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ion Capabili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3초

고해상도 주제 정보 생성을 위한 저해상도 원격탐사 자료의 지구통계학기반 상세화 및 정밀 관측 자료와의 통합 (Geostatistical Downscaling of Coarse Scale Remote Sensing Data and Integration with Precise Observation Data for Generation of Fine Scale Thematic Information)

  • 박노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9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저해상도 원격탐사 자료 기반 주제도의 상세화를 목적으로 2단계로 구성된 지구통계학적 통합 기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영역-점 변환 크리깅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부가 자료의 상세화를 수행하고, 이 정보는 이후 통합 과정에서 경향 성분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세화된 부가 자료와 소수의 정밀 관측 자료와의 통합에 가변적 지역 평균 기반 단순 크리깅을 적용한다. 제안 기법은 저해상도 부가 자료의 상세화를 통해 해상도 차이에 따른 정밀 관측 자료와 부가 자료와의 통계적 연관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정밀 조사 자료와의 통합을 통해 부가 자료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 기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지상 관측 강수 자료와 TRMM 자료와의 통합을 이용한 고해상도 강수 주제도 제작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영역-점 변환 크리깅을 통해 원 자료 스케일의 TRMM 강수값을 재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목표 고해상도에서의 상세 정보 추출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정밀 관측 자료와 통합함으로써 정밀 관측 자료만을 이용하는 단변량 공간 예측 기법에 비해 향상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제안 기법은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자료를 대상으로 저해상도 부가 자료의 상세화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능력 및 성숙 수준에 관한 실증적 비교 분석과 평가 시스템 개발 (Empirical Study on Software Process Capability and Maturity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Appraisal System)

  • 홍정유;이수정;경원현;고석하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신정보기술 패러다임
    • /
    • pp.178-198
    • /
    • 2002
  • 1980년대 초기 미 국방성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에 대한 판단 착오로 금전적, 시간적, 성능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미 국방성은 카네기 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측정하고,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CMM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 방법은 외부 전문가를 이용하여 평가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에서 이러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중ㆍ소규모의 조직에서 사용하기에는, CMM의 평가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추상적이다. 소규모 기업의 경우에 3년여에 걸친 프로세스 향상노력으로 많은 성과가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CMM의 평가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1 단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사례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CMM의 평가 방법은 중소 규모 조직에는 적절치 않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업이나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와 개선을 위한 모델들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펼쳐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모델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 분류에 의거해서,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취득에 관련된 조직들이 각 프로세스 영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해당 영역에서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키는 것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은 CMM이나 ISO Is504 등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 표준과는 많이 다르며,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미국의 일반적인 관행과도 많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이나 유럽의 대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을 위해서 개발된 CMM이나 ISO 15504 등은 우리나라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에는 특히 부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의 종류, 조직의 규모, 그리고 프로젝트 수행 규모에 따라서 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킬 필요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서 무엇을 정말로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실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와 개선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실제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침입 탐지 및 차단 시스템의 보안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Capability of IDPS)

  • 우성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4호
    • /
    • pp.9-15
    • /
    • 2012
  •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의 증가로 인터넷은 전보다 더 많이 이용되고, 개인이나 혹은 기업등은 그들의 업무처리나 생활의 많은 부분을 컴퓨터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쉬운 접근으로 시스템을 속이고 공격하는 방법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웹상에서의 보안은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존재이며 보안 메카니즘의 도입도 시급한 편이다. 현재 많은 보안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완전한 차단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또한 견고한 IDPS 솔루션은 여러개의 IDPS 기술사용 없이는 불가능하여 많은 조직들은 많은 벤더들로부터 다중의 IDPS 제품들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들은 또한 디자인과 구현의 제약사항들 때문에 여전히 최적화 문제에 놓여있다. 본 논문에서는 IDPS의 주요기능을 설명하고 IDPS의 구성요소 및 구조, 각 기술 유형별 특징과 보안 능력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것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는 IDPS 기술들을 통합하여 최적의 IDPS 솔루션을 찾는, 다중 IDPS 기술 통합의 기반을 조성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능력 및 성숙 수준에 관한 실증적 비교 분석과 평가 시스템 개발 (Empirical Study on Software Process Capability and Maturity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Appraisal System)

  • 홍정유;이수정;경원현;고석하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178-198
    • /
    • 2002
  • 1980년대 초기 미 국방성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에 대한 판단 착오로 금전적, 시간적, 성능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미 국방성은 카네기 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측정하고,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CMM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 방법은 외부 전문가를 이용하여 평가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많은 기업에서 이러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중ㆍ소규모의 조직에서 사용하기에는, CMM의 평가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추상적이다. 소규모 기업의 경우에 3년여에 걸친 프로세스 향상노력으로 많은 성과가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CMM의 평가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1 단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사례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CMM의 평가 방법은 중소 규모 조직에는 적절치 않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업이나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와 개선을 위한 모델들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펼쳐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모델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 분류에 의거해서, 우리나라의 소프트41어의 개발과 취득에 관련된 조직들이 각 프로세스 영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해당 영역에서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키는 것을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은 CMM이나 ISO 15504 등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 표준과는 많이 다르며,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미국의 일반적인 관행과도 많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이나 유럽의 대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을 위해서 개발된 CMM이나 ISO 15504 등은 우리나라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 조직에는 특히 부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의 종류, 조직의 규모, 그리고 프로젝트 수행 규모에 따라서 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영역의 기준, 절차 그리고 방법을 문서화시킬 필요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서 무엇을 정말로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실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와 개선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실제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공급사슬성과와 정보기술역량 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분석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ICT capabilities)

  • 오수정;오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55-767
    • /
    • 2014
  • 최근 많은 기업들이 공급사슬에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정보통신기술이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명확한 결론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역량의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네 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여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ICT 역량을 구체적으로 협력과 변화 역량으로 구분하여 이를 토대로 집단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공급사슬성과의 각 요인에 대하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ANOVA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통신기술의 역량이 모두 높은 집단이 공급사슬성과 중 특히 통합과 유연성 성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과 유연성 변수의 세부문항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업 실무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세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간중심의 제조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공 및 조립시스템의 holon 설정 (The holons settlement of the processing and assembly system for the human-oriented manufacturing system forming)

  • Joung, Boum-Jin;Kim, Day-Sung;Kim, Man-Jin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공군사관학교, 청주; 26-27 Apr. 1996
    • /
    • pp.639-643
    • /
    • 1996
  • The manufacturing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labored manual process system, which is managed and operated by managers and operators, to CIMS(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integration of manufacturing, research, development and consumption in the age of diverse customer's needs[6]. However, because it involves the hierarchical system composed of many sub-systems interface and its installation & setup cost is very expensive, CIMS has many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the durable optimal system that is able to adapt to rapid in-outer circumstance change. So, HMS(Holonic Manufacturing System), the new conceptua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the self-problem-solving and self-organization[11], is instructed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at it has in these days. The system flexibility in the HMS is able to be ensured, with the integration of human's strong points into mechatronics manufacturing system to reduce interference among sub-systems. In this paper, the manufacturing process rational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 assembly line in an automobile industry, has lots of problems i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has been studied in an early stage of converting the present state of process system to HMS, which is human-oriented processing system, to improve the line efficiency, system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by using human capability effectively. This paper is derived into the human-oriented & object-oriented holons settlement of the shop floor system composed of processing, assembly and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the future holonic manufacturing system, which is going to be computer supported control system.

  • PDF

Knowledge- Evolutionary Intelligent Machine-Tools - Part 1 : Design of Dialogue Agent based on Standard Platform

  • Kim, Dong-Hoon;Song, Jun-Yeob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863-1872
    • /
    • 2006
  • In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machine-tools have been the target of integration in the last three decades. The conventional concept of integration is being changed into the autonomous manufacturing device based on the knowledge evolution by apply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n which an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high-speed network and internet technology are included. In the advanced environment, the machine-tools is not the target of integration anymore, but has been the key subject of cooperation. In the near future, machine-tools will be more improved in the form of a knowledge-evolutionary intelligent device.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lligent machine having knowledge-evolution capability and a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perability. The knowledge-evolutionary intelligent machine-tools is expected to gather knowledge autonomically, by producing knowledge, understanding knowledge, reasoning knowledge, making a new decision, dialoguing with other machines, etc. The concept of the knowledge-evolutionary intelligent machine is originated from the machine control being operated by human experts' sense, dialogue and decisi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evolution in M2M (Machine to Machine) and the scheme for a dialogue agent among agent-based modules such as a sensory agent, a dialogue agent and an expert system (decision support agen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with intent to develop the knowledge-evolutionary machine-tools. The dialogue agent functions as an interface for inter-machine cooperation. To design the dialogue agent module in an M2M environment, FIPA (Foundation of Intelligent Physical Agent) standard platform and the ping agent based on FIPA are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dialogue agent is designed and applied to recommend cutting conditions and thermal error compensation in a tapping machine. The knowledge-evolutionary machine-tools are expected easily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d shows a good assistance to sensory and decision support agents.

프로토타입 이론을 적용한 계층적 이미지 계측시스템 (A Study on Image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totype Theory)

  • 김돈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27-34
    • /
    • 2001
  • 인상이나 감성적 기호가 구매에 영향을 주는 제품군의 디과인에 있어서는 사용자 시점으로부터의 감성적 평가를 디자인 프로세스의 보다 상류단계에서부터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이디어 스케치 개량을 위한 유효한 정보로서 피드백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감성적 평가에 있어서, SD법(의미미분척도법)으로 대표되는 종래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계측대상을 [집단적인]경향으로 취급하여 독립적으로 판단을 하도록 요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SD법적 평가만으로는 사물인지과정에 있어서 인간의 유연한 유사성 판단능력을 평가에 반영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감적 판단에 의한 자극의 분류와, 계층분석법 및 퍼지적분법에 기초를 둔 계층적 이미지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가 프로세스는 평가 자극 및 평가 항목의 직감적 분류,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의 대표예의 선정, 각 자극의 이미지평정, 피지적분법에 의한 우선도의 산출 등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며, 이러한 평가 프로세스를 상호대화적인 환경하에서 수행하기 위한 평가지원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Fabrication of silicon nano-ribbon and nano-FETs by using AFM anodic oxidation

  • 황민영;최창용;정지철;안정준;구상모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54
    • /
    • 2009
  • AFM anodic oxidation has the capability of patterning complex nano-patterns under relatively high speeds and low voltage. We report the fabrication using a atomic force microscopy (AFM) of silicon nano-ribbon and nano-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The fabricated nano-patterns have great potential characteristics in various fields due to their interesting electronic, optical and other profiles. The results shows that oxide width and the separation between the oxide patterns can be optimally controlled. The subsequently fabricated silicon nano-ribbon and nano-FET working devices were controled by various tip-sample bias-voltages and scan speed of AFM anodic oxidation. The results may be applied for highly integration circuits and sensitive optical sensor applications.

  • PDF

무인기 제어 전용 통신 기술 표준화 동향 (R&D and Standardization Trends on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 김희욱;강군석;이병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3호
    • /
    • pp.70-77
    • /
    • 2018
  • Considering the increased demand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s) in various commercial and public sector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 UAS into a national airspace program for manned aircraft operations. For the safe operation of a UAS in a national airspace program,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and avoidance capability at a similar level of "see and avoid" by pilots of manned aircraft, a highly reliable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 (CNPC) link is needed for unmanned aircraft vehicle (UAV) control at a similar level as aircraft control by manned aircraft pilo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the UAS CNPC network technology for the safe integration of UAS into a national airspac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