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8초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Data Literacy Model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9-195
    • /
    • 2020
  •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과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인문학의 주요한 교육 내용을 결합하여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과 운영시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성인의 디지털 구강건강 문해력과 디지털 기기 활용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nd digital device utilization among adults in Gangwon-do)

  • 박찬영;김남희;오재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62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adults in Gangwon-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adults aged 30-89 residing in Gangwon-do, South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and occup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l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elderly and those with poor socioeconomic status (p<0.001) had lower average scores due to poor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ease of searching for or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oral health display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r=0.730, p<0.001). To develop the use of digital devices, simplifying the search for oral information (p<0.001) is essential. Conclusions: Al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Both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respondents' living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ChatGPT, 생성형 AI 시대 도서관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Literacy Education in the Library of the Chat GPT, Generative AI Era)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03-32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시대를 맞아 이와 같은 언어모델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도서관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구성요소를 고민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ChatGPT 유사 언어모델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적합한, 정확한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이용자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마지막으로 ChatGPT 시대 도서관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이해, 데이터 생성,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증, 데이터 관리, 데이터 이용 및 공유, 데이터 윤리와 같은 7개 구성항목을 포함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이용자의 정보 활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예상되는 만큼 도서관은 이러한 기술의 장단점, 문제점 등에 대해 한발 먼저 고민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한층 개선할 수 있는 토대로 삼아야 할 것을 강조하며 마무리했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인공지능 융합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s)

  • 윤혁;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53-56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포털 사이트와 RISS에서 소셜 데이터와 학술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고 TF-IDF, N-Gram, 의미 연결망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인식 양상과 현 상황을 파악하고,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셜 데이터에서 '인공지능 리터러시'보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수집량이 2배 이상 많아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소셜 데이터에서 '인간' 키워드는 소속된 군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문학 및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한 철학적인 관심과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부' 키워드가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소셜 데이터에서만 빈도, 중요도, 연결 중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나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정부의 정책과 관련 깊은 것이 확인되었다.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아동의 인공지능 태도와 소양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I Learning Program on AI Attitude and Literacy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 양창모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5-4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에 대한 태도 향상이 해당 교과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아동의 인공지능 태도 변화를 야기하고 태도의 변화가 소양의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교육을 실시하고,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의 변화와 인공지능 소양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영재아동들의 인공지능 태도와 소양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인공지능 태도의 변화가 인공지능 소양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회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태도와 소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 평가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표본에 적용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지만 생활 속에서 경험해본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보는 활동으로도 인공지능 태도나 소양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큐빅 모델에 기반한 대학교의 정보 소양 큐빅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bic Curriculum based on the Cubic Model in University)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3-92
    • /
    • 2007
  • 교육과정은 학교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특히 대학은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라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지식기반사회의 가치 창출 원천이 되는 지식을 생성, 축척, 전달하는 능력을 교육하는 정보소양 교육과정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 평가할 때 참조할 수 있는 3차원 큐빅 참조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몇 개 대학의 교양교육을 조사하였고, 학생 설문을 통해 정보소양 교육의 만족도 및 앞으로의 방향을 설문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된 참조 모델을 이용하여 정보소양 강좌의 교육과정을 설계하였고, 한 학기동안 운영해 본 결과 수강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모델은 체계적이고 융통성있는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대학의 정보소양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 평가하는데 좋은 참조 모델이 될 것이다.

  • PDF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류의 내용 요소 전개에 관한 연구 - 학습 내용의 내재적 통일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ent Components in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Focusing on the internal coher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4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의 내용 요소가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살펴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에 참고할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은 시간을 달리해 순차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별 교과서별 특징이 분명하게 구분된다. 『정보와 매체』(1996)와 『도서관과 정보생활』(2011)의 내용 요소는 선조적 구성으로 전개되는 반면, 『정보와 도서관』(2002)은 주제 중심의 단회성 프로젝트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서의 단원은 학습목표-학습내용-학습활동이 고르게 의미상 관계성을 맺어야 한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의 경우, 일부 단원에서 학습목표와 내용, 활동 사이의 관계가 단절되는 사례가 나타난다. 이런 단절은 교과서 내용 요소의 전개에 있어 신뢰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만큼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충분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Education)

  • 신수범;김철;박남제;김갑수;성영훈;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5-126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정보과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의 개념과 주요 영역 그리고 학년별 성취목표를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 디지털소양의 개념 분석, 디지털기술의 변화 트렌드 분석, 주요 조직의 디지털소양 내용 요약, 정보과 교육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과 교육에서 필요한 디지털소양은 소프트웨어교육을 지원하는 내용, 컴퓨팅사고력과 연계된 내용, 정보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총 67개의 성취목표에 대해 16명의 정보교육전문가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디지털소양 즉 정보생활의 타당도는 기준점을 모두 상회하였으나 일부 합의도가 기준점을 하회하여 패널 토의를 통해 재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생활의 성취기준은 초등1-2학년이 5개, 초등3-4학년이 13개, 초등5-6학년이 23개, 중학교 16개로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교육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for Digital Literacy in Education)

  • 정재리;이다겸;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13-4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교육에서 필수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주제로 한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필요한 연구 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학 분야로 색인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논문들을 찾아 연도별 분포,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목적 및 관련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의 적용과 코로나19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구 대상과 주제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영역에 대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위해 교사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교과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타 리터러시와의 명확한 개념과 영역 구분, 리터러시 교수·학습 방법 및 적용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도구 등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 PDF

구성주의 학습기법의 발전방안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as a Development Device of the Constructivism's Learning Method)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1-356
    • /
    • 2007
  • 본 논문은 구성주의 학습기법과 학교도서관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교도서관이 구성주의 학습기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서 학교교육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학습기법의 발달과정, 개념,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학교 도서관에서는 특히 사서교사의 information literacy교육의 개념과 그 중요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구성주의 학습기법이 효과적으로 수행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