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rastructure

검색결과 11,701건 처리시간 0.041초

생활인프라 공급계획을 위한 접근성 평가 방법 (A Method of Measuring Accessibility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Planning)

  • 이하연;김성표;강상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1-31
    • /
    • 2020
  • 최근 생활인프라에 대한 관심과 재정투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생활서비스의 공급 및 지원 한계선으로 생활인프라 시설당 소요 시간거리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요 시간거리를 산출할 때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직선거리 버퍼분석이 아닌 실제 이동 경로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경로안내 API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로안내 API를 활용하면 횡단보도, 경사로 등과 같은 이동 제약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한층 현실성 있는 접근성 분석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으로 지역별 생활인프라 시설물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공간분석을 통하여 생활인프라 시설물로부터 소외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더욱 정확하고 현실성 있는 접근성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접근성 측정방법은 각 지역의 도시재생 계획 및 생활인프라 시설 투자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반시설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도출방안 (Cyber Security Framework for Critical Infrastructure)

  • 권성문;이석철;장지웅;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41-250
    • /
    • 2017
  •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과거의 기반시설과 달리 현재의 기반시설 네트워크는 IoT 기기와 외부 망과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거의 기반시설 네트워크에 비해 생산성과 관리의 효율은 증대 될 수 있으나 외부 망과의 연계 접점이 생김에 따라 S/W 취약점과 이를 악용한 사이버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각 기관에서 적합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정부 기관에서 작성한 사이버보안 점검 리스트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각 기반시설 네트워크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반시설 네트워크의 특징을 반영한 사이버 보안 가이드라인을 개발을 위해 NIST CSF[2], DoE C2M2[3] 등 주요 국가의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관련 표준과 기반시설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반시설 네트워크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개발 방안을 도출하고 검증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저영향개발과 그린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 (Low Impact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 김이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80-91
    • /
    • 2016
  • 도시홍수, 가뭄, 폭염과 열대야 등 다양한 기상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인명과 재산 피해는 물론 도시의 자연환경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양한 기상재해를 최소화 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기 위한 목적으로 저영향개발 또는 그린인프라가 주목 받고 있다. 한국의 저영향개발 및 그린인프라 기술은 현재 보육(incubating) 또는 시연 (demonstrating) 단계에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노력으로 법률 정비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물을 이용만 하는 회색인프라 (Gray Infrastructure)로 구성된 회색도시 (Gray City)에서 물을 관리하는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 구성된 녹색도시 (Green City)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보다 체계적인 확산과 보급을 위해서는 한국형 신기술의 개발, 기술의 검증, 기술 기준의 정비, 다분야의 협력과 협업, 교육과 홍보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가 요구된다.

주요기반시설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Framework Design for Stable Opera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 이수연;유지연;임종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72
    • /
    • 2016
  • Critical infrastructure has been operating in a closed environment with a completely separate information system and in the private area. However, with the current ICT environment changes due to convergence and open platforms it has increased the threats and risks to critical infrastructure.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is increasing in the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uch as the outbreak of Ukraine blackout in 2015 by a malicious code called 'black energy'. This thesis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tecting the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designing a security framework reflecting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changes, and analyzing th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a security framework. We also propos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a new security framework by comparing and analyzing seven internation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standards, such as NIST 800-82 and IEC 62443-2-1, which are used in the control system. As a resul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ritical infrastructure chang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openness, and finality was studied, and as a response to this, many scholars and institutions present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s as cycle enhancement type structures, risk management structures, and management domain expansion structures. In response, the security framework encompassing these structures, CISF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 was designed. Additionally, through the security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 and criterion analysis, as a newly designed security standard suitable for CISF, IEC 62443-2-1 is reviewed and suggestions are made.

지하 수소인프라 폭발에 따른 인접 구조물 영향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Effect Analysis of Adjacent Structures due to Explosion of Underground Hydrogen Infrastructure)

  • 최현준;김세원;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1-27
    • /
    • 2022
  • 최근 탄소중립을 위하여 친환경 에너지원인 수소 에너지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 설치되는 수소충전소의 경우에는 수소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인접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폭발 위험이 있는 수소저장탱크를 지하(지중)에 배치하여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적절한 지하 수소인프라의 위치 및 심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지하 수소인프라 폭발에 따른 인접 구조물의 영향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수소인프라 폭발에 따른 인접 구조물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수치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등가 TNT (Trinitrotoluene) 모델을 활용하여 수소저장탱크의 폭발압을 산정하였다. 또한,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하여 지하 수소인프라의 시공조건에 따른 인접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Dynamic Infrastructure for Personal Robot;DynI

  • Roh, S.G.;Park, K.H.;Yang, K.W.;Park, J.H.;Kim, H.S.;Lee, H.G.;Choi, H.R.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039-2044
    • /
    • 2003
  • The advanced infrastructure for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personal robots is presented. Based on this structure, effective ways for integrating the various commercial components and interfacing among them are studied. The infrastructure includes the technology such as modularization based on independent processing and standardization open to other developers. The infrastructure supports not only that each hardware component of a personal robo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hole system mechanically but also that each software of the components can be functionally distributed. As a result, we developed the fully modularized personal robots mechanically, and a virtual machine for the control of these robots. In this paper the proposed infra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s are described.

  • PDF

SOC사업의 발상 전환 (Paradigm Shift on Infrastructure Projects)

  • 이임택
    • 기술사
    • /
    • 제33권4호
    • /
    • pp.12-16
    • /
    • 2000
  •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9 century, there had been a pro and con argument on which is better solution between privatization and nationalization in developing the infrastructure projects and in maintaining the infrastructure facilities worldwide. This paper introduces the privatization-nationalization wheel along with its advantage and disadvantage. At this stage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 it is the time that the most of infrastructure projects are being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It is mainly because the product or the services produced by the facilities of the infrastructure should be fully paid back by the end users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the market economy. Some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projects in S-N Korea.

  • PDF

A Study on Efficient Infrastructure Architecture for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Associated with Sensor Networks

  • 황광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8B호
    • /
    • pp.657-666
    • /
    • 2008
  • The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service among various telematics application service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services with regard to safety. In such safety applications, real-time, correct transmission of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study on efficient infrastructure architecture for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using a cooperative mechanism between vehicles and wireless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we propose an infrastructure, called CISN (Cooperative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Sensor Networks), in which proper numbers of sensor nodes are deployed on each road, surrounding the intersection.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overall service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various parameters consisting of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number of deployed sensor nodes, radio range and broadcast interval of base station, and so on. In order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CISN model in advance, and to evaluate the correctness and real-time transmission ability, an intersection sensor deployment simulator is developed. Through various simulations on several environments, we identify optimal points of some critical parameters to build the most desirable CISN.

다단계 바이러스 차단 구조 연구 (Multi-level Protection Infrastructure for Virus Protection)

  • 노시춘;김귀남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4년도 제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87-198
    • /
    • 2004
  • virus방역 체계 관리는 network infra구조관리, traffic소통경로관리. 방역 zone설정, gateway구간 방역관리이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방역체계 구조의 성격과 취약점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책으로서 개선된 방역체계를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방역체계와 configuration, mechanism하에서는 어느 정도의 개선효과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개선된 다단계 방역체계 하에서는 gateway 단계에서 불필요한 mail을 걸러주므로서 server에 주는 부하는 감소하며 virus wall상의 CPU부하의 감소와 virus 치료율의 상승으로 송신 적체 건수는 감소하고 시스템 process수는 증대하고있다.

  • PDF

철도차량운영계획과 건설계획의 통합을 위한 제도개선연구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Integrating Train Operation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 방연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7-1022
    • /
    • 2005
  • This article studied French case, German case, and England case of rail reform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ail infrastructure operator and train operator. Among these three cases there are ti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operators backed up by laws. In France the relation between RFF, infrastructure operator, and SNCF, train operator is set up by laws. In Germany the infrastructure operator and train operator form a Konzern and two different operators work with close cooperation. In England SRA, a government authority, plans both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rolling stock demand. From these case studies a conclusion results that there should be a institutional device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frastructure operator and train oper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