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ry Learning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19초

POE를 적용한 논술형 탐구학습 프로그램 활용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scourse-typed Inquiry Learning Program Fitted with POE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44-55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 POE를 적용한 논술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업에의 적용으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부산시 소재의 남자 인문계고등학교 2학년 4개 반을 선정하였다. 수업은 생물 I '순환' 단원으로 4주에 걸쳐 6차 시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은 POE를 적용한 논술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한 수업을 진행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학습 목표와 주요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생물 I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내용과 탐구활동을 토대로 실시하였다. 현장 적용결과, 첫째, POE를 적용한 논술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은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실험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을 적절하게 연결하는 활동과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사고유발을 위한 교사의 다양한 질문을 통해 문제해결력 향상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능력에 도움을 주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OE를 적용한 논술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은 실험에 대한 사전 예측활동으로 실험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게 하고 직접 관찰한 것과 예측한 것 사이의 모순을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의 유도로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소고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mmuniti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3-157
    • /
    • 2003
  • 본 논문은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선 교사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틀을 검토하고 교사 학습과 관련하여 지식과 교수 관행간의 관계를 조사하며 탐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전문성 신장에 관한 아이디어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이론적 분석에 터해 교사 학습과 이에 관련한 수학교실문화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간단히 소개하고 탐구 공동체의 운영, 교사의 관점에서 교수 관행을 기술하는 것, 공동체에서의 교사 학습을 분석하는 것 등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부각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 PDF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 정현철;박영신;황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1-16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서의 실태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임의 표본으로 전국의 16개 도시의 영재담당 교사 614명, 수학에서는 1,670명, 과학에서는 1,732의 영재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존의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협동학습 형태의 소그룹활동 및 탐구활동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 현 한국의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은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및 교수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 및 영재학생들은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 실질적으로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도모하기 위한 교수법이나 효과적인 조구성을 위한 교수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그룹 탐구활동은 단순한 전통적인 그룹 활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3) 이는 영재담당 교사들의 소집단 탐구활동, 특히 협동학습 관련 이해 및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영재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소그룹 탐구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영재담당 교사연수를 통해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을 반성하고 개발하며 또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련된 교수법 및 교수 모델을 창안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Behavioral Domain in Fre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 김재영;임채성;백자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79-587
    • /
    • 2014
  • In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revised in 2007, 'Free Inquiry' was newly introduc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foster creativity by having students make their own questions and find answers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deployed in the proces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e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For this study, 106 the fif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y performed individually free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diversifying, estimating-evaluating-executing, and extending-applying activities in behavioral domain, the free inquiry diary constructed by the students,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red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selected observation as a major approach of their inquiry. The reason was found to be that they were accustomed to only typical basic inquiry skills which is frequently presented at textbooks and regular instruction and didn't have appropriate experience for using relevant integrative inquiry skills. Second, most of the methods diversified and selected by the students were confined to descriptive explanation rather than causal one. Third, both of the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diversified methods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etho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domain novices in inquiry learning environments are advanced.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 과학 내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0-57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수행하는 과학과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예비 교사들이 개선 방안이 반영된 모의 수업을 실연하면서,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직 초등과 중등 교사 5인이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는 전문가 협의회에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으며, 모의 수업 실연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다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에는 이원분산분석과 MANOVA 명령문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에는 디지털·생태 소양과 민주 시민 의식 함양을 위한 활동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 탐구·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소집단 활동이 포함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예비 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7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모의 수업을 실연하였다. 과학 내재 동기의 경우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의 수업 실연 여부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의 상호작용 효과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에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교 현장의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정의적 영역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내재 동기 함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학교 현장성을 반영한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용액 개념의 순환학습이 초등학생의 인지수준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Cycle Model in Solution Concept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for Primary Student)

  • 최영주;김세경;고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73-278
    • /
    • 2004
  • According to Piaget, children aged 11 are in the middle of concrete operation period and formal operation period. So,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Learning Cycle Model (LCM) which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fter determining the test for the Science Concept of Matter (SCO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vera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In the sound understand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ratio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in the ratio of imperfect, wrong understanding and no response,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the questions that were needed the complicated inquiry, many students of both groups still couldn't find the fundamental cause. In forming the scientific conceptualiza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p < .001) after post-test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pre-test result. After determining the test for the Test Inquiry Science Process (TIS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verag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In the category of basic inquiry process which is needed in concrete opera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p < .05). In the category of unified inquiry process which is needed in formal operation, the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p > .05). Therefore, applying the LCM to the chapter of 'Solution and Dissolving' is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he scientific conceptualization and on helping the concrete operation abilities than the teacher centered learning.

  • PDF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에 대한 중학교 의복재료 단원 탐구활동지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Physical Fiber Identification Method in Home Economics Lesson of the Middle School)

  • 이희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5-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의복재료 단원에서 실물 교육자료집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복재료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자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이 들어간 탐구활동지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수준에 적합한 물리적 섬유감별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모와 아크릴, 견과 폴리에스터를 비교하는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탐구활동지를 개발하였다. 탐구활동지를 수업에 활용한 실험 집단과 사용하지 않은 통제 집단의 학습흥미도, 학습수용태도,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탐구활동지를 사용한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섬유감별방법과 탐구활동지는 의복재료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시켜줄 뿐 아니라, 의복재료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of Scientific Inquiry)

  • 진순희;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81-191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s in learning/teach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of scientific inquiry, and to study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tific inquiry methods to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suggestions for future inquiry material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157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10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in relation to their ideas and experiences of scientific inquiry. The results show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lack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lacked educational experiences of inquiry methods in general. They generally perceived the 7th science text-books as being inappropriate and inadequate for teach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help practitioners implement scientific inquiries successfully through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material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s.

  • PDF

Discussions for link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ith Scientific Inquiry

  • Park, Jo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49-758
    • /
    • 2008
  •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and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learning have been emphasized by many science educators and science curriculums, the link between the NOS and scientific inquiry has not been discussed sufficientl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at various aspects of NOS are already embedded in defining and characterizing the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nd that we need to have special concern about how the NOS should be treated and interpreted when introducing it into scientific inquiry. And I summarized two approaches to teach the NOS an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the NOS through scientific inquiry and teaching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NOS. Finally, some next studies based on this article are introduced.

초등수학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및 재구성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Reorganization Materials)

  • 김유경;김판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2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에 처음으로 도입된 '탐구활동'이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가? 수학 탐구활동의 내용으로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는가? 수학적 탐구활동의 전제와 내용은 어떤 것이 좋은가? 이와 같은 문제에 답하기 위해 먼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구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육 현장에서의 지도 실태와 탐구활동 내용 및 유형의 적합성, 지도의 어려움과 재구성 자료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학과 목표를 참고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측정영역에서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