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Cue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6초

모아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교육과 수유상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ther-infant intercation in teaching and feeding situation)

  • 조결자
    • 대한간호
    • /
    • 제29권5호
    • /
    • pp.54-68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in infant teach. ing and feeding situation. The subjects were 30 pairs of mother and her infant(9 month) who were normally delivered at 3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rea.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observation using videotaperecord from September 27, 1989 to Feburary 26, 1990 in their home. The measulsement tools used by this researcher were Nursing child Assessment Teaching scale (NCATS) and Nursing child Assessment Feeding Scale(NCAFS) which was developed by Barnard. The higher sum of "yes" score means the higher mother-infant interaction level.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in both sitution were based on 6 subcategories; sensitivity to cue, response to distress, social-emotional growth fostering, cognitive growth 'fostering, clarity of + cues, and responsiveness to pare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above method were analyzed by mean and t-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m of maternal behavior score was 40.2 out of 50.0 in teaching situation and 37.9 out of 50.0 in feeding situation. Out of the 4 subcategories on maternal behavior in both situation, the highest subcategory was shown by response to infant's distress and the lowest subcategory by cegnitive growth fostering. 2. The sum of infant behavior score was 14.7 out of 23 in teaching situation and 17.9 out of 26 in feeding situation. Out of the 2 categories on infant behavior in both situation, the highest sub categroy was shown by the clarity of infant's cue in both situation. 3.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teaching situation; college group was higher than high school group, particulary in category of sensitivity to infant's cue and congnitive growth fostering. 4.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aching situation between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mother-infant interaction;college group was higher than high school group, particulary sensitivity to infant cue, social-emotional growth fostering and cognitive fostering. 5.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etween parent educational level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feeding situation.situation.

  • PDF

럭셔리 vs. 비(非)셔리 브랜드의 광고에서 배경음악 내 적합도가 브랜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t in Background Music on Brand Memory for Luxury vs. Non-luxury Brand Advertising)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147-152
    • /
    • 2018
  • 선행문헌들은 사람들이 럭셔리 브랜드에 대해 非럭셔리 브랜드보다 추상적으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며, 브랜드 처리에 있어 적합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보여왔다.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에 대해 非럭셔리 브랜드 광고에 있어 실행단서 내의 적합 vs. 非적합이 브랜드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음악에 주목하여 배경음악과 사운드 로고가 적합하거나 그렇지 않은 조건에서 피험자들이 브랜드를 얼마나 잘 기억하는 지 살펴보았는데, 럭셔리 브랜드 광고에서 적합의 긍정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실행단서와 브랜드 이미지나 실행단서 간 적합 뿐 아니라 실행단서 '내'에서의 적합 또한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데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실안개와 상대적 높이 단서 기반의 깊이 지도를 이용한 2D/3D 변환 기법 (2D/3D conversion method using depth map based on haze and relative height cue)

  • 한성호;김요섭;이종용;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51-356
    • /
    • 2012
  • 본 논문은 단일영상의 실안개 정보와 상대적 높이 단서를 기반으로 깊이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2D/3D 변환을 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실안개 정보만을 깊이 지도로써 이용하는 경우, 안개가 없는 영상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 높이 단서 기반의 깊이 지도를 생성하고, 실안개 정보와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gray scale 영상과 실안개 정보의 깊이 지도를 결합하여 객체의 경계를 선명화함으로써 3D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입력영상과 최종 깊이 지도를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을 통해 좌영상과 우영상의 시점영상을 생성하고, 적청영상의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3D 영상을 생성하였고, 깊이 지도간의 PSNR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그래픽 정보에서의 시각단서 적용에 따른 몰입과 재인 성향 (Tendency of Immersion and Recognition on Application of Visual Cue in Graphic Information)

  • 권효정;이화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74-1183
    • /
    • 2012
  • 본 연구는 다변화된 정보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시각 몰입과 재인 과정에 시각단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시각정보 구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리하여 최신 그래픽 정보 사용자 트렌드를 고려하여 과학적인 도구와 주관적 내면 평가를 활용한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보다 체계적인 실험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몰입과 재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최신의 디바이스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그래픽 정보 사용자의 기초설계모형과 표준 평가 모형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색과 정서적 맥락이 생물형운동의 정서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or and Emotional Context on Processing Emotional Information of Biological Motion)

  • 김제중;김유리;조은의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63-78
    • /
    • 2020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행동을 위해서는 사회인지적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정서 정보의 처리 역시 중요하다. 정서의 처리과정은 자극의 속성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정서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효과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물형운동자극을 사용한 정서변별과제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과제에서는 분노, 행복, 또는 중립 정서를 지닌 단서자극과 함께 제시된 빨강, 초록, 흰색, 또는 노란색 중 하나의 색과 분노 또는 행복 정서를 지닌 표적자극을 비교하여, 단서자극에 비해 표적자극이 나타내는 정서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정서 중립 자극만을 사용하여 색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표적자극의 특정 색과 정서 간 연합이 관찰되었다. 즉, 빨간색은 분노정서, 초록색은 행복정서 처리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단서자극과 표적자극의 정서가 일치할 때 표적자극 정서의 변별 정확도가 높았으나, 빨간색과 분노정서가 조합된 조건에서는 단서자극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표적자극의 색에 의해 착각적인 정서반응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주로 사용된 얼굴자극이 아닌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의 정서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및 색 요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가능한 후속연구 및 임상적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영역 탐지 (Detection of Forest Areas using Airborne LIDAR Data)

  • 황세란;김성준;이임평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23-32
    • /
    • 2010
  • 산림영역에서 획득된 라이다데이터는 산림영역의 DTM생성, 수고 및 산림생체량 추정과 같은 산림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핵심적인 전처리 과정으로 본 연구는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산림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산림영역으로 판단하기에 효과적인 다반사 특성, 높이값 편차 및 공간적 분포에 기반한 세 가지 인지적 단서를 제시하였다. 각 단서들에 기반하여 산림후보영역을 탐지하고, 오분류를 제거하고 경계를 정제하기 위한 이진형태학적처리를 수행하여 최종산림영역을 결정하였다.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기준데이터로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세 종류 단서에 의한 방법 모두 약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다반사 특성에 기반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교하여 정확도 및 단순도 측면에서 보다 좋은 방법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각의 단서에 기반한 개별적인 결과를 조합하면 분류 정확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점 영상 시스템을 위한 얼굴 추적 (Face Tracking for Multi-view Display System)

  • 한충신;장세훈;배진우;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2C호
    • /
    • pp.16-2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관찰자의 시점에 적응적인 다시점 영상 합성 시스템을 위한 얼굴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depth 카메라를 이용하여 텍스쳐 영상과 깊이 정보를 획득한 후, 회전(rotation)과 이동(translation) 등 기하학적인 변환을 이용하여 관찰자의 위치를 고려한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관찰 시점의 위치와 각도에 의한 입체감(motion parallex cue)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 관찰자의 얼굴을 추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모니터에 설치된 얼굴 획득용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에서 얼굴 색상의 통계학적 특성과 변형적 형판(template)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초기에 설정된 주요 관찰자(dominant face)의 얼굴영역을 추적하게 된다. 실험 결과 복잡한 배경 하에서도 얼굴 영역의 위치를 성공적으로 검출 및 추적하여 관찰자 시점에 해당하는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었다.

Vowel Fundamental Frequency in Manner Differentiation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s

  • Jang, Tae-Yeoub
    •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217-232
    • /
    • 2000
  •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role of post-consonantal fundamental frequency (F0) as a cue for automatic distinction of types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s. Rather than examining data obtained by restricting contexts to a minimum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irrelevant factors, a relatively natural speaker independent speech corpus is analysed. Automatic and statistical approaches are adopted to annotate data, to minimise speaker variability, and to evaluate the results. In spite of possible loss of information during those automatic analyses, statistics obtained suggest that vowel F0 is a useful cue for distinguishing manners of articulation of Korean non-continuant obstruents having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especially of lax and aspirated stops and affricates.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s, automatic classification is attempted over the relevant consonants in a specific context where the micro-prosodic effects appear to be maximised. The results confirm the usefulness of this effect in application for Korean phone recognition.

  • PDF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단서 (Perceptual Cues for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 박순복;이봉원;신지영;김기호
    • 음성과학
    • /
    • 제4권1호
    • /
    • pp.47-58
    • /
    • 1998
  • This paper tests whether frication du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ceiving fricatives and affricates. In other words, whether the frication duration is an acoustic cue for distinguishing fricatives from affricates. For this purpose two types of experiments are carried out. In the first experiment two sets of stimuli are created by decreasing the frication duration of fricatives by 10ms, and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steps of stimuli are created by increasing the frication duration of affricates by 10 m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frication duration is the primary acoustic cue in perceiving fricative/affricate distinction in Korean. In addition, the amplitude rise time and burst information appear to play secondary roles in perceiving the distinction by a series of perception tests.

  • PDF

걸음걸이 인식을 위한 지배 요소 분석 (Analysis on Dominant Factor for Gait Recognition)

  • 박한훈;박종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1-32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ystem that analyzes and recognizes a gait based on shape context on silhouette images. The main functions of the system consist of three steps: First, the system extracts the silhouette images from galt image sequence by performing a simple pre-processing and acquires the AGM(Averaged Gait Map) by averaging them. Next. it computes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AGMs. Finally, it classifies the AGMs based on the cross-correlation using nearest neighborhoo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system uses two cues to classify a gait: One corresponds to biometric shape cue such as body height width. and body-part proportions. The other corresponds to gait cue such as stride length and amount of arm swing. Perceptionally, the biometric cues are sailent on the double support (both legs spread and touching the ground) while the gait cues on the midstance.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s, it is proved that the property of a gait is mainly influenced by gait cues than biometric c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