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AI 데이터 과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I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to Foster Dat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홍지연;김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20
  • 인공지능으로 구현되는 지능과 데이터 및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혁신을 유발하고 광범위한 사회, 경제적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다가오는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위해 AI 교육을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는 AI 소양과 더불어 함께 신장시켜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키워줄 수 있는 AI 데이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험반에 적용, 사전-사후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의 네 가지 세부 역량인 데이터 이해, 수집, 분석, 표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AI 데이터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 기기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Research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logies based on Mobile Device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5
    • /
    • 2020
  •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컴퓨팅 환경이 모바일 기기 기반으로 급속히 바뀌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데스크 탑 PC 기반의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모바일 환경에 맞는 리터러시 교육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가진 모바일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MoDL(Mobile Device Digital Literacy) 교육 체재를 제안한다. MoDL을 3단계로 구축하여 모바일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MoDE(Mobile Based Digital Environment)와 이를 교육에 활용할 때에는 BYOD(Bring Your Own Devices) 수업 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디지털 리터러시를 학습하는 MoDLI(MoDL Instruction)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제시된 MoDL 교육 체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8인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 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n: CVR)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MoDLI의 현장 적용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변천 (The Historical Chang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Japanese School Libraries)

  • 김소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1-219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의 학교도서관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역사적 변천을 통해 형성된 최근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연구,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간행물, 학습지도요령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은 1940년대 후반 이후 도서관 이용지도의 도입기, 1950년대 후반 이후 지도방법의 모색기, 1980년대 이후 정보리터러시교육의 확립기, 2000년대 이후 탐구학습으로의 확대기를 거쳐 발전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ing a Platform of Online Inquiry-Based Learning for Information Literacy

  • KWON, Sung-ho;RYU, Sook-yo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1호
    • /
    • pp.121-137
    • /
    • 2005
  • In today's information-rich society, the need for information literacy has urgency. Three tasks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 filtering, meaning-matching, meaning-construction that could be strengthened through inquiry-based learning. The cycles of reflection and practice develop the habit of mind, or 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that allow the learners to acquire higher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 on-line inquiry-based learning environment designed for information literacy may help learners to perform their lifelong learning better with the ability to appreciate, locate, evaluate, and use information effectively.

의학도서관 정보이용교육 프로그램 연구: C대학교 의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of Medical Library: Focused on C University Medical Library)

  • 이용재;우상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49-71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정보이용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아울러 정보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고 이용자 지향적인 정보이용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진 사례들을 벤치마킹한 뒤, 국내 평균에 가까운 한 대학도서관을 주요 사례로 하여 정보이용교육의 실태와 이용자들의 정보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의학도서관 정보이용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의 고려사항, 내용, 흐름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의학도서관들이 정보이용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보완하고자 할 때 유용한 참조원이 될 것이다. 각 의학도서관은 자관의 상황에 따라 이 연구의 결과를 적절히 가감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교육으로서 정보활용능력 교육 위상 강화 방안 (An Alternative for the Enrich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 a General Education)

  • 한만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1-70
    • /
    • 2014
  •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활용능력과 수사학의 융합을 통해 정보활용능력 교육이 대학에서 필수적인 교양과목의 요건을 갖출 수 있는지를 논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의 성격을 1) 발견법을 이용한 상황적 활용능력, 2) 탐구를 중시하는 과정 중심 활용능력, 3) 편재성에 적합한 활용능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이 학제성을 띠는 민주시민의 핵심 교양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에는 기술 이용 중심의 방법도 있는 등 다양성이 존재하는 만큼 이 부분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으로는 '문제 발견을 위한 상황적 질문하기', '학습론 책 선별해서 읽고 서평 쓰기', '실제 도서관 탐방 보고서 쓰기', '민주시민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컴퓨터소양의 관점에서 본 컴퓨터교육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Theme of Computer Education for Aspects of Computer Literacy)

  • 한병래;이철현;송기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3-111
    • /
    • 2000
  • 컴퓨터가 사회 전반에 침투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교육이 사회의 각 층에서 일어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컴퓨터 교육 현상을 중심으로 컴퓨터 교육의 의미와 과제를 컴퓨터 소양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컴퓨터 교육현상에 따라 컴퓨터 소양의 의미를 탐색해 보았고, 각 현상에 따른 내용을 실 예를 들어 제시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소양의 관점에 있어서의 교육방법에 대한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개인 정보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 권정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1-167
    • /
    • 2020
  • 사이버공간 속 디지털문화의 융복합 윤리교육은 개인정보, 저작권 등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고 있어 사이버 공간의 사용자인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교류하는 사이버공간 속 정보수용능력과 정보 제공능력에 관한 교육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를 남용하는 역기능이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소통하고 교류하는 디지털네티즌들 가운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정보보안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사회회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양성의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of an Elementary School Pupils)

  • 김선태;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1
    • /
    • 2008
  • ICT 활용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생들에게 창의성, 팀워크, 비판적 사고, 독립적 학습 및 학습 동기 개발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서울시 초등학생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은 사회 문화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 기술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낮았다.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서울시 초등학생들의 역량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중학생의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 분석 (Analysis of ICT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kill sets)

  • 이승진;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78
    • /
    • 2013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역량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2007년부터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측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수월성 관점에서 영재분야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목적 달성을 위해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167명, 중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은 영재분야에 따라 내용요소 중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사회와 윤리', 능력요소 중 '문제의 인식', '정보의 소통'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생은 영재분야에 따라 '정보사회와 윤리', '정보의 조직 및 창출' 요소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과는 달리 정보, 과학,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교육에 대해 제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