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Skill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3초

From Skills to Practice: How Does Information Literacy Happen?

  • Lloyd, Annemaree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41-60
    • /
    • 2011
  • The use of a practice perspective i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literacy represents a shift in attention towards the enact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a social practice, and away from the information skills approach that has dominated information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that underpins a practice-oriented approach highlights the role of practice and co-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 shaping the production,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including knowledge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skills in relation to the context in which the skills are practised. This emerging view contrasts with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information literacy that has focused on the information skills of individuals as something that can be learned and transferred independently of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wo questions: what is information literacy and, how does it happen? It then goes on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is approach for librarians and researchers.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하영미;리메일링;채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47-35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실험중재는 간호대학생에게 6회(총 8시간)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이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 박주현;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3-2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을 규정하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현장 전문가 대상 인터뷰, 사서교사 대상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미디어를 정보를 활용하는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정보문제해결능력과 독해능력, 미디어의 기능, 사례 활동, 정의적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사서교사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있어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비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개념을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복된 영역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민주사회에 참여,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의 종류, 인간의 기본권, 기능, 디지털 도구 조작, 정보 문제 해결 과정이 맥락에 따라 결합되어 응용될 수 있도록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Digital Literacy Skills and Utilization of Online Platforms for Teaching by LIS Educators in Universities in Rivers State, Nigeria

  • David-West, Boma Torukwei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105-117
    • /
    • 2022
  • The study investigated digital literacy skills and utilization of online platforms for teaching by LIS educators in universities in Rivers State, Nigeria. The study was undertaken 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three hypotheses guided this study.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wenty-six Lecturers from the three universities in Rivers State wh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offered. The twenty-six constitute the sample size. Census sampling technique was adopted for the study. The instrument titled Digital Literacy Skills and Utilization of Online Platform for Teaching Questionnaire (DLSOPUQ) was used to elicit information from the respondents. Twenty-six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nd retrieved. Mean (${\bar{x}}$)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null hypotheses was tested with t-test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utilization of online platforms for teaching by LIS educators in universities in Rivers State. Further findings revealed that LIS educators do not have the necessary skills to navigate the online environment for teaching without assistance. In conclusion LIS educators should be innovative and update their skills to meet up with global practice. It was recommended among others that LIS educators should be trained and retrained by the university management to cope with online teaching and provision of the right infrastructure by governments for effective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문해 서비스 (Providing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in Liaison with School Curriculum)

  • 변우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44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이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문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요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장애요인으로는 정보문해를 ICT 활용능력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장서, 도서관 전담인력 등의 미비 등을 들었다. 정보문해에서 문헌정보의 중요성, 온라인을 이용한 도서관 이용지도, 정보문해 수업을 위한 Big6 문제해결 모형 및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의 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서식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박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90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평가지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이론과 과정을 고찰하였고, 대학 단위, 지역 전문대학 단위, 주정부 단위, 고등학교 학군 단위에서 개발한 미국의 평가 도구를 분석하여 우리 고등학생의 정보활용 능력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계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 임정훈;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7-298
    • /
    • 2018
  • 본 연구는 대전 "A" 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7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두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포함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에 대한 탐색 접근 능력은 진실추구성, 개방성, 탐구성, 객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의 분석 이해 능력은 진실추구성, 개방성, 객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의 표현 전달 능력은 탐구성, 체계성, 자기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평가 능력은 진실추구성, 개방성, 객관성, 탐구성, 체계성, 자기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보의 종합 적용 능력은 체계성과 자기신뢰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 보면 정보활용능력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비판적 사고성향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조절학습 요소가 고등학생의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n Attitude and Related Skills of Information Liter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1-1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가 학습환경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 자기조절학습이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미치는 심층적인 이유는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조절능력, 동기조절능력, 행동조절능력이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이 정보문해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심층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 정보환경에 대한 경험, 시간 운영, 정보문해교육에 대한 노출, 동기유발, 교사와의 관계, 만족지연, 사전지식 요인이 도출되었다.

Information Literacy in Indian Schools: Trends and Developments

  • Hanchinal, Veeresh B.;Hanchinal, Vidya V.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7-18
    • /
    • 2018
  • Information Literacy (IL)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everybody's life.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possessing IL skills is more significant than ever as information is available in many forms and formats. Schools are the primary places where these skills are imbibed in students. Organizations like UNESCO, IFLA, ALA, AASL, & ACRL have formulated IL Standards and Guidelines/Models at the international arena. Though the Government of India is making efforts in provid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yet there are no set of standards/guidelines devised by any agency/organization at the school level. This paper gives a brief account of IL initiatives and highlights the trends and developments of IL programmes in Indian School Libraries. It recommends the nation to form a national level advisory committee to develop IL framework for Indian school Libraries. Further, it suggests that librarians should work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eachers for better results. A moderate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feasible solu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L programmes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의한 탐구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71-492
    • /
    • 2009
  • 탐구수업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탐구수업은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학생스스로가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행 탐구수업은 학교도서관과의 연계성 부족,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간의 협력 부족,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탐구수업 모형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정보의 접근, 평가, 이용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보활용능력은 탐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피트(Lippitt)의 탐구과정과 정보활용과정모형(Big6 Skills, Pathways to Knowledge, I-Search, 8Ws, IP, IRP)을 비교 분석하여 탐구수업에 적합한 기능, 전략, 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과정에 의한 탐구수업의 정교화 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