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ploring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International Ship Supply Business at Busan Port Focusing on the Informatization Competencies-  

Lee, Hong-Girl (경남대학교 경영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v.33, no.1, 2017 , pp. 61-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ormatization competencies of the international ship supply companies at Busan port.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ggests certain issues attribu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hip supply. To achieve this objective, evaluation was undertaken based on the model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is model consisted of three evaluation areas, including 20 items. Analysis of information competencies of ship supply companies was undertaken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ship supply companies located in the ship supply center at Busan port. Result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ddition, overall informatization competency was very low. Thus, in order to ensur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o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education programs for ICT usage and dedicated support organization are necessary.
Keywords
Ship Supply; Ship Supply Center; Informatization Competenc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formation Liter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차영두.강영우.이홍걸(2016), "인천항 정보서비스의 실태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2권 제1호, 69-90.
2 최봉한(2008), "컨테이너 터미널 정보화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하명신(2007), "부산항 선용품 유통센터 건립에 대한 법리적 고찰", 국제상학, 제22권 제1호, 87-106.
4 이홍걸(2012), "IPA기법을 이용한 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22호, 89-109.
5 해양수산부(2006), 항만물류산업의 클러스터화 및 활성화 방안 연구.
6 해양수산부(2014), 2014 해양수산주요통계, 해양수산부.
7 ITU(2003), World Telecommunication Development Report.
8 Martilla, J.A. and James, J.C.(1977),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113-131.
9 WEF(2003), The Global Information Report.
10 기업정보화지원센터(2004). 기업정보화수준평가 결과 보고서.
11 김길수.박병권(2001), "선용품업계에서의 전자상거 래 시장규모 예측에 관한 연구", 월간해양한국, 제334호, 93-100.
12 김민진.신승식(2013), "항만운영정보시스템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2호, 211-238.
13 김승섭(2010), "국내 선용품업계의 현황과 문제 해법", 월간해양한국, 제437호, 22-27.
14 강태수(2005), "부산지역 항만서비스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선용품 산업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구민진(2011), "부산항 선용품산업의 활성화 방안",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김성국(2006), "부산항의 부가가치화를 위한 선용품공급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11권 제3호, 149-166.
17 나옥규.임춘성.유은정(2005), "개인 정보화역량과 기업 경영혁신 준비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 김웅섭(2006), "선용품 유통센터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류형근.김봉수.이홍걸.양원.이철영(2004), "부산 항만 물류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8권 제5호, 405-411.   DOI
20 류형근.이홍걸.이철영(2007), "항만의 정보화 수준 제고를 위한 통합평가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제6호, 491-496.   DOI
21 류형근.이홍걸.이철영(2008),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보화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3호, 199-205.   DOI
22 박영태.우정욱.김이곤(2007), "부산항 선용품공급업, 선박급유업, 물류창고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정보학회지, 제10권 제1호. 31-56.
23 민세홍.최훈도.윤은영.강달원.김율성(2015), "부산항 국제선용품 유통센터를 활용한 선용품 공동물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9권 제6호, 553-559.   DOI
24 박병주(2009), "신항에서의 고부가가치 창출방안, 정책포커스 이슈분석".
25 김상흠(2012), "조직구성원의 정보화 역량과 업무수행 역량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배백식(2012), "항만물류공급업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고객만족 및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부산광역시(2014), 부산항 선용품 산업의 활성화 종합계획.
28 이은규(2013), 울산지역 선용품 업체 현황과 육성방안, 울산발전연구원.
29 인천발전연구원(2014), 인천지역 크루즈 선용품 유통시장 기초연구.
30 이홍걸.추봉성.장재곤.이철영(2006), "인지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항만물류산업의 성공적인 e-비즈니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1호, 61-66.   DOI
31 임재욱(2013), "부산항 선용품공급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무역학회지, 제38권 제3호, 149-167.
32 장흥훈.김경진(2011), "광양항의 선용품 공급 확대를 위한 e-Marketplace 구축 방안",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1호, 77-96.
33 정환호.고봉훈(2013), "인천항 이용 만족에 따른 경쟁력에 관한 실증연구", 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183-206.
34 (재)부산테크노파크(2016), 부산항 선용품 종합정보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ISP수립.
35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2004),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