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대학생을 위한 간호정보활용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조민정;구미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0-22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consisted of 42 sophomor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experimental group: n=21, control group n=21).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8 steps in 8 sessions, taught over 4 weeks, which was 20 hours in total.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3 and March 14, 2019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with SPSS/WIN 23.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F=91.74, p<.001), problem-solving ability (F=52.43,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36.61, p<.001),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F=59.66, p<.001). Conclusion: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Hence, we recommend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will be included as an independent course in the nursing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 promote a needed proficiency in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 유용성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Older Adults in Korea)

  • 김희섭;이미숙;강보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3-12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이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보화교육이 정보 활용으로 이어져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만50세 이상 227명의 설문 데이터를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화교육은 그 유용성 측면에서 측정하였고, 정보활동은 그 편의성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정보활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전성균;박상욱;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2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이 관련 교과와 융합하여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일반 현황, 컴퓨터 정보 소양 관련 융합 교육 인식 및 현황, 컴퓨터 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16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 정보 교육을 전공하거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이 있는 경우 컴퓨터 정보 소양 관련 융합 수업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융합 교육을 수행할 때 수업 내용의 구성이 어렵고,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에 있어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교구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방향, 교원 양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 교구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Oral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of Mother's in Some Areas: A 25% Comparison Study of the Upper and Lower Grades

  • Kim, Mi-Jeong;Lim, Cha-Young;Son, Ju-L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4-50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egree of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by 25% for upper and lower grades to assess how differences in mothers'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ffect infants' oral health behavior. Methods: The study surveyed 201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using a 36 question survey tool.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25%. Results: Comparing 25% of the upper and lower grades of verbal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cores, the word with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was resin. An item asking about the time to eat after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on the functional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cale. Mothers' oral and functional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cores showed that verbal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rushing guidance after children's meals, brushing guidance before children's bedtime, food intake restrictions before bedtime, and restrictions on consumption of cavity-inducing foods (p<0.05). Functional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ost-brushing test of children and the correct brushing method map items (p<0.05). Conclusion: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pper and lower 25% of the mother's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ffected the infant's oral health behavior.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to raise literacy by grasping the level of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f mothers, and oral health education by level according to oral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hould be developed.

유아의 정보화 능력에 따른 유아발달 경향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Developmental Trends in Early Childhood)

  • 조준오;황해익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51-16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preschoolers and their developmental tren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preschoolers. After taking tests in information literac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gaps among the preschoolers i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levels of their information literacy. When a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ergroup differences in detai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preschoolers with excellent information literacy and those with intermediate-or poor information literacy, and between the preschoolers with intermediate information literacy and those with poor information literacy. Secon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impact these differences made to their body, cognition, language, sociability and emotions which comprise the five subfactors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ventory were checked after the mutual influence of the five subfactors was controll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apparent in all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ccording to relative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The preschoolers who had a better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level of development in every subfactor.

초등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 교과 독립 적용 탐구 (Exploring the Independent Application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65-277
    • /
    • 2021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기능과 도구 활용 중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과 참여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원격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기초적 지식, 기술 및 역량으로 구성된 준거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은 기능과 도구 중심으로 제시되고, 특정 영역 등에 편중되어 있고 체계성, 연계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에 초등 정보교과 독립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과 체계 구성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 및 예비교사의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으로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개념 검토 (An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s a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

  • 박건규;김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97-403
    • /
    • 2016
  •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문자에 대한 문해력이 그러하듯이 주체에게 시각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층의 생활전반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시각정보가 많고 다양한 만큼 시각적 문해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시각적 문해력은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된다. 여기에는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시각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소통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 이정연;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5-334
    • /
    • 2006
  •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통하여 각 집단의 수업전후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교육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보활용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는 각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정보윤리 영역과 정보분석 영역에서 그 효과가 높음을 보였다. 그러나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기초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은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도서관에 대한 인식도가 변화되었다. 이로서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은 인지적, 태도적 측면 모두 대학생들에게 교양과목으로서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대상 정보활용교육 실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Public Libra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3-83
    • /
    • 2006
  • 공공도서관에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활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활용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공공도서관의 교육적인 기능이 강화되면서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활용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을 시설과 자료, 사서, 학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정보활용교육 내용의 개선방안은 교육준비, 교육방법, 교육진행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 그리고 정보활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보활용교육의 사례를 비교${\cdot}$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한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은 정보활용교육의 모형에서 추출한 5대 기능과 과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또한, 모든 정보매체와 정보텍스트의 형식, 정보활용의 과정과 전략, 정보의 체계 및 구조를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 고학년(4-6), 중학교(1-3), 고등학교(1-3)로 구분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계열을 설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