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ion recognition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6초

출산장려정책 중 고운맘 카드에 대한 산모들의 인식 조사 (The Survey Research on Pregnant Woman's recognition about GO-UN-MAM CARD of Childbirth Promotion Policy)

  • 김한결;임성원;이루리;박수현;고든솔;나하늘;이경숙;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241-250
    • /
    • 2012
  • 저출산은 생산인구의 감소와 함께 보험료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 뿐 아니라, 종국에는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묵과할 수 없는 국가적인 정책과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정부의 출산장려정책 중 경제적 지원인 고운맘 카드의 실효성을 알아보고 산모들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인식도 조사를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이용했으며,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응답분석, 고운맘 카드 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재출산 의사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카이제곱 테스트를 시행했다. 분석결과, 고운맘 카드 사용으로 인한 산모들의 만족도와 재출산 의사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산모들은 정부기관 및 의료기관과 구전으로 전파된 내용에 의해 해당 정책에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금액 범위 내에서 병원 청구할인서비스 정도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원금액 및 l일 사용 한도금액과 같은 금전적 요인에서 주로 불만을 표출했다. 그에 따른 상향 조정된 희망 개선안을 요구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정책시행의 궁극적 목적인 출산률의 상승을 위해 고운맘 카드를 개선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방사선조사식품 인식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Radiation Irradiation Foods in Radiology College Students)

  • 여진동;전병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03-614
    • /
    • 2018
  • 연구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인식여부를 확인하고,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움을 주고,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방사선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선조사식품과 관련 교육경험에 대해서는 '없다'가 73.7%로 나타나 대부분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방사선전문가 교육' 49.8%, '학교교육' 31.6% 순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방사선전문가 교육 및 학교교육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 참여의향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전체 54.5%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 제공시 교육생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은 언제부터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27.7%, '중학교' 때부터 23.0% 순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은 저학년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생활에 민감한 대학생들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명확한 이해를 위한 구체적인 홍보활동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의사,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ome Health Care Program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in a Hospital, Pusan)

  • 김정순;고영희;김대숙;김정화;신재신;이길자;정인숙;황선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8-158
    • /
    • 200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n the Home Health Care among the physicians and nurses in P University.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71 physicians and 264 nurses. working at P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to May 15, 200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1) As to the previous information about home health care program, those who have been familiar to it were 100% of physicians, and 99.6% of nurses, and 39% of the physicians and 66.1% of the nurses. were found to have responded with right answers, 2) As to the acceptance of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87% of physicians and 98.5% of nurses were found to be positive and the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 .019), 3) The main reasons for accepting the system were: the alleviation of the family burden of time, the maintenance of continuity of care, and the reasons for opposing the system were incomplete legal assuranc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illegal medical services. 4) The physician's intention rate of patient referrals to home care program reveled 49.2%. 5) According to the services related to Home Health Care. the orders of acceptance rates were medical tests related services (77.8%, 92%);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s(69.0%, 88.2%): and services for medication(68.3%, 82.5%) among physicians and nurses. respectively. Conclusion: For the stabilization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ome health care system. it should be accompanied with education for physicians about home care. setting specific laws and regulations for home care. legal assurance of home care business. outcome research for home care recipients. and support systems of hospital administration.

  • PDF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방문객의 인식과 요구 조사 (A Survey on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Mountain Village Visitor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 김예지;김종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218-228
    • /
    • 2018
  • 본 논문은 산촌지역 방문객을 대상으로 산촌생태관광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산촌 정책으로 산촌생태관광을 도입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로 산림청의 산촌지역 내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체험휴양마을을 포함한 57개 산촌 마을의 방문객 439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산촌생태관광 참여의향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살펴본 결과, 평균 3.65점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방문횟수는 1년에 1회(44.6%), 1년에 2회(30.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희망 방문지역으로 강원도(44.8%)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지불의향은 평균 153,320원으로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요구사항으로 지역관광 연계 상품 개발(평균 3.99점),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평균 3.96점) 순으로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들은 산촌생태관광의 가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강화와 산촌생태관광의 매력성 증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발굴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산촌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산촌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성 교정장치 장착환자의 치주질환관련 지식 및 구강건강관련 행태 (Periodontal disease-related recogn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 최경선;문상은;김윤정;김선영;조혜은;강현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47-75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eriodontal disease-related recogn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86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in Gwangju, Jeonnam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7,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3 items), orthodontic related characteristics (3 items), knowledge of periodontal disease (3 items),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4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chi-square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62.8% had experiences of dental treatment and 67.5% had intention of involvement on incremental care program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Accuracy rate of cause about periodontal disease was high in female and case of acquiring information experiences on periodontal disease (p<0.05). 67.2% performed correct toothbrushing for the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 the experience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periodontal disease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p<0.05). The proportions of using interdental toothbrush and mouth rinsing solutions were high among those over 20 years old and students in the subjects (p<0.05). Conclusions:The accuracy rate were high in the answers about cause and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 case of acquiring information experiences on periodontal disease in orthodontic treatment perio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ental hygiene intervention program for periodontal disease care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in that regard.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학제간 협업 -인식, 어려움 그리고 극복전략을 중심으로-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Experience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Focusing on the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Strategies)

  • 이준기;황효정;백수복;신세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51-16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학제간 융합 연구를 수행해본 경험을 가진 과학기술 연구자들이 학제간 협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협업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세우는 전략들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제간 협업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는 5점 리커트 척도 문항들과 협업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및 어려움 극복전략에 관해 서술하는 개방형 문항들이 혼합된 형태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 79명에게 투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양적·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협업 태도 하위구인 중 협업의 효능감 인식이 협업의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협업의 효능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 수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제간 협업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4가지 유형(가치지향 상충, 사고방식 차이, 용어나 개념 차이, 상대분야에 대한 편견과 상호 몰이해)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7가지 유형(협상과 타협을 통한 상호 양보, 공통의 언어나 매개물의 설정과 유지, 명확한 역할의 분담, 지속적인 만남과 토의, 용어의 의미조율과 모델과 가정에 대한 사전 규정, 상대 분야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인정, 타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과학의 주요한 본성인 다원주의적 특성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협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A Survey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mplications for Growth and Development

  • Duk-Soo Moon;Jae Hyun Yoo;Jung-Woo Son;Geon Ho Bahn;Min-Hyeon Park;Bung-Nyun Kim;Hee Jeong Yoo;Editorial Board of JKACAP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29-23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JKACAP) and propose measures for its growth and developm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The six key elements analyzed were Access to the journal, Convenience following conversion to English, Recognition as an international journal and institutional achievements, Author perspectives on manuscript submission, Transition to an online-only journal, and Content and identity of the journal. Results: The survey revealed that email notification was highly effective for Journal Accessibility, with the website and search engines also frequently being used by members. Conversion to English in 2018 initially impacted readability and submission rates, but these concerns have de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Recognition of JKACAP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was still not on par with SCIE journal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efforts towards SCIE inclusion. Despite these challenges and limited research opportunities, there was an active intention among members to submit manuscripts. Respondents showed a notable preference for the Transition to an online-only journal. Regarding content and identity of the JKACAP, members predominantly favored review articles and perceived the journal as a research and communication platform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JKACAP to enhance its digital accessibility, provide more support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hors, and actively seek SCIE indexing. Addressing the varied content preferences of its members, improving the submission process, and transitioning to an online-only format could further its growth and solidify its positio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농촌여가 시장의 재방문 선택요인 분석 -부래미, 다랭이, 볏가리지역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n the Re-visitation Choice of Rural Leisure - Focused on Buraemi, Daraengi, Byucgari region -)

  • 윤희정;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4권2호
    • /
    • pp.33-42
    • /
    • 2008
  • Recently, rural leisure by urban dwellers has been recognized as a catalyst for regional development or restoration. The federal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regional planning policies attempting to address this phenomenon in the late nineties. However, most of these policies focused on supply-centered planning, which caused a diverse set of problems relating to the sustainability and economic validity of the planning.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re-visitation one of the demand variables, with the intention of analyzing the character of rural leisure demand and its re-visitation choice attribute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 of current rural leisure demand, and develops functional equations about urban people who visit rural areas, using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Urban people are visiting rural areas from nearby cities or metropolitan areas that are within 3 hours driving distance, and over 80% of rural visitors are one-day visitors. Therefore, most of their visitation activ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rural leisure, including rural tourism. In addition, the likelihood of the rural tourist to make a return visit is influenced by their transportation means, product purchasing, staying period and travel time. The results of such rural leisure demand can provide information for regional planning strategies, such as selection of target market, type of market segments, improvement of recognition level, activity program price, facility and space planning, produce sale and connection with tour site.

동대문 패션시장의 이미지와 패션제품에 대한 외국인 소비자의 인식 - 두타몰 지역을 중심으로 - (Foreign customers' recognition on DongDaeMun fashion market and products - Focused on the Doota-Mall zone -)

  • 하오선;김희라;신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42-5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hrough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 of foreign consumers, the image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the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DongDaeMun market's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n gender who visits DongDaeMun fashion market reveals that female(77.6%) was more than male, and the each age group has a priority in orders of 30s, 20s and 40s. The Japanese shoppers has more willing to visit again and a number of visitors has visited more than twice and many of them came by for the purpose of shopping. Japanese shoppers get the information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from families or advertisements by media, while Chinese customers get the information through travel agencies. 2. The image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by foreigners is generally positiv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business hour and ambience of store, and fashion of clothes. Foreign customers who visited Korea on purpose to do shopping and frequent visitors to Korea have a similar image of DongDaeMun fashion market with that of domestic visitors. 3.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 DongDaeMun fashion market for clothing was usually high. There were only few differences between Chinese shoppers and Japanese shoppe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o the DongDaeMun fashion market was the more they had bought and high intention of visiting. And the more experiences of visiting to the DongDaeMun fashion market showed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이러닝 지원정책 활용성숙도 분석을 통한 정책 효과성 제고 방안 (Measures for e-Learning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Maturity of Korean Policy Application)

  • 노규성;박상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11-1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정부의 이러닝 기술개발(R&D) 지원 정책에 대한 이러닝 공급업체의 정책 활용 성숙도를 분석하고, 기업 경영상 애로사항이 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 이러닝 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태조사 자료 중 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업의 인지, 경험, 향후 이용의향 설문 항목을 활용하여 6단계의 성숙도 모델이 도출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운영, 기술개발, 마케팅 등 경영상 애로사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닝 업체들은 자금 관리, 개발 기술의 사업화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기술개발 지원정책 활용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