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igent interface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26초

사용자 활동 상태에 반응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인터페이스 (Intelligent Control Interface for Display Power Response to a User's Activity)

  • 백종훈;윤병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2호
    • /
    • pp.61-68
    • /
    • 2010
  • PDA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이동 중에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단말의 경우 데스크 탑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자원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자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자 활동 상태 추정과 그 응용을 소개한다. 이는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기법으로 사용자 활동 상태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부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완하고, 이에 대한 응용은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동형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인터페이스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기종 단말기 간의 공통 인터페이스 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on Interface providing among Heterogeneous Terminal in Ubiquitous)

  • 박정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2호
    • /
    • pp.391-394
    • /
    • 2006
  • 본 논문은 차세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용자 간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기 다른 명령이나 메타포, 운영체제에 기반하는 이미지, 아이콘들처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부분을 각기 코드값화하여 프록시 서버에서 처리함으로써, 한정된 대역안에서의 대역폭 사용 효율증가와 중복전송 데이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기종 장치간의 지속적인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공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 PDF

BIM 기반 지능형 굴삭시스템 (BIM Based Intelligent Excavation System)

  • 김정환;서종원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5
    • /
    • 2011
  • 토공사는 타공종에 비하여 건설공사에서 차지하는 비용 및 공사기간의 비중이 높다. 이에 따라 토공사는 건설공사의 생산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종래의 토공사 시스템에서는 숙련된 굴삭조종자의 휴리스틱스에 의한 토공사 계획 및 토공작업을 수행하는 노동집약적 프로세스를 고수하고 있어 생산성을 높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당면과제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BIM 기반의 지능형 굴삭시스템을 소개하며 굴삭 작업 계획 생성 시스템, 원격조종 및 자율 굴삭 작업에 필수적인 Human-Machine Interface(HMI), 웹기반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PMIS)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적용된 BIM 요소기술에 대하여 검토하고, 적용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 CAD모델링에 대한 HCI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CI(Human Computing Interface) for Architectural CAD modeling)

  • 신승우;이규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0호
    • /
    • pp.86-91
    • /
    • 2002
  • HCI (Human Computer Interface)is important key of software design.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of CAD software is creation is not study actively in architectural p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ircled1 HCI of architectural modeling is demanded effective design of keypad and short key. \circled2 It is require that system reactions to be united in one interface in order to hold in check confusion of the information. \circled3 Intelligent interface for continuous update of 3D information is required.

상황 인지 방법을 이용한 지능형 제스처 인터페이스 (Intelligent Gesture Interface Using Context Awareness)

  • 오재용;이칠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30-1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지(Context Aware)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존의 인식 방법들은 대부분 제스처의 개별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제스처를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인식 알고리즘을 일반화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간의 모든 제스처를 제한된 특징으로 모호하지 않게 구별하기 어렵다. 둘째, 같은 제스처라 할지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확률 기반의 상황 인지 모델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제스처의 개별적인 의미를 인식하기 전에 대상의 상황을 추상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행위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시스템의 상태를 [NULL], [OBJECT], [POSTURE], [GLOBAL], [LOCAL]의 5 가지 상태로 정의한 뒤, 각 상태의 천이를 바탕으로 대상의 상황을 판단한다. 이러한 상황 정보에 따라 각 상태에 최적화된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지능적인 제스처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방법들이 갖는 제스처 인식의 제약을 완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제스처 인터페이스는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이 필요한 지능형 정보 가전 혹은 지능형 로봇의 HCI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rehensive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adaptive interface in the field of single-human multiple-robot interaction

  • Ilbeygi, Mahdi;Kangavari, Mohammad Reza
    • ETRI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483-498
    • /
    • 2018
  • Nowadays, with progresses in robotic scien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chanism for human-robot interaction with a low workload is inevitable. One notable challenge in this field is the interaction between a single human and a group of robots. Therefore, we propose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single-human multiple-robot remote interaction that can form an efficient intelligent adaptive interaction (IAI). Our interaction system can thoroughly adapt itself to changes in interaction context and user states. Some advantages of our devised IAI framework are lower workload, higher level of situation awareness, and efficient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IAI architecture as our comprehensive mechanism. In order to practically examine the architecture, we implemented our proposed IAI to control a group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nder different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our devised IAI framework can effectively reduce human workload and the level of situation awareness, and concurrently foster the mission completion percentage of the UAVs.

휴먼/로봇 인터페이스 연구동향 분석 (Trends on Human/Robot Interface Research)

  • 임창주;임치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1-111
    • /
    • 2002
  • An intelligent robot, which has been developed recently, is no more a conventional robot widely known as an industrial robot. It is a computer system embedded in a machine and utilizes the machine as a medium not only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computer but also for the physical interaction among the human, the computer and their environment. Recent advances in computer 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create several of new type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which are realized by utilizing intelligent machines.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design human/robot interface(HRI) to make for a more natural and efficient flow of information and feedback between robot systems and their users in both direction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HRI and review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HRL. The recommended research directions in the near future are also discussed based upon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HRI technology.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문형 유연 CAD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Strategy for Customized Flexible CAD Systems Us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신정호;곽병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호
    • /
    • pp.92-99
    • /
    • 2004
  • With the advent of computers, CAD systems are widely used for various design practice. Complexity of CAD systems and difficulty of exchanging data among different CAD systems, however, do not allow efficient use as desired. In addition, to follow variety of designers' need, CAD activities should be customized. This article proposed a methodology fer developing an intelligent CAD system and the sate-of-the-art technologies described fur customizing CAD systems using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 basic platform is proposed and a useful application system is implemented to enable a parametric design by directly inputting numerical values on a CAD model. Based on this application, we developed a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share part family data between SolidEdge and Pro/Engineer. The proposed concept on intelligent CAD systems facilitates integration of external systems such as CAE tools and promotes the use of CAD for both engineering designers and analysts.

휴대 단말기기의 3차원 그래픽 엔진 및 XML 기반 메뉴 저작 도구 구축 시스템 (The Development System of Third 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Engine and Menu Authoring Tools Based on XML at Mobile)

  • 권희춘;안병렬;김문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378-380
    • /
    • 2006
  • 국내 휴대 단말기기(Mobile Phone, PDA 및 DMB 폰 등)의 하드웨어적 컨버젼스 기술은 국제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세계 시장에서 선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휴대 단말기기에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지는 UI(User Interface)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실정이다. 이에 따라 3차원 그래픽 UI의 구현과 휴대 단말기기의 이벤트에 반응하는 3차원 아바타 시스템 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적 컨버젼스 시대의 대비는 필수적이며, 본 논문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3차원 UI의 구현 뿐 아니라 쉽고 빠르게 UI를 구축 할 수 있는 Authoring Tool 개발의 시급성을 인식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및 분석 방법 (EEG Signal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for Brain-Computer Interface)

  • 염홍기;장인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7-150
    • /
    • 2008
  • 사람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다 편리하고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사람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Interface하기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체신호에는 뇌파, 근전도, 심전도,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를 위해 사용자의 가장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뇌파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뇌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뇌파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뇌파분석을 위한 뇌파 유발 자극 방법 및 측정법을 제안하고 사람이 몸을 움직이고자 하는 상상을 할 때 ERS(Event-Related Synchronization), ERD(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를 분석함으로써 사람의 의도를 뇌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