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제24권2호
/
pp.39-54
/
2017
At present, various technologies are rapidly advancing, center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From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e senses as if they existed, to th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which provides new information or services based on reality, they are no longer strange things for ourselves because we experience them every day and night. Even though the concept of virtual is very familiar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ot known how individuals accept the concept of virtuality, how they change our way of thinking, and how their behavior changes. This study aims to approach virtuality perceived by the individual from the viewpoint of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Virtuality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situation facing an individual is far from actual reality. An individual can judge the degree of virtuality easil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whether the argument is applied to the real world in the context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when an individual feels virtuality at a high level,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distant and accordingly has a high level construal. Therefore, it is mo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 emphasizing symbolic appeal' which is matching with higher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an individual feels a low level of virtuality,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near and thus has a low level construal. Therefore, respondents are more sensitive to functional appeal, which is related to lower level.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erms that the degree of virtuality affects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individua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contribu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be actively used in the information delivery strategy centered on the advertisement.
Virtuality is a product of the information age, and as it plays a larger role in the activities of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the issue of how human behavior varies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space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facing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toda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virtuality shapes individuals' social relationships within and outside their work groups. We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ores the links between virtuality and social network based 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Using data from 172 individuals of 42 project teams in 5 global business consulting firms, we tested cross-level hypothese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indicate that virt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individual's internal tie strength as well as external bridging ties. The results also show the effects of virtual process via CMC vary along with the virtual context.
In today's turbulent business landscape, a firm's ability to explore new IT capabilities and exploit current ones is essential for enabling organizational agility and achieving high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propose IT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s two critical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for gain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However, it remains unclear how the emerging cloud-based IT architecture affects an organization's ability to explore and exploit its IT capabilities. We conceptualize modularity and virtuality as two critical dimensions of emerging cloud-based IT architecture and investigate how they affect IT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e test our hypotheses using data obtained from our field survey of IT managers. We find that modul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hereas virtua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xploration, but not with exploitation. We also find that the effect of modularity on exploitation is stronger than its effect on exploration.
새로운 정보기술이 등장하고 교류가 늘어나면서 과거 간명해 보였던 개념과 현실의 관계가 다변화되고 모호하게 변하고 있다. 가상공간(cyberspace)의 출현은 가상장소(cyberplaces)가 존재함을 뜻하며, 또한 현실 세계의 공간과 장소 간의 관계에 못지 않게 가상공간과 가상장소의 관계도 복잡할 것임을 암시한다.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 낸 세상의 여러 장소나 과정의 복제품, 즉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이러한 관계들을 탐색하는 실마리를 제공하낟. 그러나, 실제가상(real virtuality), 즉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현실세계의 장소에 대한 경험을 강화하면 공간과 장소의 관계에 대하여 더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실제가상은 지리학자로 하여금 그가 하는 일의 효율성을 높이고 영역을 넓히는 데 여러 가지 참신하고 강력한 도구를 마련해 준다. 실제가상이 널리 쓰이게 되면 지리학자들의 연구와 교육, 응용 분야에서 자료, 분석기법, 이론을 다루는 양식이 달라질 것이다.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are evolving to enable individuals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necessary for their live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physical,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The online services and experiences that originated from solving the discomfort in the actual offline space have created the newness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the digital world and furthermore uniquely new experiences in actual space as well.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several interpretations of unique individual behaviors in virtual environments, a recent research approaches virtuality as an interesting perspective of the change of thinking style. Virtuality is defined as how far apart we are from everyday reality, and if the individual faces a situation far from reality,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individual becomes distant and ultimately leads to the thinking style of high construal level. Otherwise, it is said to have a relatively low construal level of thinking style. In this study, I try to confirm the virtual distance as the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in new virtual contexts. Simultaneously considering temporal distance, which are most used in psychological distance, and virtual distance based on virtuality, this study tries to find whether the effect of virtual distance on product attitude is the same as that of temporal distance and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distance and temporal distance in the context of consumers' product evaluations depending on product information type.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보도에 드러난 '가상성'을 중심으로 매개된 현실과 실제 현실의 간극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방송기자연합회 저널리즘 특별위원회는 한국 언론의 세월호 보도 양상을 가리켜 저널리즘의 침몰이라고 명명할 만큼 세월호 보도는 현실 반영에 커다란 문제점을 드러냈다. 언론 보도의 가상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 현실보다 보도된 현실, 즉 매개 표상들을 더욱 많이 접촉하고 경험할 때, 수용자는 '실제 현실'에 근거하여 행동하기보다는 '매개된 현실'로부터 받아들인 것을 실제 상황이라 여기고 이에 근거해 반응한다는데 있다. 많은 연구에서 매체의 수용자들은 매개현실을 실제 외부세계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관찰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상사에서 다루어진 '가상' 개념에 대한 중요 담론을 검토하여 매개현실의 문제와 한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매개현실의 가상성은 여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권력의 사회화, 사회 통제, 사회주도권 개념들과도 쉽게 연결 지을 수 있었다.
In the new media age, the importance of personal style is highlighted, as the fashion recipients independently create their own images by transforming and recombining the fashion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fashion blogs -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social network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and styles of imaginary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s a new space of self-expression, based on Lacan's gaze; the imaginary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ego-concept.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In the case study, Narcissism is represented mostly as bloggers' satisfaction and beliefs about their fashion styles. The degeneration represents childhood images including a mother, as well as retro and vintage images that recreate the fashions of bygone eras - such as medieval, $19^{th}$ or 20th century fashion. Identification is the connection with the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movies and music. Virtuality represents hypothetical situations of mythical, fairy tale-like, surreal, or dreamlike atmospheres and hypothetical bodies that appear removed, disassembled, or crooked. The imaginary ego-images emerg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re also classified into specific style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ego images-such as kidult style, retro style, ethnic style, and surreal style.
Artificial lights have effected the changes of art and fashion concepts as well as human life since the invention of electric light bulb in late 19th century. Artist and designer have had more interested in these artificial lights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millennium and they have tried to apply the lights into their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sing artificial light as a medium. Artificial light for fashion design means the light using luminescent material like phosphorescent and fluorescent materials or in combination with electroluminescent digital technology or the light that can be perceived as images when light projects from media using a light projector or other digital equipment. Fashion design using this light type can change colors or form temporarily and it can playa role as a gadget for hm or as equipment to provide information much as a computer monitor does. And designer can create virtual patterns on the surface of clothes, or virtual fashion like a 3-dimensional holography in empty space. In these fashion designs, the virtual image of light is substituted for physical formative elements in fashion, and the viewer can experience an ambiguit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fashion designs were identified as visibility, indeterminacy, integration and virtuality. And they reflected the internal meanings; the persue of protection and safety, the search for experiment and innovation, the will fo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desire for the deviation and fun.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화 영역이 점차 확대되면서 IT 분야에서는 서버나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 자원들을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개인정보 노출, 개인에 대한 감시, 개인 데이터에 대한 상업적 목적의 가공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인프라 자원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3자가 이용할 없도록 가상의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사용자 정보를 익명의 값으로 가상화하여 제3자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도록 사용자에게 부여된 PIN 코드와 조합하여 사용자 익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중요시 되는 개인 정보를 분산 인증 및 관리할 수 있어 모든 정보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용자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의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향상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활용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information source, assessment, and preferred styles of 3D virtual influencers(VI), to investigate the expected impact of advertisements with 3D VIs on brands, and to explore ways of expanding the use of 3D VIs. In-depth interviews with 40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source of the 3D VI was SNS, acquaintances, and broadcasting. Second, 3D VIs were considered positively due to their attractive appearance, wide utilization, innovative use, freshness, separation from private identity, and time and cost savings, while considered negatively due to their unrealistic appearance and antipathy against replacing a person's role. Third, the preferred appearance styles of the 3D VI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virtuality although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preferred similar looks to real people with low virtuality. Fourth, diverse image qualities such as innovative, differentiated, trendy, high-value, professional, and future-oriented were considered as transferred to the brand advertised by 3D VIs. Fifth, advertisements with 3D VIs may help build positive perceptions of advertised brands that may lead to purchase behaviors for some consumers. Lastly, to expand the use of 3D VIs, the specific advantages of virtual models should be maximized with consideration of how to implement a variety of body types and images of models. Findings present an important foundation to generate strategies to better apply 3D VIs to the fashion market.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