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 effectiveness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5초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 송지영;김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3-192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제시한 시각디자인 직무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시각디자인 실무능력 변화와 캡스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과학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과 담당교수, 그리고 산업체가 협업하여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 이론과 실기를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개발에 직접 적용해 보고 그 결과물을 공모전에 지원하게 된다. 수집된 학생 설문 분석, 산업체 평가, 공모전 수상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캡스톤디자인에 참여한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NC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시각디자인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실무능력이 고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캡스톤디자인 교육설계가 현장실무중심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직무역량 탐색 (Exploring on the job competence of the staff 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 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63-6172
    • /
    • 2013
  • 본 논문은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들이 바라는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무자의 직무수행 역량 요인은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규명하였다. 이들 직무역량을 기초로 하여 대전 충남지역의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수행 역량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무자에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기초역량, 기획 분석역량, 프로젝트 운영관리역량, 평가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직무 역량에서 실무자가 지각하는 가장 높은 요인은 다음과 같다. 기초역량에서는 변화와 혁신의 태도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기획 분석 역량에서는 수업분석 및 컨설팅, 운영관리역량에서는 인력관리 그리고 평가역량에서는 매체효과성평가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수학습지원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수학습지원센터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풀을 구성하고,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량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성경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 (Application Plan of Bible Storytelling in Writing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83-1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의 이념과 인재상에 적합한 글쓰기 교육 형태를 제안하고 그 효과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디지털 글쓰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성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형태는 크게 두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성경 청취와 묵상이요, 둘째는 미디어 텍스트 창작이다. 첫 활동에는 '성경 스토리텔링의 청취와 관찰', '탐구와 묵상'이 포함되며, 두 번째 활동에는 창작을 의미하는 '적용과 실천,' 공유를 의미하는 '공동체 나눔'이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교육 형태를 제시하고 난 후, 본 연구는 다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매체 활용과 상호 작용성의 장점 활용, 둘째, 스토리텔링의 개인 및 공동체의 치유적 효과 활용, 셋째, 글쓰기와 기독교 교육(신학)의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와 글쓰기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로의 확장적 적용이다.

졸업설계 집중학기제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tensive Semester of Graduation Design)

  • 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2019
  • 대학교육 경쟁력과 혁신 요구가 높아지면서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교육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공학계열 중심인 K대학의 경우 기술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해 졸업설계 교과목의 교육목적, 내용, 평가, 운영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를 도입하였다. K대학의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는 2018년 1학기 2개 전공에서 시범 운영 후 2019년 1학기 3개 전공에서 4학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였다. 참여 교수자와 학생을 대상으로 졸업설계 집중학기제 실태 및 효과성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존과 대비하여 교수자의 지도 시간이 향상되었고 졸업작품의 질 향상, 학생의 역량 함양 등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를 도입하고자 하였던 목적에 비추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프로젝트 설계VE 업무의 중점 관리 요인 분석 (Analysis of Main Control Factors for Design Value Engineering Work in Construction Projects)

  • 김수용;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28-137
    • /
    • 2006
  • 최근 들어 설계VE의 역할 및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에는 설계VE가 도입 된지 얼마 되지 않아 연구 활동이 미진한 측면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VE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수행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설계VE 업무 수행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다수의 문제 요인을 도출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VE 전문가 교육의 팀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고, 2차적으로 교육을 이수한 각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팀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발생된 문제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설계VE 업무 효율화를 위한 중점 관리 요인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업무 효율 최적화 방안 및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웹 기반 학습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Automatic Study Evaluation System)

  • 정용기;최은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2호
    • /
    • pp.289-296
    • /
    • 2002
  •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은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학습자들은 정적 형태의 웹 페이지로부터 양방향통신과 멀티미디어를 가미한 웹 어플리케이션과 웹 미디어를 사용한 학습교보재를 선호하고 있으며, 학습효과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변화 요인을 점검하여 학습의 진행에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체계와 이에 따르는 자동화 평가시스템을 제시한다. 일반 평가 시스템은 정규적인 형태의 방법을 이용하므로서 학습자의 관심 또 다른 교수자 등 운영 및 관리자의 교육 목표에 의해서 운영되므로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방법이 적절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웹을 이용한 프로젝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 관리자 및 운영자 사이의 상호 참여를 통하여 수행하게 될 직무를 이해하고 지식 및 적용 능력의 점증적인 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평가 시스템을 제작하여 교수자와 웹 운영 관리자가 교육의 주관자 입장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학습자는 사용자 중심의 비교 학습 및 패턴 설계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인터넷/인트라넷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젝트 교육의 평가 방법과 이에 따르는 설계와 구현 방법에 관해 논한다.

웹담당 농촌지도요원의 직무수행능력과 문제점 인식에 대한 연구 (Differential Skills and Competencies Required of Agricultural Extension Educators on Web-based Services)

  • 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1호
    • /
    • pp.15-23
    • /
    • 2001
  • As Internet and World Wide Web become more popular in our society, the interests in effective application to the field of rural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re increasing. The potential in Web-base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s expressed in many areas, such as agriculture information, Web-based training and education, and virtual rural community for rural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The research on the Web and its related issues has been conducted in many ways, but the interests in the competencies and skills of staff who are in charge of Web developing and managing have not been expos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competencies and skills for Web developing and managing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ural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Twelve extension service staff and on staff in the extension service support center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eight essential competencies; competencies to understand rural community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to understand the farmers as Web users, to design and develop effective Web sit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ypertext, to utilize instruction theories, to absorb new technology, to manage projects, and to utilize external sources. The results of study also showed that there was lack of support systems for Web development and information.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stablishing long-term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technology,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and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technology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promoting Web-based extension services.

  • PDF

프로그래밍 성취도 분석을 통한 플립드 수업 효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Class by Analysis of Programming Achievement)

  • 김경미;김헌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이썬 프로그래밍 수업을 플립드 수업 분반과 일반 수업 분반으로 나누어서 프로그래밍 주제별 학업 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여 플립드 수업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각 분반 모두 36명이며, 수업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로 참여하여 외부환경효과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세 번 치른 시험의 채점결과를 프로그래밍 주제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전체 성취도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기초문법과 중급문법에서 플립드 수업 분반의 성취도가 일반 수업 분반의 성취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알 수 있는 코딩문제 점수와 총점에서도 플립드 수업 분반 학생들의 성취도가 더 높았으며, 성별 성취도 분석결과 수업 유형에 따른 영향은 없었으며, 학업성취도는 남학생들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플립드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일부지역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 이용 실태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 정혜경;이해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7권2호
    • /
    • pp.190-20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We surveyed 300 subjects with quota sampling aged 10 to 50 and over. The rate of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users was substantial (52.7%). Consum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showed higher scores for interest in health (3.97 vs 3.49, P<0.001) and knowledge of health functional foods (3.79 vs 3.30, P<0.001) than non-consum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garding consum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e number (P<0.01) and types (P<0.05)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asons for taking (P<0.05), motivations for buying (P<0.05), periods of taking (P<0.001), cost per month (P<0.01), observance of instruction (P<0.01), and effectiveness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group. For non-consum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asons for not-taking (P<0.01) and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o be planned (P<0.001)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group. For consumers and non-consumers, problems (P<0.01) andimprovements (P<0.001) for health functional foo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 The majority of subjects (85.4%) answered that heath functional foods had no side-effects. Reported side effects were inappetence (6.6%), constipation (2.6%), and headache (2.0%). In conclusion,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age group might be needed for promoting adequate consumption and preventing side-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s.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CAI)

  • 최택영;박용길;조원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7-143
    • /
    • 2005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컴퓨터 보조수업에 대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교육적 효과 및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코스웨어의 개발, 컴퓨터 사용 환경개선 및 교사 연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