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Solution

검색결과 2,458건 처리시간 0.028초

암석 브리지에 의한 불연속면 점착강도의 시간의존성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Reduction of Sliding Cohesion due to Rock Bridges along Discontinuities)

  • 박철환;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3호
    • /
    • pp.167-174
    • /
    • 2004
  • 본보는 2003년도에 국제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국내의 전문가들에게 소개하는 기술보고서이다. 본 연구에서 취성파괴를 보이는 암석에 대하여 시간의존성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파괴역학적 모텔이 개발되었다. 균열면을 따라 형성된 신선한 구간인 암석 브리지의 파괴규명으로 불연속면의 점착강도가 감소하는 모델이 설정 되었다. 특히 임계조건 이전에 발생하는 균열성장을 사용하여 파괴역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로부터 시간과 점착강도의 관계를 독립된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예로서 평면파괴가 예상되는 암석 블록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졌다. 절리면의 점착강도는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줬는데, 초기에는 아주 점진적이며 그 후에는 급격하다. 그러다가 어느 시점에서는 감소된 점착강도는 사면의 불안정과 붕괴를 야기한다. 두 번째 예에서는 몇몇 물질 상수들이 분산을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여기에서는 확률론적으로 사면의 안정성이 분석되었는데 사면의 파괴확률을 시간의 함수로 예견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면의 파괴확률은 점점 증가하여 초기에 5% 수준에서 100년 후에는 40% 이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예제들은 지하구조물이 비록 비교적 단기목적이라 하더라도 불연속면을 갖는 암반의 시간의존성 거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붕사, 붕산 및 인산암모늄을 가압 함침한 편백 루버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inoki Cypress Louver after Pressure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Borax and Ammonium Phosphate)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5
    • /
    • 2015
  • 본 논문은 편백 루버에 붕산, 붕사 및 인산암모늄 수용액을 가압함침 후 외부 복사열원(25, 30 및 $50kW/m^2$)에 따른 점화시간, 임계 열유속 및 질량감소속도 등의 연소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의 크기는 $100{\times}100{\times}10mm$이며, 각 외부 복사열원에서 5분간 변화를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5kW/m^2$의 외부 복사열원에 있어서 착화시간은 Type C-H를 제외하고는 17.4~21.3%의 지연효과를 나타낸 반면 35 및 $50kW/m^2$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질량감소속도는 Type A-H와 Type D-H에서 Type N-H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외부 복사열원에 따른 착화시간으로부터 임계 열유속은 $14.79{\sim}17.17kW/m^2$$10.7kW/m^2$인 Type N-H보다 38.22~60.46% 높게 예측됨에 따라 초기 화재시 화재확대에 대한 지연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토양별(土壤別) 암모늄의 흡착(吸着)및 탈착(脫着)에 관한 연구 -II. 암모늄의 탈착(脫着) (Studies on Ammonium Adsorption by and Desorption from Various Soils -II. Desorption of Ammonium)

  • 심상칠;박훈;김무성;김광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5-80
    • /
    • 1979
  • 암모니움 탈착(脫着)을 16개(個) 토양에 대하여 $(NH_4)_2HPO_4$를 처리하여 0.01M $CaCl_2$로 7회(回) 연속침출(連續浸出)하여 검토하였다. 1. 탈착(脫着)은 2~4개의 속탈(速脫) 또는 완탈단계(緩脫段階)의 반복(反復)으로 진행(進行)된다. 2. 탈착단계(脫着段階)는 탈착량(脫着量)(y)과 침출회수(浸出回數)(x)간(間)에 log y=b-ax의 관계식(關係式)이 성립(成立)된다. 3. 탈착율(脫着率)(100${\times}$탈착량(脫着量)/흡착량(吸着量))은 15개(個) 토양평균이 65%였고 최고(最高)는 김천통(金泉統)의 87% 최소(最小)는 삼각통(三角統)의 32%였으며 이탄토(泥炭土)인 용호통(龍湖統)은 156%로 토양 ammonium 이 다량방출(多量放出)되었다. 4. 탈착률(脫着率)은 흡착량(吸着量)과 부(否)의 상관을 보이며 이 관계에서 토양은 세개의 계열(系列)로 분류(分類)되었다. 5. 탈착누적곡선(脫着累積曲線)은 최대치(最大値)에 접근(接近)하고 있으며 7회탈착(回脫着)으로 모든 토양이 최대치(最大値)에 접근(接近)하였다. 이때의 흡착량(吸着量)은 CEC의 502%(삼각통(三角統))에서 25%(김해통(金海統))의 범위(範圍)에 있었다. 6. 탈착량(脫着量) 또는 탈착률(脫着率)은 LAMA, (암모니움 Langmuir 최대흡착) CEC, 점토함량(粘土含量), 유효인산, 유기물함량등(有機物含量等)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들은 ammonium의 흡착(吸着)과 탈착(脫着)에 있어 Fe, Al Si 등(等)의 관련성과 동반음(同伴陰) ion 흡탈착(吸脫着)이 관여함을 강하게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가 생산한 항균물질의 anti-Helicobacter pylori 활성 및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Helicobacter pylori and cytotoxic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6-168
    • /
    • 2015
  •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과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부터 얻은 세포, 배양상등액 및 박테리오신 용액의 anti-Helicobacter pylori 활성과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균주를 MRS 배지 상에서 30시간 배양한 결과, L. acidophilus BK57 ($126.8{\pm}7.9mM$) 보다 L. paracasei BK57 ($155.9{\pm}7.9mM$)가 더 많은 양의 유산을 생산하였다. 또한, BK13 균주의 최대 박테리오신 활성(128 AU/ml)은 $37^{\circ}C$에서 30시간 배양 후 관찰되었으나, 이는 BK57의 활성(256 AU/ml) 보다는 낮았다. BK13 및 BK57 균주의 살아있는 세포를 H. pylori와 혼합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초기균수에 의존하여 H. pylori의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게다가 BK13과 BK57로부터 얻은 배양상등액과 박테리오신은 H. pylori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력과 urease 활성도 저해하였다. 한편, 이러한 균주들이 생산한 유산은 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대조구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BK13과 BK57 균주의 항균물질은 위장질환의 원인균인 H. pylori를 저해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이들 유산균은 H. pylori 감염으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삼 물추출물의 갈변반응중 갈색도 및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 도재호;김경희;장진규;양재원;이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0-485
    • /
    • 1989
  • 인삼갈변기작을 연구하기에 앞서 인삼갈변에 따른 갈색도 및 성분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circ}C$에서 120시간까지 열처리하여도 갈색화반응은 계속 지속되었으며 갈변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 약 16kcal/mole, $Q_{10}$값은 평균치가 $70{\sim}80^{\circ}C$에서는 1.90, $80{\sim}90^{\circ}C$에서는 1.67, $90{\sim}100^{\circ}C$에서는 1.46이었다. 반응액의 pH는 $90^{\circ}C$$100^{\circ}C$의 경우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인삼사포닌 중에는 ginsenoside-Re가 열에 불안정하였으며 diol계 사포닌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였다. 항산화능과 DNA 양성물질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olin 양성물질량은 반응초기에 단백질의 침전과 함께 감소했다가 서서히 증가하였다.

  • PDF

반응경로 모델링을 이용한 결정질암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진화경로 예측 (Estimation of Geochemical Evolution Path of Groundwaters from Crystalline Rock by Reaction Path Modeling)

  • 성규열;박명언;고용권;김천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1호
    • /
    • pp.13-23
    • /
    • 2002
  • 화강암지역에서 산출되는 국내 지하수의 화학조성은 주로 Ca-HCO$_{3}$와 Na-HCO$_{3}$, 형에 속하며, 일부는 Ca-(C1+SO$_{4}$)또는 Na-(Cl+SO$_{4}$)형의 특성을 나타낸다. 회장암 지역의 용출수는 Ca-HCO$_{3}$ 형에, 지하수는 Na-HCO$_3$ 형에 도시된다. 빗물-화강암 반응에 대한 반응경로 모델링 결과는 초기 Ca-Cl형에서 시작하여 Ca-HCO$_{3}$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Na-HCO$_{3}$형으로 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빗물-화장암 반응 역시 빗물-화장암 반응에서와 유사하게 진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모델링 결과는 현장자료와 잘 일치된다. 빗물-화장암/회장암 반응경로 모델링 결과,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수소이온 활동도는 점차 감소(pH는 증가)하며, 양이온의 농도는 pH의 변화에 따른 모암을 구성하는 광물들의 순차적 용해, 2차 생성광물의 침전 및 재용해 등에 의해 다양한 농도변화를 보여준다 빗물-화강암의 반응비에 따라 깁사이트, 적철석, 망간산화물, 카오리나이트, 실리카, 녹니석, 백운모, 방해석, 로몬타이트, 프레나이트, 아날심의 순으로 침전이 발생하며, 빗물-회장암의 반응에서도 이와 동일한 침전순서를 보이지만 실리카의 침전이 없고 아날심 대신 파라고나이트가 침전된다. 빗물-화강암 반응에서는 실리카가 가장 우세한 광물이며, 밋물-회장암 반응에서는 카오리나이트가 가 장 우세한 광물이며, 전체적인 2차 생성광물의 침전량은 화강암보다 회장암 반응이 더 우세하다

재관류시 외인성 칼슘 자극이 허혈 심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ffect of Exogenous $Ca^{2+}$ Stimulation to Ischemic Myocardium during Post-ischemic Reperfusion)

  • 김호덕;전상배;라봉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1호
    • /
    • pp.1-20
    • /
    • 1991
  • The effects of exogenous $Ca^{2+}$ stimulation on the post-ischemic myocardial cells were studied using isolated Langendorff-perfused guinea pig hearts. At the starting point of reperfusion, Tyrode solutions, each containing 2.0mM, 4.0mM and 8.0mM $CaCl_2$ respectively, were administered for 2 minutes apart by descending, ascending, or by combined sequences followed by standard Tyrode solution containing 1.0mM $CaCl_2$. The minutes of global ischemia produced reversible but moderate to severe degree of myocardial ultrastructrual changes including focal destruction of sarcolemma, loss of nuclear matrix, clumping and margination of chromatins, mitochondrial swelling, destruction of mitochondrial cristae, shortening of sarcomeres, focal loss of myofibrils, and separation of cell junctions. In spite of reperfusion, the ultrastructure was more severely damaged and irreversible changes such as intracellular fluid accumulation, contracted sarcomeres, mitochondrial destruction, disruption of sarcolemma, loss of nuclear matrix, and separation of cell junction were observed in a large number of cells. In contrast, Tyrode-perfused $Ca^{2+}$-stimulated myocardial cells showed relatively well preserved ultrastucture, except slight changes including focal mitochondrial swelling, widening of T-tubule, and widening of cell junctions, especially at fasciae adherentes. The post-ischemic $Ca^{2+}$-stimulated reperfused myocardial cells produced focal changes such as mitochondrial destruction, disintegration of sarcolemma, widening of T-tubule, and intracellular fluid accumulation with slight variation in degree of changes by the method of $Ca^{2+}$ administration sequence. However, in a large number of the myocardial cells, chromatins were redistributed relatively evenly in the nuclear matrix, mitochondrial cristae were tightly packed,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intramitochondrial granules and glycogen granules reap-peal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ogenous $Ca^{2+}$ stimulation in the initial period of reperfusion may be beneficial to salvage or to reduce the post-ischemic myocardium from further deleterious changes, an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may be derived from the reserves of the function of the intracellular $Ca^{2+}$ regulating organelles and/or from the responsiveness of contractile apparatus to $Ca^{2+}$ stimulation.

  • PDF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아닐린 섬유의 열적 및 전기적 거동 (Thermal and Electrical Behaviors of Polyethylene Oxide/Polyaniline Fiber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ethod)

  • 김석;조미화;박수진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16-2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닐린(PANI)을 제조하여 큰 분자량의 유기산인 10-camphor sulfonic acid (CSA) 또는 dodecylbenzene sulfonic acid (DBSA)로 도핑시키고, polyethylene oxide (PEO)와 함께 블렌딩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형태로 만든 후, TGA와 전기화학 장치(cyclic voltammetry; CV)로 열적, 전기적 성질을 CSA 또는 DBSA로 도핑된 PANI의 함량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 PANI-CSA와 PANI-DBS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분해 개시온도는 감소하지만 열안정성 지수와 적분 열분해 진행온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열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기전도도는 PANI-CSA와 PANI-DBS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30% 이상이 되면 전도도가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전류젼압 곡선 결과, PANI/CSA는 PANI-DBSA 보다 피크가 좀 더 명확해지며, 전류밀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PANI/CSA가 약간 더 높은 전기전도도와 전하가 이동하기 쉬운 모폴로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푸드뱅크 기탁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HACCP 제도 적용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for Safety of Donated Food in Foodbank Organization)

  • 박현신;배현주;이지해;양일선;강혜승;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5-32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oodbank, and to implement the HACCP system as a solution in terms of increasing the safety of donated food within the Foodbank. In order to apply HACCP system, the entire Foodbank working process such as preparation, collection, transportation, division, and distribution was considered and analyzed to decide the application point for CCPs. Donated foods mainly consisted of processed foods, raw materials, lunch boxes, and cooked foods from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which dominated over the others in terms of quantity. Cooked foo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menu-types and processing methods. Temperature, pH, and aw were measured on cooked foods, and Total Plate Count, Coliforms, E.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conducted in order to apply a HACCP plan. From these experiments, temperature, pH, and $a_w$ of donated food were likely contributed to microbial growth. Donated foods before HACCP implementation showed high numbers in terms of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both well over the acceptable standard levels. By setting the CCPs on maintenance of donated food below $10^{\circ}C$ and using a $75^{\circ}C$ reheating method, microbiological hazard levels were able to be controlled and lowere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n order to guarantee food safety, foods donated to the Foodbank must not only maintain a reasonable level of initial microbiological growth, but also must be handled properly through time and temperature controls within the Foodbank system. Furthermore,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HACCP plan within the Foodbank management structure, basic food safety and sanitation measures, such as reheating facilities and various cold chain systems such as refrigerated vehicle for food transportation are importantly needed.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Foodbank personnel and management in areas such as awareness of hygiene and safe food handling and practice are also required and necessary.

입상활성탄에 의한 수용액으로부터 오로라 레드의 흡착에 대한 평형, 동력학 및 열역학 파라미터에 관한 연구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 Studies on Adsorption of Allura Red from Aqueous Solu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430-436
    • /
    • 2014
  • 오로라레드(Allura Red, AR)는 수용성의 유해한 타르계 식품착색제(적색 40호)이다. 역청탄계 입상활성탄을 사용한 AR의 회분식 흡착실험은 흡착제의 양, 초기농도, 접촉시간과 흡착온도를 조작변수로 선택하여 수행되었다. 흡착평형자료를 가지고 Langmuir와 Freundlich 및 Temkin 흡착등온식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흡착평형은 Langmuir 흡착등온식이 더 잘 맞았으며, 계산된 분리계수($R_L$) 값으로부터 입상활성탄이 AR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emkin parameter, B의 값은 1.62~3.367 J/mol로 흡착공정이 물리흡착임을 나타내었다. 흡착속도실험으로부터, 입자내확산속도상수($k_m$)는 온도증가와 함께 커졌으며, 흡착공정은 유사이차반응속도식에 잘 맞았음을 알았다. 흡착공정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성화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및 Gibbs 자유에너지변화와 같은 열역학 파라미터들을 298~318 K의 온도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Gibbs 자유에너지변화값(${\Delta}G$ = -7.02~-8.79 kJ/mol)과 엔탈피변화값(${\Delta}H$ = + 82.2 kJ/mol)으로부터 흡착공정이 자발적이고 흡열과정임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