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elastic behavior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27초

보-기둥 접합부 비탄성 전단거동을 고려한 5층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의 비탄성 시간이력해석 (Inelastic Time History Analysis of a 5-Story RC OMRF Considering Inelastic Shear Behavior of Beam-Column Joint)

  • 강석봉;김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을 통해 보-기둥 접합부 비탄성 전단거동이 구조물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반조건 $S_B$ 내진설계범주 C에 대해서 5층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를 KBC2009에 맞게 구조설계 하였다. 보 및 기둥 부재의 휨모멘트-곡률 관계는 fiber model로 확인하였으며 보-기둥 접합부 모멘트-회전각 관계는 simple and unified joint shear behavior model과 보-기둥 접합부 모멘트 평형관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력거동은 IDARC 프로그램의 three-parameter model을 활용하여 나타내었다. 2400년 재현주기 수준의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한 비탄성 시간이력해석 결과 비탄성 보-기둥 접합부를 고려하는 경우 최대밑면전단력은 감소하나 최대지붕층변위, 최대층간변위는 차이가 없었으며 발생한 최대층간변위도 KBC2009의 허용층간변위를 만족하여 구조설계 과정에서 보-기둥 접합부의 비탄성 전단거동을 고려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Reduced Beam Section을 가진 철골모멘트 골조의 효율적인 비탄성 해석 (An Efficient Inelastic Analysis of a Moment Frame Steel Structure with Reduced Beam Section)

  • 조소훈;박찬헌;이동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3-510
    • /
    • 2004
  • One of the methods improving the seismic behavior of a structure is the frame with reduced beam section (RBS) which cuts a segment of flanges of the beam near the beam-to-column connection so that the section with reduced flanges has smaller flexural strength than the beam end.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RBS frame because RBS portion has circular-cut type flange. And inelastic response of the steel frame with the RBS is very sensitive to the RBS model. In this paper, the analytical models of RBS por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the inelastic analysis for RBS analytical models are compared and then the analytical model for RBS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inelastic analysis. Inelastic behavior of the RBS frame and its dynamic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for selected analytical model of RBS.

  • PDF

근거리지진을 받는 골조 구조물의 비탄성응답 특성 분석 (Inelastic Response Characteristic Analysis of Frame Structures Subjected to Near Fault Ground Motion)

  • 한성호;신재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A호
    • /
    • pp.273-28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지진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고찰한 후, 탄성응답스펙트럼이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물의 비탄성거동에 따른 응답을 연성도 및 항복강도계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평가하기 위해 비탄성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였다. 근거리지진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주기의 대상 구조물을 선정하여 탄성 및 비탄성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입력지진동에 대한 응답 분포 양상을 검토하였다. 또한 구조물의 비탄성거동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성힌지 발생여부를 검토하여 구조물의 응답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적벽의 전단강도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골조의 비탄성 거동 (Inelas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with Shear Strength of Masonry Wall)

  • 윤태호;강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16-4222
    • /
    • 2011
  • 본 연구는 조적 끼움벽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 학교건물의 비탄성 거동과 조적 끼움벽을 고려한 기존 학교 건물의 거동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했을 때 하중-변위 곡선과 소성힌지 분포상태에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적 끼움벽을 고려한 비선형 정적해석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골조내부가 전부 조적벽으로 채워진 경우 조적벽체의 영향에 의하여 초기 강성과 강도가 증가하고 항복 전까지는 근사한 거동을 보여주며 항복이후에는 변형이 커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며, 골조높이의 2/3 높이가 조적벽으로 채워진 경우 초기 강성과 항복강도가 단순골조에 비하여 약간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조적벽체의 균열이 발생한 이후에는 급격히 강도가 저하되고 있다. 골조높이의 1/3 높이가 조적벽으로 채워진 경우 초기 강성과 항복강도가 단순골조와 비슷하며 항복점은 오히려 단순 골조의 항복점보다 저하되나, 최대강도는 단순 골조와 유사하다. Pushover 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곡선과 실제 실험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곡선을 비교해 보면 항복 전까지는 근사한 거동을 보여주며 항복이후에는 변형이 커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나 실제 구조물에서는 변형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해석모델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비탄성 거동에 미치는 크기효과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Size Effect Influencing Inelas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Subjected to Cyclic Lead)

  • 김태훈;신현목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1
    • /
    • pp.131-1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ze effect on inelastic behavior of reinf bridge piers subjected to cyclic load. A computer program, named RCAHEST(Reinforced Co Analysis in Higher Evaluation System Technologr), for th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 was used. Material nonlinearity is taken into account by comprising tensile, compressiv models of cracked concrete and a model of reinforcing steel The smeared crack app incorporated. In boundary plane at which each member with different thickness is conne discontinuous deformation due to the abrupt change in their stiffness can be taken into introducing interface element. The effect of number of load reversals with the same d amplitude has been also taken into account to model the reinforcing steel. To determine th on bridge pier inelastic behavior, a 1/4-scale replicate model was also loaded for compar full-scale bridge pier behavior.

  • PDF

변동 축하중을 받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비탄성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Inelastic Behavior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under Varying Axial Load)

  • 김태훈;신현목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5-44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변동 축하중을 받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비탄성 거동을 파악하는데 있다. 변동 축하중은 연성도, 강도, 강성, 에너지 소산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재료적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균열콘크리트에 대한 인장, 압축, 전단모델과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모델을 조합하여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변동 축하중을 받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비탄성 거동의 파악을 위해 제안한 해석기법을 신뢰성 있는 연구자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라체팅 거동에 대한 점소성 구성방정식 (Viscoplastic Constitutive Equations for Ratchetting Behavior)

  • 호광수
    • 소성∙가공
    • /
    • 제14권5호
    • /
    • pp.466-472
    • /
    • 2005
  • Inelastic deformation behavior of metals and alloys is considered rate dependent. Uniaxial ratcheting experiments performed by Ruggles and Krempl, and Hassan and Kyriakides exhibited that higher mean stress for a fixed stress amplitude resulted in higher ratchet strain within a rate independent framework and higher stress rate resulted in lower ratchet strain, respectively. These phenomena are qualitatively investigated by numerical experiments through unified viscoplasticity theory. The theory does not separate rate-independent plasticity and rate-dependent creep, and thus uses only one inelastic strain to describe inelastic deformation processes with the concept of the yield surface. The growth law for the kinematic stress, which is a tensor valued state variable of the constitutive equations, is modified to predict the linear evolution of long-term ratchet strain.

비탄성 설계스펙트럼에 대한 이력거동 특성의 영향 (Effect of Hysteretic Characteristics on Inelastic Seismic Design Spectra)

  • 오영훈;한상환;이리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7-214
    • /
    • 1997
  • Current seismic design cod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signed structures would be behaved inelastically during a severe earthquake ground motion. For this reason, seismic design forces calculated by seismic codes are much lower than the forces generated by design earthquakes which makes structures responding elastically. Present procedures for calculating seismic design forces are based on the use of elastic spectra reduced by a strength reduction factors known as "response modificaion factor". The effect of hysteretic behavior, as well as maximum ductility ratio and period on the inelastic strength demand is investigated. Special emphasis is given to the effects of the hysteretic characteristics such as strength degradation or pinching. Results indicate that inelastic strength demands are strongly dependent on level of inelastic deformation, period and hysteretic behavior.

  • PDF

철근 콘크리트 특수 모멘트 골조 건물의 비탄성 동적 요구값 (Inelastic Dynamic Demands of a RC Special Moment Frame Building)

  • 김태완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1-19
    • /
    • 2005
  • 건축 구조물의 내진 설계는 탄성 정적 방법에 기초하고 있으나, 강진시 구조물의 실제 거동은 비탄성 동적이기 때문에 설계 규준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탄성 동적 해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특수 모멘트 저항 골조 건물을 선택하여 IBC 2003에 따라 설계한 후, 선택된 부재들의 최대 소성 회전, 소산 에너지를 구하여, 건물의 비탄성 거동이 규준에서 의도한 거동을 보이는 지를 검토함과 동시에 층간변위률 요구값을 구하여 설계 한도를 만족하는 지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비횡력 저항 시스템인 내부 모멘트 저항 골조의 해석시 포함 여부의 영향도 함께 조사하였다. 해석 결과 IBC 2003에 의해 설계된 건물은 규준이 의도한 비탄성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층간변위률 또한 설계한도를 만족하였다. 그리고, 내부 모멘트 저항 골조는 지진 해석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해석 모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을 알수 있었다.

횡방향 하중을 받는 I형강 단순보의 비탄성 좌굴거동 (Inelastic Buckling Behavior of Simply Supported I-Beam under Transverse Loading)

  • 이동식;오순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통권68호
    • /
    • pp.155-167
    • /
    • 2004
  • 각각 집중하중과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잔류응력을 단순형과 다항식형으로 하여 line-type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잔류응력의 형태는 플랜지에서는 4차 곡선으로 웨브에서는 2차 곡선으로 가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4종류의 I형강에 대하여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에 대하여 해석한 후 결과를 강구조편람의 내용과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강구조 편람에 의한 설계는 주보에 보조보가 있는 경우나 없는 경우 모두 전반적으로 과설계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