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sive coursewor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4차 산업혁명 시대 공학 분야의 진입 능력 함양을 위한 집중 이수제 공학 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Intensive Coursework Engineering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to Enter the Engineering Fie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43-249
    • /
    • 2021
  • 대학 자체로 선정한 대학 고유의 핵심 6개 역량들 중에서 측정된 부족한 사항들을 강화시켜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학생 융합적 사고 역량과 자기 계발 역량을 최대화하는 집중 이수형 과목 형태로 공학 관련 전공 콜라주 과목을 신설하였다. 학부/학과간 공유형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고, 2020학년 1,2학기 각각에서 2개 이수 집단(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6명, 광공학과; 28명) 54명을 대상으로 공통된20개 문항들의 설문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75% 이상이 장소와 시간에 자유로운 온라인 학습에 긍정적이었고, 녹화된 동영상 학습 시간내 추가적인 상호작용 활동들과 팀티칭(team teaching) 방식을 보강한 집중 이수 형태는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페르소나 기법을 활용한 비대면 환경에서의 설계교과목 집중이수제 적용 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Intensive Course System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Using the Persona Technique)

  • 황윤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11-31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인재 양성에 대비하여 획일적인 학사규제에서 벗어나, 글로벌 교육 시장에서의 교류와 경쟁을 촉진하고자 집중이수제를 적용하여 팀활동 및 설계활동이 집중되는 설계교과목을 비대면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집중이수제, 비대면 환경에서의 설계 교과목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하고 실제 집중이수제 수업 경험이 있는 교원 및 학생의 요구사항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페르소나 기법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설계교과목을 집중이수제로 운영 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How to Teach English Literature through the Independent Seminar Class in the Doctoral Program

  • Lee, Noh-Shin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2호
    • /
    • pp.195-208
    • /
    • 2005
  • This paper discusses the independent seminar as one of the appropriate courses, in particular, for the students who study English literature in the doctoral program. Those who take the Ph.D. program in English literature are considered as future scholars or teachers. In taking the coursework, they not only delve into the knowledge of literature, but also begin to establish broader and deeper senses of research ability. The independent seminar class helps them build such senses through the way in which they experie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syllabus by themselves. Furthermore, in contrast to a regular class, in which a group of students learn in a classroom, the independent seminar gives each student intensive interactions with his/her professor through the out-of-classroom circumstances, since the seminar is based upon one-on-one study between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 PDF

단기 집중 이수제 지식연결 능력배양형 공학교육 과정용 교과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ubjects for Engineering Curriculum to Knowledge Connection Ability Cultivation Type in the Short-Term Intensive)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41-349
    • /
    • 2023
  • K대학교 차원에서 집중이수형 전공 지식 연결 과목으로 개설된 교과목에 대해, '콜라주(collage)' 명칭으로 2022학년 1학기에 전자공학전공학생(21명)들과 다른 14개 전공 학생들(26명)과 함께 47명의 수강인원을 구성하여, 융합형 5주 이수형 독립과목으로 진행하였고, 대상자에 대해 리커트(Likert) 5점 척도의 10개 문항들에 대한 응답 결과를 정리하였다. 정리된 결과들을 4개 항목들(신뢰도, 정규성, 상관성, 집단간 평균차 유효성)을 대상으로 검정을 진행하였고, 학습 주제의 난이도와 수강자의 학년에 따라 학습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관성이 높은 5개 설문 항목들에서 수강자 65% 이상의 학생들이 '보통' 이상의 긍정 평가로 응답했음을 확인하였다.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안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ulture)

  • 김승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7-1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가정과교육 발전의 저해 요소를 밝힘으로써 가정과교사 문화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집중면접의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으며, 각 지역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소속 석사과정 이상인 가정과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응답 자료 분석을 위해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의 철학을 정립한 후 가정교과가 청소년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를 이롭게 하는 실천비판교과라는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가정과수업을 통해서 청소년과 그들의 가정, 더 나아가 사회에 유익을 주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교사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하여 수업 방법, 평가 방법,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공개하는 등 지속해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 패러다임을 실천비판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화를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그들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를 순환적으로 적용하여 삶의 질과 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가정과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육제도와 사회적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가정과교사들의 노력으로 가정과교육은 학생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 학생의 적성을 찾아주며 가정교과의 목표를 잘 살린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이를 통해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이 가정교과가 개인과 가정의 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교과라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가정과교사문화의 발전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에서는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연구회에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끼리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이를 이끌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각 지역의 교과연구회의 중심점 역할이 되어서 다가올 교육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여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가정과교사들의 힘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는 가정과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천 비판적 가정과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가정과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생들이 더욱 깊이 있는 가정교과교육철학을 수강함으로써 가정교육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여 유능하고 성숙한 가정과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