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1초

P2P 사이트의 서비스 충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vice Loyalty for P2P Sites)

  • 강민철;김용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121-137
    • /
    • 2002
  • Researches on P2P, the information sharing model from person to person, up to date have focused on the technical side and there have been lacking of the business side researches such as customer loyalty. Considering the problem, this study tries to examine empirically in what way the factors of service, market, and customer affect the service loyalty of P2P site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three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rvice loyalty in general. In particular, the results uncover that those factor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reuse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hich are the two measures of service loyalty. For example, the cost of service use affects the reuse intention significantly whereas the same element does not affect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Interestingly, some of the results are not coincid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do not meet general expectation. For example, users' tendency of pursuing variety has positive impacts on the service loyalty, especially,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스마트 서비스: 개인의 앱스토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치의 조절효과 (Smart Service: Determinants Influencing Individual users' Intention to Adopt AppStor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

  • 김근아;송영미;김상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3호
    • /
    • pp.181-208
    • /
    • 2010
  • As knowledge-based society comes to the fore, sharing knowledge becomes a hot issue. Among various types of knowledge, a significance of software(applications) and contents is a huge in a current society. Moreover, along with appearance of smartphone, for instance iPhone, Application Store(also known as AppStore) utilized as a common gateway for sharing software and contents, brings a big interest for many users and developers. However, prior research to understand users' behavior on AppStore has been a sca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ey smart service environmental factors on AppStore in order to empirically explain users' psychological feelings of intention to use AppStore. Based on a well-known technology adoption model, TAM, the study incorporates three main characteristics(user, society, and service) with six constructs(Innovation, Enjoyment, Subjective Norm, Information Level, Content variety, and Cost),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which then affects users' intention to use AppStor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support the tested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 a new theoretical work for future AppStore research and offers suggestions that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AppStore should consider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and contents.

A Study on China's Intention to Switching to Shared Bike Platforms: Mechanisms of Trust and Distrust

  • Wenlong Lu;Yung Ho Suh;Sae Bom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179-187
    • /
    • 2023
  • 소비자 신뢰는 공유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중국의 자전거 공유 산업에서 선두였던 오포(OFO)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오포의 내부 경영 문제와 거의 파산상태에 이르기까지 소비자 신뢰의 하락을 분석합니다. 2018년 12월부터 오포가 직면한 "환불의 어려움" 문제는 계속해서 커져 왔으며, 본 연구는 이 상황을 배경으로 신뢰/불신에 영향을 주는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제품 요인(품질), 플랫폼 요인(결제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명성), 사회적 요인(사회 규범, 정부 규제)을 독립변수로 고려하여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합니다. 분석 결과, 공유 자전거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커지면 전환의도가 높아지며, 회사의 평판과 사회적규범은 신뢰와 불신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정부규제는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유 경제 플랫폼에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과 충족이론에 기반한 인스타그램의 사진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hoto Sharing Intention on Instagram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전중원;정철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1호
    • /
    • pp.1-13
    • /
    • 2020
  • 본 연구는 사진공유를 주 기능으로 하는 대표적인 SNS인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사진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과 충족이론 등 관련 선행문헌들에 대한 고찰 결과를 토대로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긍정적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동기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총 25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의 아카이브, 자기표현, 사회적 관계성은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스타그램의 자기표현, 사회적 관계성, 유희성은 호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에 대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유용성은 호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및 호의적 태도는 모두 사진공유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긍정적인 인식과 사진공유의도 향상을 통한 서비스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상공동체의 지식선순환을 위한 지식탐색과 공유에 관한 연구 (Towards the Virtuous Circle in Virtual Community through Knowledge Seeking and Sharing)

  • 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2014
  • 본 연구는 지식경영연구에서 비교적 적은 관심을 받아온 지식탐색행동인 지식브라우징(knowledge browsing)과 지식검색 (knowledge seeking)의 역할을 가상공동체 환경에서 조사하였다.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매개요인으로 지식공유의도와 가상공동체홍보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가설들은 한 가상공동체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능동적 지식탐색행동은 가상공동체의식에 양의 관계를 보였고, 가상공동체의식은 지식공유의도와 공동체홍보에 양의 관계를 보였다. 실무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회원들의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고 결국, 지식공유활성화와 가상공동체 홍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식탐색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회원들이 가상공동체로부터 지식을 얻고, 다시 지식을 가상공동체에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동체를 홍보하게 되는 가상공동체의 선순환적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조직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of Organization Insider)

  • 황인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4_2호
    • /
    • pp.421-434
    • /
    • 2021
  •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using online can increase the threat of information exposure by increasing the diversity of approaches to information within an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insiders to improve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within the organization. In detail, the study appli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clearly explains the cause of an individual's behavior and proposes a way to increase the compliance intention by integrating the social control theory and goal-setting theory. The study present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collected samples by applying a questionnaire technique, and tested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mply. Also, attachment, commitment, and involvement, which are the factors of social control theory, form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information security. Goal difficulty and goal specificity, which are the factors of goal setting theory, formed a positive self-efficacy. The study presen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uggesting a method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 상호의존성과 지식 영역성의 조절 효과 분석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on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ask Interdependence and Territoriality)

  • 황인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91-103
    • /
    • 2021
  • 지식경영이 조직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면서, 조직들은 지식경영 정책, 기술 등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 지식경영은 조직원의 핵심 지식에 대한 공유가 선제적으로 요구되나, 지속적인 지식경영 활동을 위한 공유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상호 교환 노력이 구성원의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는 지식경영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326개의 표본을 구조방정식모델링에 적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적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인(합리성, 상호 피드백, 공식성)이 지식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업무 상호의존성과 지식 영역성이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지식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는 구성원의 지식공유 향상을 위해 조직이 추진해야 할 활동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직무관련 지식의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ritical factors in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 빅토리아;박동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79-194
    • /
    • 2008
  • 기업이 계속 존속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가진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들이 가치 있는 지식을 공유하도록 동기부여하는 최선의 이슈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지식경영시스템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지식을 공유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수정기술수용모형에 외부변수로 조직문화와 시스템품질을 추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정기술수용모형은 적용가능성이 입증되었고, 경영층 지원, 보상시스템 및 조직분위기 등으로 측정한 조직문화는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기술요인으로 제시한 시스템품질은 이용편리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은화와 시스템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를 통해 지식공유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토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인지된 정보 통제가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의 정보 제공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Information Control on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 이은곤;김경규;송호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27
    • /
    • 2013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SNS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의도하지 않게 노출되거나 악용되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정보 통제 요소가 SNS 이용자들의 보안 우려와 SNS 사업자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접근 통제, 열람 통제 및 확산 통제의 세 가지 정보 통제 요소를 추출하였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SNS 서비스로서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459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L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열람 통제와 확산 통제는 유의하게 SNS 이용자들의 보안 우려를 감소시키고 SNS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를 증진시킴으로써 SNS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적인 정보 공유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보안 문제를 제기한 선도적인 연구일 뿐 아니라, 실제 구현이 용이한 보안 통제 기법을 소개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팀 혁신활동을 위한 지식공유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Exploring Antecedents of Knowledge Sharing in Team-based Innovation Activities)

  • 박준기;이혜정;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3-271
    • /
    • 2013
  • Innovation becomes norm rather than exception in today's business, and accordingly firms are working on how to make their employees to work smarter using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Smart work demands virtual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m members in different places and different time. Sharing of knowledge among team members in these innovative activities are critical in every sense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s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sharing among team members in team-based innovation activities. Five factors (pleasure of knowledge sharing, self-efficacy, management support, rewards, and system usage) are identified through extant review of literature and an instrument is adopted and valida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instrument is adminitered against 138 individuals in and across 54 teams in a telecommunication firm. Except self efficacy, all the paths i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confirmed with different levels of relational coefficients towards the levels of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activities in teams. Surprisingly, findings indicate that intrinsic pleasure of sharing is most critical than management support, organizational rewards or system usage. This study fills the research gap in team management.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ing teams in coming virtual and smart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