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eritance Pattern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ndian fashion designs using traditional handicraft - Focusing on Sabyasachi Mukherjee, Manish Malhotra, and Ritu Kumar -

  • Maurya Anudhairya Ramnath;Se Jin Kim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299-320
    • /
    • 2024
  • Traditional culture contributes to the diversific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and the inheritance of loc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refle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in India.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Sabyasachi Mukherjee, Manish Malhotra, and Ritu Kumar, who are currently leading the Indian fashion design field. The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ing case studies. In the literature, the techniques of Indian traditional crafts such as embroidery, dyeing, and weaving were examined and five design elements of traditional crafts were def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30 images from the three designers' Instagram account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expressed in contemporary Indian fashion design were derived: cultural inheritance using traditional Indian clothing items, traditional materials and practices applied to contemporary clothing, craftsmanship that artistically improves complex details using embroidery techniques, various combinations based on the traditional meaning of colors, and narrative expression using patterns containing India's cultural identity. Incorporating these traditional handicrafts into fashion design, closely linked to everyday life, aids in conveying and enhancing their significance. The cases demonstrat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conservation in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fashion design.

닭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 추정과 유전 전이 양상 (Inheritance and Heritability of Telomere Length in Chicken)

  • 박단비;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7-225
    • /
    • 2014
  • 텔로미어는 진핵 세포의 염색체 말단으로, 직렬 반복 DNA 염기 서열과 shelterin 단백질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텔로미어의 기능은 염색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체세포의 텔로미어 길이는 세포 분열시 DNA 복제 결실로 인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유전적, 후생유전학적 및 환경적 수준에서 여러 가지 요인이 텔로미어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닭의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을 추정하고, 이들의 유전전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텔로미어 길이는 백혈구를 이용하여 양적 형광접합보인법(Q-FISH)과 양적 중합효소 연쇄반응법(qRT-PCR)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은 자손과 부모 회귀 분석에 의해 출생 시 0.9로 추정되었고, 10 주령 및 30주령 때 부 분산 분석에 의해 0.03과 0.04로 추정되었다. 부와 자손 간(r=0.348) 및 모와 자손 간(r=0.380) 텔로미어 길이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닭 텔로미어의 유전 전이 양상은 부모 양쪽 모두로부터 비슷하게 자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암수 자손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텔로미어 길이의 각인이 성염색체의 유전자가 아닌 상염색체의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산모 연령에 따른 출생 자손의 텔로미어 길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체의 연령이 출생 자손의 텔로미어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수정란의 초기 배아 단계에서 세포적 reprogramming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공간변화 양상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s i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 이경미;배준규;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7-73
    • /
    • 2022
  • 본고는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조영 당시 형태를 각 정원의 원형으로 삼아 미등록 민가정원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여 정원의 공간적 가치를 규명하고 전통정원의 계승과 변화라는 관점에서 미등록 민가정원의 역사공간적 가치를 논구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지정문화재의 해제 수량 증가로 인해 정원의 보존 또한 위기에 처해 있는 강원도의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정원의 공간변화를 통하여 미등록 민가정원의 양상을 규명하고 그 특성 및 가치를 천착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은 집성촌 지역에 입지하여 전통정원의 형태를 계승 유지할 수 있었다. 정원공간은 유교적 철학의 영향으로 공간이 구획되고 정원의 구성요소와 수종 및 식재방식이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신분적 위계에 따른 정원 구성요소의 사용이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 4개소에서 공간의 축소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축소된 공간들은 정원공간들로서 도로의 신설과 환경개선 사업으로 정원의 일부가 국가로 귀속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대상지 4개소 중 3개소에서 수령 100년 이상의 노거수 8주가 생육하고 있고 정원 구성요소들은 한중일 삼국에서 조선시대와 동시대에 사용되었던 석수조, 취병, 지당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어 전통정원의 역사성을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olation and inheritance of microsatellite loci for the oily bittering (Acheilognathus koreensis): applications fo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wild populations

  • Kim, Woo-Jin;Kong, Hee-Jeong;Shin, Eun-Ha;Kim, Chi-Hong;Kim, Hyung-Soo;Kim, Young-Ok;Nam, Bo-Hye;Kim, Bong-Seok;Lee, Sang-Jun;Jung, Hyung-Tae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21-328
    • /
    • 2012
  • The oily bittering Acheilognathus koreensis is a freshwater species that is endemic to Korea and is experiencing severe declines in natural populations as a result of habitat fragmentation and water pollu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is species, it is necessary to assess its genetic diversity at the population level. We developed 13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that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of two populations collected from the Kum River and the Tamjin River in Korea. All loci exhibited Mendelian inheritance patterns when examined in controlled crosses. Both populations revealed high levels of variability, with the number of alleles ranging from 3 to 20 and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ranging from 0.500 to 0.969 and from 0.529 to 0.938, respectively. None of the loci showed significant deviation from Hardy-Weinberg equilibrium, and one pair of loci showed significant linkage disequilibrium after Bonferroni correction. Pairwise $F_{ST}$ and genetic distance esti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opu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satellites developed herein can be used to study the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measure of A. koreensis.

The molecular pathophysiology of vascular anomalies: Genomic research

  • Kim, Jong Seong;Hwang, Su-Kyeong;Chung, Ho Yu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3호
    • /
    • pp.203-208
    • /
    • 2020
  • Vascular anomalies are congenital localized abnormalities that result from improper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the vasculature. The lesions of vascular anomalies vary in location, type, and clinical severity of the phenotype, and the current treatment options are often unsatisfactory. Most vascular anomalies are sporadic, but patterns of inheritance have been noted in some cases, making genetic analysis releva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genomics, includ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have provided novel insights into the genetic and molecular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vascular anomalies. These insights may pave the way for new approaches to molecular diagnosis and potential disease-specific therapies. This articl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genetic testing for vascular anomalies and presents a brief summary of the etiology and genetics of vascular anomalies.

Prenatally Diagnosed and Surviving Patient with Jarcho-Levin Syndrome: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 Lee, Chan Young;Lee, Na Mi;Yi, Dae Yong;Yun, Sin Weon;Chae, Soo Ahn;Lim, In Seok;Kim, Gwang Jun
    • Perinatology
    • /
    • 제29권4호
    • /
    • pp.185-188
    • /
    • 2018
  • Jarcho-Levin syndrome is a congeni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several vertebral and costal anomalies. Other abnormalities have also been described, including neural tube defects, Arnold-Chiari malformation, renal/urinary tract abnormalities, hydrocephalus, hydroureteronephrosis, and meningomyelocele. We describe a spondylocostal dysplasia form of Jarcho-Levin syndrome that was prenatally diagnosed at 11 weeks of gestation and surviving. Although the patient had sporadic-type Jarcho-Levin syndrome, with normal karyotype and no family history of disease, the assessment of inheritance patterns and genetic counseling for the parents was important to inform them about the potential risks.

수박 종자크기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eed Size in Watermelon)

  • 김용재;양태진;박영훈;이용직;강순철;김용권;조정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2-419
    • /
    • 2009
  • 수박에서 종자크기의 유전분석을 위해 종자크기가 다른 6계통을 양친으로 한 교배집단을 조사하였다. 전체 6계통 중 3계통은 수집 계통으로 giant seed(GS)인 'PI525088' big size(BS)인 'Charleston Gray' 그리고 medium seed(NS)인 'NT'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3계통은 보통 크기와 가장 작은 크기 계통간($^{\prime}NT^{\prime}{\times}^{\prime}TDR^{\prime}$) 교잡 및 여교잡으로부터 육성되어 종자크기만 상이한 near isogenic line으로서 small seed(SS)인 'NTss' micro seed(MS)인 'NTms' tomato seed size(TS)인 'NTts'가 이용되었다. 각각의 종자크기에 관련한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접한 종자크기를 가진 계통들간의 조합인 $GS{\times}BS$, $BS{\times}NS$, $NS{\times}SS$, $MS{\times}TS$, 그리고 종자크기가 비교적 차이가 계통들간 큰 두 조합인 $NS{\times}TS$, $GS{\times}NS$에 대하여 P1, P2, $F_1$, $F_2$, $BC_1F_1(P1)$, $BC_1F_1(P2)$를 작성, 전개하여 종자크기의 분리를 관찰하여 유전양식을 판단하였다. $GS{\times}BS$, $NS{\times}SS$, $MS{\times}TS$ 의 경우 1개의 유전자 차이가 발견되었고, 유전양식은 부분우성이었고, $BS{\times}NS$의 경우 2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GS{\times}TS$에서는 분리후대에서 매우 넓은 범위의 종자크기를 가진 개체들이 관찰되어 이들 두 계통들간에는 6개 이상의 유전자, $NS{\times}TS$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종자크기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election and Crossbreeding in Relation to Plumage Color Inheritance in Three Chinese Egg Type Duck Breeds (Anas Platyrhynchos)

  • Lin, R.L.;Chen, H.P.;Rouvier, R.;Poivey, J.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069-1074
    • /
    • 2014
  • In China and South East Asia, the duck (common duck) is important in egg production for human consumption. Plumage color is a breed characteristic and of economic importance, together with egg production. Our aim 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eritance of plumage color in three Chinese indigenous egg-type duck breeds, Shan Ma (S), Putian White (F) and Putian black (P), and some of their crossbreds. These three breeds have different plumage color and are used in crossbreeding. The crossbred laying ducks $F{\times}(P{\times}S)$ and $F{\times}(S{\times}P)$ showed highly improved laying ability but heterogeneous plumage color. Genotypes at four relevant loci were investigated by studying down color and pattern in ducklings after crossbreeding. $F_1$ ducklings from the matings $F{\times}S$ and $S{\times}F$, $P{\times}S$, and $S{\times}P$ were classified into four classes of plumage color (the Shan Ma plumage color, black, white, or multicolored) over three generations. Parents were selected for the Shan Ma plumage color of their progeny. In the fourth generation, P male and P female duck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esired class of plumage color (Shan Ma) of their $F_1$ progeny to obtain the so-called "Brown Putian Ma duck". The Shan Ma duck genotype was identified as having the restricted mallard color pattern ($M^RM^R$), full expression of any of the patterns or colors (CC), no extended black (ee) and no brown dilution D (D). The Putian White genotype was recessive white (cc), no extended black (ee) and no brown dilution D (D). The Putian Black genotype exhibited full expression of extended black (E gene) and no brown dilution (CCEE D [D]). It was shown that $F{\times}S$ and $S{\times}F$ tests should be implemented to eliminate the recessive white c allele in the S line and the dominant extended black E allele in the F line. It was also shown that the Brown Putian Ma obtained from Putian Black, with no extended black genotype (ee), could be used to get rid of the black plumage (E gene) in the crossbred ducks. This could provide a solution for producing 3-way crossbred ducks Putian $White{\times}$(Putian-$Ma{\times}Shan$ Ma) and Putian $White{\times}$(Shan $Ma{\times}Putian$-Ma), with the desired Shan Ma feather color.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성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Candidate Loci and Inheritance Ppatterns of Gray Coat Color in Jeju Horses.)

  • 한상현;이종언;김남영;고문석;정하연;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3-798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 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 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 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 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 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꾸메가네 기법을 활용한 금속표면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Metal surface Design from Mokumegane technique)

  • 윤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31-437
    • /
    • 2012
  • 대부분의 금속 공예가들은 자신의 개념 속에 있는 조형언어를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료를 찾고 기법을 연구함으로써 작품을 제작해 왔다. 그 중에서도 금속 공예는 재료의 제한 된 색상을 극복하려고 여러 가지 기법을 바탕으로 금속 표면에 변화를 주어 조형적 장식성을 표현했으며 미적 가치를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과거의 전통 기법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연구해 나가는 작업이 가치 있는 일이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요건에 맞추어 재료, 도구, 미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 금속 공예 기법 가운데 모꾸메가네(Mokumegane)기법을 활용하여 기존에 사용해 왔던 금속재료와 현대의 합금 금속재료를 적층융접하여 금속 표면 색상 표현을 연구하였다. 또한 작업 종류에 따른 문양표현 기법을 제시하여 기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금속표면의 무늬를 연구하여 전통 기법의 계승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고급공예시장에 대한 객관적 대비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