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Materials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iveness Analysis of Computer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Digital Therapeutics

  • Eunsun Choi;Namje Park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9-18
    • /
    • 2024
  • Digital therapy has emerged as a novel treatment modality, propelled by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last five years,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surge in research publications addressing digital therapeutics (DTx) interventions, signaling a sustained upward trajectory in this field. The dynamic nature of computer science, marked by continuous innovation and development, underscores the need for agile adaptation to rapid changes. Consequently, computer science education is compelled to offer students insights into the latest trends. This research endeavors to contribute to the evolving landscape by developing textbooks that impart knowledge about DTx, an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these textbooks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instructional materials have been carefully organiz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bout the principl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Tx at the elementary level and the DTx that can prevent and address the digital drama at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textbook, students who received instruction using the textboo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subcategori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cluding idea modification, visualization, task focus, analogy, idea generation, and elaboration (p<.01).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using the textbook, with negative efficacy decreasing, and positive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increasing (p<.001).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가족 생활과 주거 공간"단원의 협동학습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적용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o the LT Lesson Plan for the Chapter "Family life and Housing")

  • 김영미;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5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 and to evaluate its application for the chapter of 'family life and housing'in the class of Home Economic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This study has been done in three phases : analysis. development. and evaluation p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Design. the objective of learning aimed to build the housing and utilities for all family members. Moreover. the various learning materials such as computer program. video materials. and worksheets of the group work were utiliz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 plan. Second.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was examined through the assessment of the concept of the design. and the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 at the end of class. The LT cooperative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method was perceived to be appropriate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ooperative work was also enhanced. The use of the computer programs. and video tapes was considered to be useful. Third. the response of the teachers was found to be both positive and negative. Teachers'positive reactions indicated that the use of the Universal Design facilitated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stimulating their motivations and creative ideas not only in the classroom but also in the real life as for the negative reactions. teachers perceiv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Design.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s and class hours were relatively shout. These should be added to by the further study with the teachers endeavor.

  • PDF

사회과 지역교과서 활용을 위한 전자교과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Text Books in order to Utilize Regional Text Books for Social Studies)

  • 강오한;박희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과 전자 교과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한 전자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사이트의 접근 및 활용성, 교수학습의 설계, 수업 운영, 학습 내용의 타당성 및 정확성, 인터페이스 설계, 웹 멀티미디어에 관한 측면에서 설문을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 모형은 기존의 모형에 비해 주 교재로 사용하기 위한 전자교과서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책 메타포를 활용한 네비게이션을 적용하였으며, 온라인의 장점을 살린 외부 사이트 연결이나 외부 프로그램과의 연결 외에도 풍부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지식 이해 영역과 기능 영역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Flipped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Smart Classroom)

  • 정영식;서진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5-1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뒤집힌 교수학습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체계화하여 PATROL 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계획단계(Planning)는 교사가 앞으로 진행할 수업을 설계한다. 둘째, 실행단계(Action)는 학생들이 가정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자율적인 온라인학습과 과제를 수행한다. 셋째, 추적단계(Tracking)는 디지털교과서가 실행단계의 활동 상황이나 결과물을 분석한다. 넷째, 추천단계(Recommending)는 디지털교과서가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에게 교실 수업활동을 제안한다. 다섯째, 요구단계(Ordering)는 학생들이 교실 수업 중에 필요한 자료를 요청한다. 여섯째, 안내단계(Leading)는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관찰하여 수준별 자료를 제공한다. PATROL 모형을 2개 학교에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의 주도적 발언이 많아졌고, 전체 활동보다는 모둠활동이나 개별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궤간 순시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2009개정 3~4학년군 과학교육과정과 연계한 체험학습 장소 및 과제형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Places and a Task-base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n 3~4th Grade Curriculum of 2009)

  • 권혁재;강헌태;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73-28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experiential learning place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to students for solve the problem of prejudice to specific places such as science museum, zoo and botanical garden.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were conducted about experiential places and awareness of experiential learning. 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use of experiential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but there were responses that a lot of preparations for the progress and efforts were needed. Therefore, i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for experiential learning are giv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of using is increas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experiential sites were categorized into 12 types. We could present basic data that can diversify not only the science museum but also science related experiential places. We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related to 'The Liquid and Gas' unit of the third grade, And 'Life unit of Plant' unit of the third $4^{th}$ grad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help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o be activated and student - centered experiential learning to be realized.

단순화 조건법을 이용한 지질 연대 분야의 학습 자료 개발과 그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Learning Materials of Earth Science Using Simplifying Condition Method)

  • 김종희;정희경;김상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95-507
    • /
    • 2003
  • 본 연구는 정교화이론을 기초로 개발된 단순화 조건법을 적용하여 지구과학 교과의 지질연대 단원에서 지질 단면도 해석에 대한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자료의 수업에서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화 조건법을 적용한 수업과 체제적 과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자료를 적용한 수업과의 비교 실험을 실시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으로는, 단순화 조건법을 이용한 수업은 다른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비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단순화 조건법에 따라 개발된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 핵심과제(epitome)의 제시는 학생들에게 새롭고 복잡한 학습과제를 간단하고 의미 있게 하며 이를 기존의 지식들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 결과로 생각된다.

통합형 수리논술 지도 사례 - 구체물과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원뿔곡선 수업 - (A Case Study of Teaching Mathematics for Integrated Essay Education: Instruction of Conic Section using Concrete Materials and Technology)

  • 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67-580
    • /
    • 2013
  • 대학 입학 전형에서 통합 논술이 시행되면서 학교 교사나 학생들은 통합 논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교사들은 지도 방법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통합 논술 지도를 위한 수업의 사례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수업은 내용 지식으로서 수학에서의 원뿔곡선의 정의와 안테나 반사판의 설계에 적용된 원뿔곡선의 반사 성질을 주제로 하고, 수학사, 구체물, 종이접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원뿔곡선의 정의와 성질을 발견하게 하였다. 이러한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사를 통해 수학적 지식이 인간에 의해서 발명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고, 정의나 명제를 만들고 정당화 해봄으로써 수학적 명제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견한 성질들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며, 정당화 과정에서 이유나 근거를 설득력 있게 기술할 수 있다. 통합 논술을 지도함에 있어서 내용에 따라 다양한 접근의 수업 자료와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Energy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 김경아;최준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의 H 중학교 2학년 남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는 수업 자료의 개발을 위해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문헌을 연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 단계는 목표 설정, 학습지도안 설계, 수업 자료 제작, 평가 자료 개발의 구성 단계에 따라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1)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2) 학생들에 의한 예비 시험과 현장 시험을 실행하여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H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에너지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65%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이 과학교사의 TPACK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gramming-Based Lessons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Related to TPACK)

  • 최은선;이영준;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93-70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는 37명의 초등, 중등,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과학수업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단원과 기존의 교수법에 대해 조사한 후에, 스크래치를 이용한 새로운 교수 자료를 제작하는 활동을 체험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로운 수업전문성인 TPACK의 발달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을 통해 초등, 중등,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 공통적으로 가르치기 어려운 단원으로 선정된 태양계의 행성운동 내용을 중심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천동설과 지동설 행성 운행 모델을 구현하는 경험을 하도록 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와 수업 발표를 토대로 테크놀로지의 수업도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TPACK의 발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의 TK, TCK, TPK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교수 자료 제작이 교사들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학생들에게 관찰 현상에 맞는 모델 구성 능력을 길러주며, 정의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E-학습 중심의 TOEIC 집중교육에 대하여 (On Intensive E-learning TOEIC Course)

  • 성태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17-223
    • /
    • 2013
  • 본 논문은 한 대학에서 3년에 걸쳐 실시한 토익 모의고사를 바탕으로 4주간의 집중코스와 한 학기에 걸쳐 진행되는 상시적 토익코스의 점수 분포를 비교하고, 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그룹의 능력 뿐만 아니라 사용된 교수용 교재 및 장비를 살펴본다. 해당 대학은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4주간의 토익 집중코스를 개설하고 있으며, 참여 학생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수업에 참가한다. 또한 해당 대학은 매 학기동안 15주간의 상시적인 토익코스를 개설해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한 시간의 수업을 진행한다. 본 논문은 EFL/ESL 교육에서 교사가 교수 자료, 교수법 및 e-학습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상시적으로 개설되는 토익코스는 한 학기동안 75시간 수업이 진행되며, 4주간의 집중코스는 120시간 수업이 진행된다. 이 두 코스의 제한된 시간들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라고 볼 수는 없다. 미래에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서 성공적인 향상을 보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질적으로 우수한 EFL/ESL 집중코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