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al activitie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초

Chitinase Inhibitor 생산 균주의 분리와 곤충탈피 억제효과 (Isolation of Chitinase Inhibitor-producing Microorganisms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Larval-Pupal Ecdysis)

  • 성수일;김근;성낙문;강현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
    • /
    • 1992
  • 전국에서 수집한 토양시료로부터 약 200 여종의 미생물을 분리해내고 이들 균주의 배양 산물액을 대상으로 chitinase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누에의 중장 소화관에서 추출한 chitinase crude enzyme과 시판의 정제된 chitinase에 대하여 공통으로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2개의 균주 S-11과 S-25를 선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들 균주의 배양 산물액을 토사기의 누에에 주사한 결과 대부분의 누에가 용화탈피에 실패하였다.

  • PDF

배추좀나방에 대한 Indoxacarb의 작용특성 및 기작 (Property and Mode of Action of Indoxacarb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 최유미;안기수;황인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7-322
    • /
    • 2004
  • 배추좀나방의 발육단계별 indoxacarb의 살충활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조사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알과 번데기에 대해서는 살충율이 $10\%$이하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의 효과는 없었으며, 잔효성은 10일째까지 $80\%$의 살충효과를 유지하였다. Indoxacarb는 ester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은 저해하지 않았지만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형질전환된 꽃양배추에서 Proteinase Inhibitor II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in Transgenic Flowering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DC.)

  • 김창길;정재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98
    • /
    • 1998
  • PI-II cDNA가 도입된 식물발현 벡터인 pGA875를 가진 A.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꽃양배추의 하배축 조직에 형질전환하여 식물체를 재분화 시켰다. Dot blot 분석으로 PI-II 유전자가 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개체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잎의 섭식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후 이들 개체의 종자를 받아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27,4%가 kanamycin내성을 가진 꽃양배추로 확인되었다.

  • PDF

총채벌레 및 고추탄저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 FT333 선발 (Se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FT333 for Dual Control of Thrips and Anthracnose)

  • 이모란;정혜주;김재윤;김다연;안성호;이상엽;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9-490
    • /
    • 2018
  • 고추의 주요 병해충인 총채벌레(Thrips palmi)와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지만,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여 방제가 힘들어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효과와 탄저병에 항균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여 동시 방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13균주($1{\times}10^7conidia/mL$)를 오이총채벌레 성충과 약충에 처리하여 70~100%의 우수한 살충률을 나타내는 6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6균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탄저병균에 대치 배양한 결과, 항균력이 우수한 FT333 균주를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최종 선발된 균주를 형태학적 조사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beta}-tubulin$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Isaria javanica로 동정하였고, I. javanica FT333으로 명명하였다. I. javanica FT333 (KACC93316P)의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기내에서 검정한 결과($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onidia/mL$)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 javanica FT333 균주가 고추 탄저병균과 미소해충인 오이총채벌레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흡즙성 및 저작성 해충과 거미류에 대한 imidacloprid의 살충효과 (Insecticidal effect of imidacloprid to sucking, chewing insect pests, and predacious spiders)

  • 최병렬;이시우;송유한;유재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60-67
    • /
    • 1999
  • 흡즙성 해충과 저작성 해충 및 천적에 대한 imidacloprid의 살충력을 처리방법별로 조사하였다. 흡즙성 해충인 벼멸구에 대하여 imidacloprid의 미량국소처리에 의한 $LD_{50}$$0.015{\mu}g/g$ (48시간)이었으며, 유묘침지와 근부처리시의 $LD_{50}$은 각각 21.5 와 18.1 ppm을 보였으며, 처리간의 살충력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Imidacloprid 액제를 근부처리를 하였을 경우 20 ppm에서도 살란효과가 99%을 보였으며, 반수살란농도는 6.8 ppm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imidacloprid의 $LD_{50}$$0.4{\mu}g/g$(48시간)이었으며, 엽침지처리와 근부처리 48시간 후 $LC_{50}$은 각각 1.9과, 13.7ppm으로 엽침지처리에 의한 살충효과가 높았다. 저작성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에 대한 imidacloprid의 $LD_{50}$은 1492.5이상과 $3125{\mu}g/g$으로 살충력이 낮았으며, 엽침지처리에 의한 $LC_{50}$은 각각 4803.3과 5000 ppm 이상을 보여 imidacloprid는 흡즙성 해충보다 저작성 해충에 대해 살충력이 낮았다. 배회성거미인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와 턱거미(Pachygnata clercki)에 대한 $LD_{50}$이 각각 294.1과 $2976.3{\mu}g/g$ 이상으로 독성이 매우 낮았으며, 조망성거미인 등줄가슴애접시거미(Ummeliata insecticeps)에 대한 $LD_{50}$은 357.1 ${\mu}g/g$로 역시 독성이 낮았다. Imidacloprid의 거미류와 벼멸구간 선택독성은 각각 196,000 이상과 199,000이상 및 23,800이상으로서 독성이 벼멸구에는 높은 반면 거미류에는 낮았다.

  • PDF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Effect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Extracts on Herbicidal,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 윤영범;김진화;장세지;김도익;권오도;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야콘의 잎, 줄기, 괴경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살균 및 살충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정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에 대한 추출방법 중에 메탄올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식물체 부위별로는 괴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와 10%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은 각각 70~80%와 95~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농도의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 경엽처리에 의한 저해 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야콘 잎 추출물 처리 후 3일째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률은 50%이었다. 벼멸구의 경우 5% 줄기와 잎(중륵 포함) 추출물에 의한 살충률은 24%로 낮았고 중륵이 배제된 잎 추출물에서 57%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5% 잎 추출물에 대한 탄저병, 시들음병, 청고병, 흰잎마름 병원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없었다.

sanN Encoding a Dehydrogenase is Essential for Nikkomycin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ansochromogenes

  • Ling, Hong-Bo;Wang, Guo-Jun;Li, Jin-E;Tan, Hua-R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397-403
    • /
    • 2008
  • Nikkomycins are a group of peptidyl nucleoside antibiotics with potent fungicidal, insecticidal, and acaricidal activities. sanN was cloned from the partial genomic library of Streptomyces ansochromogenes 7100. Gene disruption and complement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anN is essential for nikkomycin biosynthesis in S. ansochromogenes. Primer extension assay indicated that sanN is transcribed from two promoters (sanN-P1 and sanN-P2), and sanN-P2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nikkomycin biosynthesis. Purified recombinant SanN acts as a dehydrogenase to convert benzoate-CoA to benzaldehyde in a random-order mechanism in vitro, with respective $K_{cat}/K_m$$ values of $3.8mM^{-1}s^{-1}\;and\;12.0mM^{-1}s^{-1}$ toward benzoate-CoA and NADH, suggesting that SanN catalyzes the formation of picolinaldehyde during biosynthesis of nikkomycin X and Z components in the wild-type stain. These data would facilitate us to understand the biosynthetic pathway of nikkomycins and to consider the combinatorial synthesis of novel antibiotic derivatives.

Genetic Toxicity Test of Methylcarbamate by Ames, Micronucleus, Comet Assays and Microarray Analysis

  • Kwon, Kyoung-J.;Go, Seo-Y.;Park, Sue-N.;Sheen, Yhun-Y.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3호
    • /
    • pp.199-204
    • /
    • 2007
  • Carbamates have excellent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a broad spectrum of insects. They possess knocking-down, fast-killing, and systemic effects, however, they are toxic to mammals.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in vitro genetic toxicity test of methylcarbamate and microarray analysi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response to methylcarbamate. Methylcarbamate did not show mutations in base substitution strain TA1535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did not show mutations in frame shift TA98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showed DNA damage based on single cell gel/comet assay in L5178Y cells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did not increase micronuclei in CHO cells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L5178Y cells in response to methylcarbamate selected differentially expressed 132 genes that could be candidate biomarkers of genetic toxic action of methylcarbamate.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ies of Anthraquinones Isolated from Photorhabdus temperata Culture Broth

  • Yang, Eun-Ju;Kim, Seo-Hyun;Lee, Kyeong-Yeoll;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2-21
    • /
    • 2018
  • Photorhabdus temperata (PT), a gram-negative bacterium, lives symbiotically within entomopathogenic nematodes. The insecticidal compounds derived from Photorhabdus are used as biopesticides in agriculture. However,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are not well characterized. In the course of our screening for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the culture broth of PT showed considerable activities. By activity-guided purification, five anthraquinones, namely, 3-methoxychrysazine (1), 1,3-dimethoxy-8-hydroxy-9,10-anthraquinone (2), 1,3,8-trihydroxy-9,10-anthraquinone (3), 3,8-dihydroxy-1-methoxy-9,10-anthraquinone (4), and 1,3,4-trimethoxy-8-hydroxy-9,10-anthraquinone (5),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PT culture broth.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75{\mu}M$ 3 significantly protected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s (HT22) against 5 mM glutamate-induced cell death via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Ca^{2+}$ influx, and lipid peroxidation. Additionally, 3 and 4 effectively suppressed the interferon-${\gamma}$-induced neuroinflammation of mouse-derived microglial cells (BV2) at 10 ng/ml, via the reduction of nitric oxide,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thraquinones 3 and 4 derived from the PT culture broth are a potential starting point to discover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drug leads. The novel compound 5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