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ecurity Budge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6초

Analysis of Fiber-optic Link Budget for Optically fed Wireless Communication

  • Kim, Jung-T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35-38
    • /
    • 2003
  • Analyses of performance of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fiber-optic link have presented. We have analyzed CNR penalty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 by taking into account, radio link considering rainfall attenuation, and optical link considering several carrier-to-noise ratio versus the optical modulation index.

공공분야 개인정보보호 정책 집행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 지표의 선정 및 중요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Priority for Policy Impl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n Public Sector: 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ndex)

  • 신영진;정형철;강원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9-390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행정안전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 지표의 정책적 의미를 고찰하고, 각 지표의 중요도 선정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의 정책적 문제를 다루었다. 우선, 개인정보보호수준진단 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정책 방향을 개인정보보호의 정책 및 기술적 측면, 개인정보의 관리적 측면, 개인정보 침해 대응적 측면인 세 분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정책방향에 따라 선정된 지표의 세부사항에 대해 학자, 전문가, 실무자를 대상으로 AHP 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정하도록 하였다. AHP를 통해 개인정보보호 수준 진단 지표의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개인정보보호정책의 일반적인 체계를 갖추기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의 제도적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웹사이트상의 개인정보관리,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전담 조직 및 인력, 그리고 개인정보보호시스템 도입 등이 우선 시 된다. 본 연구의 정책과제를 기초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 체계가 지속된다면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공공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지고, 개인정보의 안전한 유통 및 가치가 향상되리라 기대한다.

정보보호 성숙도와 조직성과 간의 정보보호 정책의 효과분석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박정국;김인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9호
    • /
    • pp.301-310
    • /
    • 2014
  • 정보의 가용성, 접근성,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인 정보보호 관리의 부재는 서비스 연속성을 훼손하여 고객에게 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와 경쟁력에 심각한 리스크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직성과, 위험 관리 프로세스 성숙도, 위험 평가 프로세스 성숙도, 정보보호 정책지표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만들고 설문을 통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위험 관리 및 위험 평가의 프로세스 성숙도와 조직성과 간에는 높은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보호 인력비율, 정보보호 예산비율에 따라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보호 성숙도 수준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나,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정보보호 정책 및 규제는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의 성과 향상의 촉매제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정보보호 대책의 효과성을 고려한 정보보호 투자 의사결정 지원 모형 (A Model for Supporting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e Efficacy of Countermeasures)

  • 박병조;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27-45
    • /
    • 2023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기업은 제한된 예산 내에서 적절한 대책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Sönmez and Kılıç(2021)는 정보 보안 침해를 완화하기 위한 최적의 투자 조합을 결정하기 위해 AHP 및 혼합 정수 계획을 사용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그러나 1) 보안 위협에 대한 보안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2) 투자로 인한 위험 감소가 투자 이전에 측정한 위험 수준을 초과하는 비현실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3) 여러 위협에 대해 단일 대응책을 사용할 때 중복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위험 감소 수준이 투자 이전에 측정된 위험 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보안 대책이 중복 투자되지 않도록 최적화 모델을 개선했다. 개선된 모델을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Sönmez and Kılıç(2021)의 최적화 모델보다 더 나은 결과를 도출했다. 개선된 최적화 모델을 사용하면 정보보호 비용, 수량, 대책 효율성을 고려하여 고정된 예산 내에서 최적의 대책별 투자 포트폴리오를 도출할 수 있고, 정보 보안 예산을 확보하고 정보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in Korea Government Institutions and Agencies)

  • 송정석;전민준;최명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51
    • /
    • 2011
  • 공공기관은 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확립을 위해서 정책 수립 및 제도 확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 측정 모형과 요인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 수준은 최고경영층의 지원에 의해서 결정되며, 공공기관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정보보호 예산 및 정보화 담당 부서의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소방특별회계 설치 의의와 개선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 of Installation of Special Account for Fire Fighting Officials according to the Nationalization of Fire Fighting Officials)

  • 박남권;함승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18-225
    • /
    • 2021
  • 연구목적과 방법: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다양한 변화 중 소방재정 분야에 주목을 하고, 소방특별회계가 당초 취지와 목적에 맞게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및 실태 등의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방정책사업비가 소방특별회계 설치의 당초 취지에 부합하여 온전히 소방사업에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인건비에 대한 이중적인 편성기준 개정하는 한편, 예비비의 편성 기준인 "예산총액의 100분의 1 이내 규정"에서 예산총액에 인건비를 포함하고 있어 계속적으로 예비비 편성규모가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는바 예비비 편성에 있어 '예산총액'이 아닌 '사업비 총액'으로 변경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결론: 소방특별회계 내의 소방정책사업비가 당초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여 편성되고 집행될 수 있도록 예산편성 기준과 규모와 관련해 제도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소방조직의 운영과 소방서비스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

균형성과표(BSC) 기반의 정보보호 성과 지표 개발 및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and Method of Measurement for Information Security Outcomes applying BSC)

  • 장상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1-53
    • /
    • 2014
  • 조직의 정보보호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보보호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정보보호 성과평가 지표와 측정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사항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성과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적인 지표나 활용 가능한 측정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지속적인 보안투자 결정을 이끌어 내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각 기업 환경에 적합한 합리적인 성과평가를 위하여 성과평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평가지표를 도출하고, 평가지표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평가 지표와 측정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보보호 활동의 다양한 성과 요인을 균형 있게 평가하기 위해 Norton과 Kaplan(1992)이 개발한 균형성과표 (BSC : Balanced Scorecard)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기업들이 정보보호 수준을 파악하고 주기적인 성과측정을 통해 자사의 정보보호 현황 파악과 추이 분석이 가능하고 정보보호 투자 등 전략을 수립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민생침해범죄 예방을 위한 민간경비와 경찰의 상호협력방안 (Private and Public Securities' Mutual Cooperation Plans to Deal with Crimes Threatening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 홍은선;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54-174
    • /
    • 2008
  • Korean public power isn't currently performing its duties of crime prevention or public security services as effectively as the people expect from it due to excessive work load, insufficient budget, and equipment or work force problems, although it should protect the people from increasing crimes.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ivate security firms can' t be enhanced unless both parties are involved. Above all, the private security companies should secure superior security personnel and provide them with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ir qualities. The police should also make an effort. In order to foster the private security firms soundly, the police should improve the system if necessary, and establish, guide and monitor the department wholly responsible for the private security affair. Both parties also should deal with crimes systematically by exchanging information for crime prevention, having informal meetings and introducing a joint patrol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crimes threatening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in our society, the public and private securities' mutual cooperation plans should be formulated. For this purpose to be achieved, the private security firms and the police should understand each other and bilateral efforts should be made. If both parties understand each other and make an eff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ill be improved greatly and developmental plans for preventing crimes can be made.

  • PDF

자원 제약하의 중소기업 정보보안계획 수립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Information Security Plan under Resource Restrictions)

  • 권장기;김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9-124
    • /
    • 2017
  • 정보는 기업의 규모와 무관하게 소중한 자산이며 정보보안은 기업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대기업의 경우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MS)의 신속한 도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해 나가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예산 제약, 보안 지침의 미흡, 보안에 대한 인식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보안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거나 구축이 지체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의 정보보안 관리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소 기업을 위한 무료 또는 저렴한 방법으로 종합적인 보안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방법을 적용해 중소기업들은 최저 비용의 기본적인 정보보안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정보보안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스마트공장 정보보호 인식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for Smart Factory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Training)

  • 전인석;이병권;김동원;최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335-1348
    • /
    • 2016
  • 세계적으로 제조업분야의 스마트공장은 매우 빠르게 확산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KOSF(Korea Smart Factory Foundation)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고 있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발전한 스마트공장은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나 투자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고, 그 여력이 충분하지 않다. 그로 인해 스마트공장이 직면하게 되는 새로운 유형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고, 보안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새로운 위협을 식별하고 정보보호현황을 조사해본 결과, 스마트공장이 안전하게 확산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추가적인 예산투입 없이 정보보호 인식을 교육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기반으로 국제표준, 산업의 요구사항,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참조하여 스마트공장 정보보호 인식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이를 전문가 집단을 통한 타당성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안전하게 스마트공장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