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or's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7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현정;최진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3-323
    • /
    • 2009
  •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 시스템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기능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한 수행평가 시스템은 우선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단순한 점수가 아닌 이원분류를 통해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에 대한 항목별 근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를 단순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분석하여 학생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나아가 학업성취도에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 인해 학생은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학업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준거 별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에게는 학업상태에 따라 완전학습을 추구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차등 지원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 PDF

대학에서의 실시간 온라인 시험 경험 및 공정성 (Real-time Online Test Experience and Fairness at a University)

  • 김경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29-237
    • /
    • 2020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시험방식을 고안하여 K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에 7차례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공유하고, 실시간 온라인 시험에서의 공정성 확보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실시간 온라인 시험은 zoom cloud meetings를 활용하였다. 학생들이 PC나 노트북 중 한 가지 기기와 휴대폰으로 동시에 회의에 참여하도록 하였고, 교수자는 한 문제씩 화면에 실시간으로 띄워주며 비공개톡을 활용하여 답안을 수거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학생들의 모니터 화면과 키보드, 마우스,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통제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93.8%의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공정하게 진행되었고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고, 90.6%의 학생들은 온라인 시험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원격강의와 온라인 시험이 보다 활성화될 것이므로 보다 공정하고 체계적이며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시험방식을 개발함으로써 점차 다른 시험으로도 확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컴퓨터 대수와 베이지언 추론망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e-러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daptive e-Learning System for Engineering Mathematics using Computer Algebra and Bayesian Inference Network)

  • 박홍준;전영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76-28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웹 저작 환경과 베이지언 추론망을 적용한 학습자 진단 환경이 포함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교수자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수식처리 엔진으로 하며 웹을 인터페이스로 하는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및 이산수학의 영역에서 콘텐츠 개발의 예를 소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지식 영역별 수준을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추론에 의해 진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피드백을 생성하는 적응적 이러닝 웹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한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 결과물을 대학 강의에 적용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콘텐츠 사용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전문대학 식품영양과 졸업생의 진로 확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largement of Course in Life for the Graduate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 소명환;윤성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3-83
    • /
    • 198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se the way that could enlarge the course In life for the graduate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questionnaires gathered from professor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and from dieticians of industry, school and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ultivation number of dieticians is too excessive in comparison with the need, and so It is necessary for the colleges to restrict the row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for a time, and for the government to tighten the employment system of dieticians. 2. The employment of dieticians will be extended to such fields as school,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and counsel office of nutrition to act as a nutritional educator or a medical server in the future, and consequently the colleges which cultivate dieticians should improve the curriculum to agree with this. 3.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novate the system of dietician arrangement to such a way as establishes a new rule in which additional dietician Should be employed In accordance with the feeding number in industry and hospital, as restricts the position-combine of a dietician with a cook in a large feeding institute, as gives the qualification of a nutritional instructor only to the diatician at public health center, as gives the qualification of a nutrition -teacher to the dieticians who completed the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n allows them to act as a nutrition-teacher in school. 4. The way to give a higher grade of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o the graduate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for the supplement of dietician's faculty.

  • PDF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다문화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Instructo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채진영;김헤라;강복정;황혜신;권기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13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instructors. The subjects were 750 visiting instructors from 14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6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One-way ANOVA, Scheff$\acute{e}$ post-hoc test, independent t-test,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PASW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scales of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instru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rust in the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instructors. Meanwhile, the independent t-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atisfaction regarding treatment and salary according to the assigned work. Second, the stepwise multi-regression models revealed that three subscales (job performance, trust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job aptitude) of job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to both the teaching experiences and assigned work, but this was no the case for satisfaction about treatment and salary. Regardles of teaching experience or assigned work, teaching efficacy in multicultural efficacy affected all subscales of job satisfaction except for satisfaction about treatment and salary.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신규 보건진료원을 위한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및 운영 평가 (A Design for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박지연;서민규;김형숙;유경희;전경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1-14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cribe the process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Methods: The case study design was used to develop and evaluate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46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training program. The class was held two hours a week for 8 week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tes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critical skill was graded according to the final test sco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using SPSS WIN 20.0. Results: Clinical critical thinking competenc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ase situations with questions guid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group discus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articipants was determined to have increased slightly after having taken the class. 17.4% of the participants had a competency level high enough to solve a problem and half of them stayed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Compared with the class's satisfaction with the relevance to their jobs, the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method and instructor was high.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classes for community health nurses in order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효과적인 대학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위한 사례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쓰기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 University Presentation Education - In the case of Writing and Communication Class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세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625-639
    • /
    • 2014
  • 오늘날 프레젠테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지만, 대학 교육은 이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프레젠테이션이 융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인식 하에 효과적인 대학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전 학기 학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성과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프레젠테이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쓰기와 의사소통> 수업 사례를 분석 평가하였다. 그 결과 프레젠테이션 과정을 '콘텐츠 기획' 단계와 '표현과 소통' 단계로 나누어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교육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대학 프레젠테이션 교육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말하기와 글쓰기 능력, 디지털 기술 활용과 인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조화롭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상호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e-learning 콘텐츠 생성 및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fficient e-learning Content Creation and Maintenance Method)

  • 조수현;김영학;김명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25
    • /
    • 2008
  • 최근에 e-learning의 사용이 증대되면서 교수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하여 새로운 온라인 강의 코스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한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새로운 정보로 갱신되어야하고, 또한 새로운 콘텐츠가 이들 콘텐츠를 재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교수자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여기저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찾고 편집하고 관리하는 일은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PC환경에서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e-learning 콘텐츠 관리 도구의 개발은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된 다양한 콘텐츠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새로운 강의 코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는 e-learning콘텐츠 생성 및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PC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자들의 콘텐츠 개발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평가를 위해 콘텐츠 키워드의 검색 시간에 따라 본 시스템을 이전 시스템과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 이전 시스템보다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전자우편을 활용한 문항 기반 학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tem Based Learning System Using E-mail)

  • 최용석;김필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85-9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기반 학습시스템이 가지는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미흡한 측면과 대규모 학습자의 동시 접속시 병목현상 및 제한된 상호작용에 따른 학습자의 동기 저하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우편을 활용한 문항 기반 수준별 학습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학습자는 수준에 따라 필요한 문항을 전자우편을 통해서 제공받고 제공된 문항을 풀고 이에 대한 결과 및 도움을 학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 및 흥미를 자연스럽게 부여받을 수 있다. 둘째, 교수자는 웹상에서 별도의 도구없이 손쉽게 문항을 제작함으로써 문항은행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학습자가 전자우편을 통하여 수행한 학습 결과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간편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대화방 메커니즘을 구축함으로써 학습 시스템의 상호작용성과 질의 및 응답의 용이성을 극대화하였다.

  • PDF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The Analysis of Questions in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Information · Computer)

  • 여지원;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9학년도 임용시험의 정보 컴퓨터 표시과목에서 출제된 문항을 전공 영역별로 분류하고 영역별 비중과 배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설문지를 통해서 (1) 문항의 전공영역 분포와 교사능력 검증에 대한 의견, (2) 시험의 난이도, 시간배정,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비율에 대한 의견, (3) 교수그룹과 응시자 그룹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출제 문항은 출제의도대로 각 과목별 영역에서 비율이 고르게 출제되었다. 또한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각각에 대해 교수 그룹과 응시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