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zation Evaluat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evelopment of IS Evaluation Indices : In Case of Public Sectors)

  • 정해용;김상훈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5-189
    • /
    • 2003
  • In this research,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of IS(information systems) for public sectors is theoretically constructed through reviewing and integrating previous IS evaluation-related research. This model is hypothesized to consist of five sectors(System Sector, User Secto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ector, Resource Management Sector and Strategic Contribution Sector), ten evaluation items belonging to these five evaluation sectors, and sixty two evaluation indices for these ten evaluation item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show that the evaluation sectors turn out to be the same ones as proposed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evaluation items(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in System Sector proves to be consistent with the hypothetical model. However, in case of User Sector, two evaluation items(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hypothetical model are found to be merged into one item(User Satisfaction). And, it is shown that four evaluation items such as the Efficiency of Internal Process, Custom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Degree of Informatization competence improvement are included 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ector, differently from the research model in which the item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Degree of Informatization competence improvement, are not divided. As a final result, sixty two evaluation indices that comprise all the evaluation items belonging to five sectors are found to be reduced to fifty seven ones through factor analyses,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s and reliability analyses.

국가정보화의 통합적 관리체계를 위한 역할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Informatization)

  • 임성묵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9-17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 목표로 완전 통합 단계의 달성을 상정하고, 그 방안으로 국가정보기술원의 역할모형을 제시하였다. 국가정보기술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모든 정보화사업이 일관성 있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국가정보화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들을 섭렵하여 지원하는 전담기관으로, 정보화기획, 정보화사업관리, 정보자원 운영, 국가표준관리, 감리 및 평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정보기술원의 역할 모형은 정부의 정보자원 관리운용체계를 혁신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정보화 부문의 통합전산환경 구축.운영의 기대 성과분석 (An Analysis on the Expected Performance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Integrated Computing Environment in case of Culture Informatiz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03-2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부의 소속기관 및 산하단체의 정보시스템 운영환경을 통합한 문화정보 통합센터의 구축 운영을 가정한 사례를 중심으로 기대성과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로는 첫째, 문화정보 통합전산환경 구축 운영에 따른 성과를 사업적 기대가치와 전략적 기대가치로 구분하여 성과항목을 도출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사업적 기대가치의 경우에는 균형성과표(BSC) 관점에서 핵심성공요인(CSF)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화업무 효율화성과, 조직혁신 및 발전성과, 대민서비스 향상성과, 문화적 가치제고 성과 등 4가지 관점으로 범주화하여 세부 성과항목을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업적 기대가치중 정보화업무 효율화 성과의 경우에는 TCO(Total Cost of Ownership) 관점에서 경제적 성과 측정을 위한 세부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문화정보화 부문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화사업 투자에 대한 시차효과 분석: 산업인력정보화 중심 (An Analysis of the Time-Lag Effect on the Investment of Informatization for Industrial Human Resources)

  • 임규건;조남재;이대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133-153
    • /
    • 2008
  •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성과가 언제부터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의 시차 연구는 정책개발 및 정보시스템 도입 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연구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화 성과평가 방법론들은 평가시점에 따라 사전/과정/사후평가의 한 시점에서 평가할 뿐 시간 경과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효과 분석 및 시차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전자정부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산업인력정보화 사업의 워크넷 시스템에 대한 시차효과를 파악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B 데이터를 이용한 시차분석, 이용자들의 업무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시차분석, IT투자 대비 효과를 이용한 시차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시차효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차효과 분석방법을 국가인적자원개발 및 노동시장활성화를 지원하는 워크넷에 적용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차분석을 위한 몇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산업인력 정보화사업의 성과가 시차를 두고 향상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정보화와 성과 간에 발생하는 시차현상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부문서유통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 대한 성과평가모델 분석 (The Analysis on Evaluation Model for Efficiency of GDOC)

  • 유은숙;도경화;정기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1-12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투자에 대한 사전평가, 과정평가, 사후성과 평가를 통해 전자정부의 정보화 예산 투자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성 측정 및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투자대비 효과의 적합성을 제고 할 수 있는 계량적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전자정부 과제로 추진된 정부전자문서유통센터 구축사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투자에 대한 명확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사전평가 및 사후평가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KPI)를 개발하여 계량적 평가모델을 이용한 결과 활용도와 혁신 측면에서 각 지표 당 향상된 성과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차세대 기업 정보화수준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New Approach to Evaluation of Industrial Informatization)

  • 임춘성;유은정;김병완;신선도;이병율;차정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5-144
    • /
    • 2008
  • 최근 기업 경영의 관심은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경쟁력 확보에 있다. IT(Information Technology)가 이러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동인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경영과 IT의 연계, IT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 등이 최근 주요한 화두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외 정보화 평가지수 및 관련 연구들은 IT 자체의 양적인 구축과 활용수준, 그 경제성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IT가 경영 혁신을 지원하고 주도하는 수준에 대한 평가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정보화수준 평가 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요건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을 개발한다. 또한, 기업 정보화의 다양한 특성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다차원의 해석 방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시스템 EIII 2.0은 국내 금융 업종의 2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테스트로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농업법인과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zation Level for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SMEs)

  • 박진;김배봉;이재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892-902
    • /
    • 2015
  • 최근 농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식품 ICT융복합이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농업법인의 정보화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농업법인 3,019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정보화수준 점수를 산출하였고, 농업도 점차 기업화되고 있는 농업법인이 늘어나고 있어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조사 결과와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농업법인의 점수 산출을 위해 정보화수준 평가체계를 수립하였고, 평가 영역, 평가 지표, 평가 항목별 가중치 산출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평가 영역별로 보면 정보화 추진 환경 영역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형태별 분석 결과에서는 농업 회사법인의 정보화수준이 영농조합법인보다 높았으며, 경영유형별로는 가공 및 유통의 정보화수준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법인의 정보화수준은 2013년 기준 중소기업(50.18점) 정보화수준 대비 80.0%, 대기업(67.64점) 대비 59.4%로 나타났다. 특히, 투자타당성 분석, 정보화 투자, 정보화 교육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정보시스템 성과 평가 모형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Evaluation Performance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 김창규;박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27-535
    • /
    • 2016
  • 국내 정보시스템 문헌에서는 형성적 구성변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변수와 측정변수의 관계, 즉 반영적 혹은 형성적 구성변수의 설정은 가장 현실에 가까운 성과 평가와 올바른 인과모형을 검정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 목적은 포괄적인 문헌 고찰로 반영지표와 형성지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구성 및 개발 방법론을 정보시스템 평가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시스템 성과 평가에 대한 형성적 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올바른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보화사업 성과 요인과 성과 평가에 관한 기저 이론과 선행 연구 모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 구성변수와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한 지침(Guideline)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에 대한 올바른 형성적 구성변수 및 반영적 구성변수를 식별하였다.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변수를 올바르게 식별 및 분류하여, 향후 연구자가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 구성변수의 올바른 구성변수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산항 국제 선용품 공급업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정보화 역량을 중심으로 (Exploring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International Ship Supply Business at Busan Port Focusing on the Informatization Competencies-)

  • 이홍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1-74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항 국제 선용품 공급업의 경쟁력을 도모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정보화 역량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선용품 공급업체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과 정착을 위한 선결과제로서 정보화 역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수용하고 활용하는데 필요한 당사자들의 정보화 역량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추진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수립하였으며,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하였다. 실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보화 역량이 전반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처리능력이 다른 영역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정보화 재교육 프로그램과 전담 지원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설산업의 성과 및 정보화수준 평가를 위한 웹기반 시스템 (Web-based Performance and Informatization Measurement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z)

  • 유일한;김경래;정영수;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2-97
    • /
    • 2006
  • 지금까지 건설산업은 재무 중심의 성과측정에 주로 의존하여 왔다. 또한 성과측정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프로젝트 레벨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산업 또는 기업 레벨의 성과측정 및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의 몇몇 선행연구들은 기업 레벨의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 측정방법, 개념적 모델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활용하여 건설산업 참여기업들(발주기업, 건설회사, 설계 ${\cdot}$ 엔지니어링회사)을 위한 web 기반의 성과 및 정보화수준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의 78개 기업들로부터 수집한 성과 데이터를 이용한 시스템 테스트 및 성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스템의 개선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이슈들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