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of ASEAN Network Model on Information Literacy

  • Sacchanand, Chutim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18-29
    • /
    • 2022
  • This study aimed at overviewing the sit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region, and developing an ASEAN network model on information literacy. This research used documentar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Key resources consisted of twenty bibliometric studies and related documents and two groups of key persons.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twenty-seven purposive key persons from eight countries, and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seven key persons from five countries. The research instruments comprised a data collection form and focus group/ interviewing forms. Data was collected by focus group discussion and online interview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in data analysis and presented descriptively.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1)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ASEAN region varied across countries and placed importance on the educational context. Singapore was found to be the most leading and productive country in ASEAN in information literacy with the highest number of journal articles on the international scale, and was among the most contributing groups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 2) the ASEAN Network on Information Literacy (ASEAN-NIL) has been developed as a model with its principles, objectives, management system, activities, and promotion strategies. Its strengths are an integrated scope, multidimensional orientation, and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suitable for the ASEAN context, the online environment, and the digital educational ecosystem.

영국 SCONU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분석 (Analysis of British SCONUL's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 최재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2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에서 정보리터러시 기준의 변화와 동향을 미국과 영국의 경험에서 먼저 살펴보고, 영국 SCONUL이 1999년에 처음 발표한 기준과 2011년에 수정 발표한 기준의 개요를 파악한 후, 2011년 SCONUL이 발표한 두 개의 기준, 즉 핵심모델과 연구렌즈의 내용을 직접 비교 분석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과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통해 진행되었고, 위의 전 과정들을 통해 영국 SCONU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이 암시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유관기관이 고등교육에서의 정보리터러시 기준을 고려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영재의 정보과학교과 수행능력과 영재성 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omputer Science Literacy to Giftedness i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심재권;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5-373
    • /
    • 2011
  • 지식산업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영재에 대한 선발이 최근에는 기초 능력평가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기초 능력은 창의력, 사고력과 관련된 능력에 관한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지식산업사회를 살아가는데 누구에게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과학에 대한 내용은 배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실제 영재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 영재 61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재성 정도에 따라 정보과학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고,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영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모든 분야의 기초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정보과학의 내용을 영재성 검사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PDF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 양혜지;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8
  • 한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정보교육을 통한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을 강조하였다. 정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윤리 지식을 축적하여 윤리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정보문화소양을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문화소양을 육성할 수 있는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영국, 인도, 일본, 호주, 독일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문화소양이라는 용어는 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었다. 둘째, 각국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내용 요소는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저작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보사회와 진로, 인도의 부상 피하기, 독일의 건강 보호, 환경 보호는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에만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정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문화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 요소 구성 개선에 방향성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on Test Standard for Measuring AI Literacy

  • Mi-Young Ryu;Seo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39-46
    • /
    • 2023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소양 능력의 측정을 위한 검사 기준의 설계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AI 소양의 핵심 영역을 선정하고 세부 기준을 설계하였다. 검사 기준의 영역은 AI의 개념, 실제와 영향 3가지로 구분하고 세부 항목은 AI의 개념 33문항, AI의 실제 13문항, AI의 영향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기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2번에 걸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기준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AI소양 검사 기준은 총 3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소양 검사 기준은 AI소양 능력 측정을 위한 자기 체크리스트나 AI역량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ig Data Analysis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ta Literacy Competency of Teacher Training College Students)

  • 김슬기;김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41-151
    • /
    • 2022
  • 최근, 급격히 발전하는 미래 디지털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기초소양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대학과 교육 대학에서도 기초소양으로서 빅데이터 및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를 설계 및 적용하고 데이터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수준에 적절한 형태임을 확인했으며, 데이터 리터러시의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역량의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체계적인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교육 연구에 도움을 주어 학생과 예비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증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1-292
    • /
    • 2011
  • 정보활용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이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11년에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로 발행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과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새로운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정보활용교육 방법과 교수매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고,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와 인정심사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약 6년의 기간을 거처 개발된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개발과정, 교육과정, 내용체제, 적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대구지역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 유용성 분석 (An Analysis of Useful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he over 50-years Older Adults in Daegu, Korea)

  • 김희섭;강보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9-7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정보화의 측면에서 장노년층이 인지하는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은 대구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는 만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 중 311명의 유효한 응답자 데이터를 정보화교육 참여경험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은 '정보활용 편의성', '정보활용 유용성', 그리고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정보활용 편의성'은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 유용성'과 '삶의 만족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I·II 영역을 중심으로 - (A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Gap and Information Literacy)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9-1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가진 경제적 여건의 차이, 즉 교육격차에 따른 기초적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학교별 정보활용교육 경험의 차를 통제할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 629명을 대상으로 3월에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학교 정보공시에 제시되는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학생들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교별 교육격차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설명할 수 있는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격차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 II 영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점수의 회귀방정식을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켜 갈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계적 정보활용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이상적인 수준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으로 교육격차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정보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정영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5-20
    • /
    • 2011
  • 최근 민족적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다문화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적, 사회복지적 측면의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유아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정보 리터러시 기준을 분석하여 추출한 다섯 가지 핵심요소를 교육과정 모델의 기초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정보격차 해소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의 성격, 세부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법 항목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