimal across disciplines. In examining collaboration in terms of author and discipline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collaboration in author level rises, the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creases accordingly, in most of the 119 discipline sub-categories. A number of disciplines, however, tended to collaborate more intensely within their own rather than with other disciplines. Moreover, the impact of collaboration tended to change over time depending on the types of collaboration. Specificall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as likely to have more immediate impact as pioneer research, especially among more than three disciplines, whereas the impact of intra-disciplinary collaboration is higher as time passes. Originality/value - In this research, a disciplinary investigation on collaboration is conducted for the entire range of disciplines in Korea. Through analyzing distinctive author-declared discipline information from the KRI,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tensities of collaboration across disciplines, collaboration in author level, and the impact of collaboration.

공학·과학·미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간 지식융합을 위한 수렴영역 분석 (Analysis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31-10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le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or the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convergence in the basis of the inter-disciplinary. In addition, interviews with 5 professors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analyzed. The keys of analysis were perspective of academic discip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professors recognized the inter-disciplinary of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there were some barriers engineering of professors in inter-disciplinary.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actice on Convergent Science Teaching: Survey and Self-Study)

  • 이수아;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9-374
    • /
    • 2020
  •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개선된 학부 의공학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위한 새로운 과목의 제안 (Enhanced Undergraduate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for Biomedical Engineering: a Proposal for a New Class)

  • 박현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9-284
    • /
    • 2011
  • Biomedical engineering is a discipline where engineering principles and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Biomedical engineering lies between traditional engineering and medicine and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in its nature. Current Korean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s a simple list of traditional engineering courses combined with basic medical/life science cours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improve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to reflect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Enhanced software course for biomedical engineering is proposed as a part of effort to overhaul the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n this newly proposed course, students will learn MATLAB and LabVIEW,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software tools in biomedical engineering.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효과 (제II보)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Using Inter-Disciplinary Analogy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II))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57-87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학업적 자기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비유 활동의 PDCA 네 단계 모형을 활용한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 중 독창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의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조절에 대해서는 확인된 조절과 통합된 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