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common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4초

공유문화의 장으로서의 도서관 공간의 설계요소 및 인프라 체계 연구 (A Study on Design Elements and Infrastructure System of Library Space as a Place of Shared Cultur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86-97
    • /
    • 2018
  • In modern times, pluralistic social phenomena in which various values are pursed and recognized appear. The modern society called hyper-connected,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zero marginal cost society in which shared value is commonly emphasized faces a paradigm shift to shared society system. In particular, sharing-based activities related with intelligence information sectors more prominently emerge in the high-tech informatization which has been accel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sign factors related with how attribution of the sharing culture is expressed in library spaces and examine how sharing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in users' spaces. As a research method, it initially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sharing culture and information spaces, which can be regarded as sociocultural phenomena in modern times. Then, it drew sharing culture-based spatial design factors-access, openness and plurality. It analyzed configuration of spaces for sharing information-Cultural Commons (CC), Information Commons(IC) and Learning Commons (LC) - and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paces, for library cases-five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The findings show that modern library spaces reflect historical needs for the sharing culture and actively serve their roles through spatial infrastructure including contents (programs) and services for sharing knowledge. The study is determined to be valuable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paces reflecting modern social trends and cultural phenomena, in expecting spatial structures in which knowledge is reproduced and planning spaces of libraries in the future.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에 대한 고객만족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Customer Satisfac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오동근;조현양;최성열;여지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1-187
    • /
    • 2010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NDL) 정보광장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에서 이용자와 직원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검증하여,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에 대해 이용자의 인식과 직원의 예측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 LCSI의 공식에 따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모형은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하였으며, LCSI의 공식에 따라 고객만족지수를 산출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지수는 75.69점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고객만족도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예측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와 동일한 모형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 이용자와 직원에게 모두 동일한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와 직원이 예측한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 충성도를 비교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들은 직원이 예측한 것보다 모든 면에서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디지털 시대의 학습과 정보 - 학습 코먼스로서 학교도서관 - (Learning with Information in Digital Ag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Learning Common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3-375
    • /
    • 2016
  • "디지털 패러독스"가 "조용한 위기"로 우리의 미래 세대를 위협한다는 심각한 우려가 있으나 이미 디지털 문화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디지털 매체들과 기존의 다양한 정보매체들의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기반 의미 있는 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를 적용한 학교도서관 학습 코먼스(Learning Commons)를 제안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와 매체들을 다루는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전제하여 정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매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정보 활용을 통한 의미 있는 학습의 개념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초점은 정보열람과 접근이 아닌 학습이어야 한다는 학습 코먼스의 개념을 학교도서관에 적용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이 디지털 시대의 학교도서관프로그램 핵심인 정보기반 학습에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한 학습 코먼스의 설계를 지원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창의학습공간(L-Commons) 모델을 적용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Makerspace in Public Library Based on L-Commons Model)

  • 오영옥;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3-315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의 방향을 위하여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연구 및 국내 25개 공공도서관과 미국 18개 공공도서관에 설치된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용산도서관과 마포평생학습관에 설치된 창의학습공간(L-Commons)의 이용현황, 공간과 자원 인식, 메이커스페이스 적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사서 심층인터뷰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은 첫째, 지역사회 구성원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있고 지역 내 모든 계층 간의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개방공간이어야 하며 둘째, 지역주민들이 어울려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작활동을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자원공유와 협력이 가능한 학습 협력 창의공간이어야 하고 셋째, 공통의 관심을 가진 지역주민들이 사교적 또는 협동적으로 만나 공공장소에서 아이디어 공유와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다른 곳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아이디어를 물리적인 것으로 전환하거나 흥미로운 것에 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창작작업공간이 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의 인포메이션커먼스(Information Commons) 적용기본구상 (Basic Ideas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 이상복;이정미;곽철완;박현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8
    • /
    • 2009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NDL)은 IC 공간 구축 전략을 통해 디지털 통합 서비스 및 다기능 복합 문화 공간 및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NDL IC 모형의 공공도서관 적용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IC 개념 정립과 IC 개념도입에 따른 공공도서관 건축 기본구상을 개발하는 것이다. 공공도서관에서 IC 개념의 성공적 도입과 구축을 위해서는 IC 공공도서관 공간개념과 구축방향, IC 공공도서관의 물리적공간과 도입 시설계획, IC 공공도서관에 대한 점진적 접근방법 등에 관한 기본구상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 Related to Public Libraries: Knowing Public Library as a Commons)

  • 한만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57
    • /
    • 2023
  •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모델 연구 (Data Model Study for National Research Data Commons Service)

  • 조민희;이미경;송사광;임형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6-438
    • /
    • 2022
  •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는 연구데이터 활용 극대화를 위해 컴퓨팅 인프라,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SW, Toolkit, API, 서비스 등과 같은 분석리소스를 연구데이터와 함께 배치하여 연합 활용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R&D 과정에서 연구 출판물, 연구데이터에 대한 공유·활용 체계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데이터와 밀결합된 소프트웨어, 컴퓨팅 인프라들을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은 미미하고, 관리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중심의 R&D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디지털 연구 자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모델을 설계한다. 이는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 서비스에서 디지털 연구 자원 정보들을 등록하고 관리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 PDF

조직관점에서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대한 사서의 저항요인 고찰 (A Study on the Resistant Attitude of Librarians in case of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from the Organizational Viewpoint)

  • 김지혜;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4
    • /
    • 2012
  • Information Commons는 정보환경, 이용자 요구 및 도서관 역할변화 등 전반적인 조직변화를 요구한다. 조직변화에 대해 구성원들은 필연적으로 저항태도를 가지게 되며 저항태도의 여러 요인 중에는 구성원이 소속된 조직 수준의 요인이 존재한다. IC를 도입하거나 미도입한 기관 사서들의 IC 인식수준과 조직의 지지부문의 유무에 따라 변화에 대한 태도 양상 차이와 조직 수준의 요인을 알아보고 저항태도의 조직적 관리를 통해 조직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 PDF

일본 도서관의 러닝코먼스화에 따른 독서지도사 활용에 관한 연구 - 독서지도사 양성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ing Instruction Qualification System for Learning Commons of Library in Japan - Focusing on Reading Instructor Training Case Analysis -)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1-88
    • /
    • 2015
  • 러닝코먼스는 정보코먼스의 기반에서 도서관의 사명 달성을 위한 실천을 전제하고 있다이. 이는 도서관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러닝코먼스의 핵심 콘텐츠의 하나가 독서교육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서관 현장에서 독서지도를 지원하는 독서지도사 양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일본의 도서관에 있어서 독서교육 서비스 진작의 사례로서 독서관련 지도사 양성과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본의 도서관은 독서교육 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해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지도사를 양성함으로서 독서교육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이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둘째, 일본 도서관은 독서지도라는 사회적 필요를 도서관,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협력하여 독서지도사 양성을 통해 해결해가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한국에서도 도서관내 독서교육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담당하고 독서를 지도할 수 있는 인력 양성제도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