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 evaluation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Tools of Performance Task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0
    • /
    • 2011
  •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피교육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필시험, 객관식 고사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행평가가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과제를 완성한 정도나 상태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보활용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수행평가는 정보활용능력의 상태나 정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수행과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수자가 수행평가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정보활용교육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행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는 템플릿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계 즉, 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지식과 기능, 과제 유형, 측정 및 채점기준으로 구성하였다.

온라인 정보문해 과목의 교육 효과 및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Onlin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for Undergraduate Students)

  • 김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61
    • /
    • 2006
  •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실시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문해 2학점 과목의 교육 효과 및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쌍방향 온라인 튜토리얼 방식으로 정보문해 교수 학습안을 구안하였으며, 2006년 1학기 정보문해 과목의 수강생 284명 중 9개 계열 251명의 정보문해 교육 사전 사후 테스트 결과와 246명의 학기말 강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개의 일반적인 정보문해 능력이 모두 향상됨으로써 온라인 정보문해 과목의 교육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열에 따라 교육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온라인 정보문해 과목의 교육 내용과 구성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규 교양과목으로서 온라인 정보문해 교육은 대학생에게 일반적인 정보문해를 가르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이 밝혀졌다.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 김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13
    • /
    • 2017
  •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서 수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수학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역량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평가 결과의 환류가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의 평가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역량 간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수업과 연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행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사용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 주지만 평가 결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초등학생의 융합수업이 영어 능력(듣기, 읽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과학 애니메이션의 활용 (The Effect of Integrated Instruction for Improving English Ability (Listening & Read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Science Animation)

  • 박미화;송해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3-140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 융합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이하 영어 능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반(27명) 학생들은 영어수업 시작 전 융합수업을 받은 반면 통제반(28명) 학생들은 그 시간에 전 시간에 배운 수업을 복습하였다. 실험 시작 전, 2018년 3월에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6학년 진단평가를 통해 동질집단인 것을 확인하였고 10개월의 실험기간 종료 후 2017년 3월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중학교 1학년용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융합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실험 전 후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흥미도와 자신감 측면에서 향상이 있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화된 정맥주사 관리 교육을 통한 의료질 향상(QI) 활동 평가 (The Evaluation of Medical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Through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Instruction)

  • 한상숙;박선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5
    • /
    • 2005
  • Purpose: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as one of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with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and to confirm the evaluation from th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also from nurses themselves. Method: The subject of this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was a control group of 239 patients and 176 nurses, a comparison group of 128 patients and 146 nurses. The tool consisted of hospitality (towards patients), explana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Windows 11.0 program for percentage, $X^2$-test and t-test. Result: 1) The nurses who were instructed in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received more satisfactory evaluation from the patients(t=-2.89, p=.004) than the nurses who were not. However, in the subdivisions, the explanation field was the only one to receive a more satisfactory evaluation(t=-1.14, p=.255). 2) The nurses who were instructed in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showed higher performances in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t=-4.21, p=.000) than the nurses who were not. In the subdivisions, hospitality, explana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all showed effectiveness ($t=-2.35{\sim}3.90$, $p=.020{\sim}.000$). Conclusion: From the results stat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instruction for nurses brought out better evaluation, i.e. satisfaction, from th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the nurses who received the instruction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 PDF

오프라인 면대면 수업과 비동기식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 'HTML5 웹 프로그래밍' 과목의 강의평가 및 기말고사 문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between offline face-to-face classe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es - Focusing on lecture evaluation and a final exam question in the 'HTML5 Web Programming' course)

  • 권종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37-5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이후 전 세계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비동기식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오프라인 대면으로 진행되고, 2020년에 코로나로 인해 비동기식 온라인으로 진행된 HTML5 웹프로그래밍 과목의 강의평가와 기말고사 문항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수업방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 교과과정의 온라인 수업 적용에 대한 우려와 달리, 동영상 기반 온라인 수업의 강의평가와 기말고사 점수가 높게 나타나 향후 온라인 수업의 구성과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오프라인 수업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The comparison on the learning effect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 송다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61-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n low-achievers in mathematics who studied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fter school. Blended e-learning is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e-learning using the e-stud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 local.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was proceeded as follows; (1) all students are given a syllabicated learning task and a study guide, (2) students study the material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ir own 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he teacher strengthens the students' motivation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after students study a subject and solve the evaluation problem. The learning materials for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re re-edited the offline education contents provided by the blended e-learning to the level of students. The 118 $7^{th}$ grade students from the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well as survey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has more positive impacts than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ird, both types utiliz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re is not thei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예비 초등교사들의 동료 탐구 수업 비평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ritiques of Peers' Inquiry-Based Instruction)

  • 이신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89-4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 비평 기준과 비평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은 초등과학 탐구 수업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대학교 2학년 31명의 학생들로 2-3인이 한 조로 과학 탐구 수업을 설계 및 시연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동료가 시연한 과학 탐구 수업에 학생 입장으로 참여하였으며, 매 수업이 끝난 이후에 시연된 수업에 대해 비평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동료 수업 비평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맥락, 과학 내용, 교수 전략, 학습자, 교육 목표, 비언어적 태도, 평가 기준 순으로 비평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성주의 관점을 가지고 학생 중심과 활동 중심의 교육관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비평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 비평 내용에서 강의식, 학문적 엄격성, 활동 중심, 탐구 교수지향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교수지향이 혼재되어 나타나기도 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 시연이 진행될수록 예비교사들의 비평은 단순히 비판만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수업 일반적인 대안과 탐구 수업 특성화된 수업 전략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적 이해가 높아지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과학 탐구 수업과 관련된 탐구 특이적 비평 기준의 비율 증가 경향성이 나타나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모둠 내의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이 나타났으며, 실험의 오차를 인식하고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 교육에서 탐구 수업 시연과 비평 활동을 통해 탐구 수업에 대한 신념과 이해를 확인하는 것과 함께 이를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WWW를 활용한 기초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esign Education Using WWW)

  • 김소영;임창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61-172
    • /
    • 1998
  • 컴퓨터 산업의 진보는 우리사회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교육매체의 변화도 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WWW를 이용한 교육은 강력한 원격교육의 형태로 인식되고 있으며. 다른 교육방법에 비하여 그 활용형태도 다양화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교육매체 외에도 정확성과 신속성으로 인하여 디자인작업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네트워크 기술과 결합된 컴퓨터 그래픽스는 창의력 작업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원의 공유와 협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원의 공유와 협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그래픽스 교과와 타 교과간의 상호보완 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기초디자인교육에서의 컴퓨터 그래픽스활용을 중심으로 WWW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다음의 4가지 결과를 얻었다. WWW의 가상전시공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컴퓨터그래픽스 활용 기초디자인교육은 아이디어의 변형이 용이하며, 학습자중심의 진행이 이루어졌으며,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었고, 결과물에 치우치지 않고 중간단계의 직업을 평가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 방법 역시 기존의 교육방법과 같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WWW를 활용한 교육은 기존의 교육의 결함을 보완해주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