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Injured Worker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반도체 직업병 10년 투쟁의 법·제도적 성과와 과제 (Legal and Institutional Outcomes from the 10-year Struggle against Occupational Diseases of Semiconductor workers)

  • 임자운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62
    • /
    • 2018
  • 시민단체 '반올림'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반도체 직업병 투쟁은 법 제도적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다. 먼저 직업병 인정 투쟁에서 총 24명의 재해노동자가 10개 질환으로 법원과 근로복지공단의 직업병 인정을 받았다. 특히 각 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들이 대상 사업장과 질병을 확장했을 뿐 아니라 인정 논리면에서도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그 정점에는 2017년 8월에 나온 대법원 판결이 있다. 직업병 예방 대책으로 가장 중요시된 '노동자 알권리'와 관련해서도 의미 있는 법안과 판결, 정부 지침이 나왔다. 안전보건자료 공개, 영업비밀 사전 심사제 등을 도입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고, 최근 법원은 반도체 공장에 관한 정부의 안전보건 진단 결과를 공개하라고 판결했다. 고용노동부도 최근 안전보건자료를 적극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내부 지침을 마련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판결과 법안, 지침 등이 나오게 된 구체적인 경위와 각각의 내용들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계속될 '전자산업 노동건강권' 운동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선원재해보상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독일의 법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eafarers'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German Legislation -)

  • 박준모;박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67-576
    • /
    • 2022
  • 선원은 해상이라는 노동환경의 공간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해상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이를 고려해 재해선원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선원법은 육상근로자와 비교했을 경우 재해선원에 대한 보상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사회보험 선진국인 독일의 해양노동법, 산재보험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원재해 발생 시의 보상 주체에 대해서 독일은 공적 성격의 기관에서 관리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선박소유자가 전적으로 보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번째로 재해보상의 내용에 대해서 독일은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해 연속적인 치료와 요양을 제공할 뿐 아니라 선박 업무 복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박소유자가 재해보상의 책임을 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시보상제도를 두고 있어 재해선원에게 불리한 상황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선원재해의 원인을 판단하는 주체는 독일의 경우 공적 성격의 산재보험조합이 업무 기인성에 대해 판단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선박소유자나 보험회사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재해선원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위해서 선원재해보상을 주관하는 공공기관을 설립하여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재요양, 장해연금, 재활급여 등을 보상받을 수 있도록 선원법 정비 또는 관련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의원방문 근로자들의 업무상 사고.부상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ustrial Safety Accidents Treated at A Primary Care Clinic)

  • 박재홍;김정원;김종은;조영하;문덕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9
    • /
    • 2008
  • This study was surveyed to assess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occurred in work-places and prepare the fundamental data and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The authors reviewed and analysed the charts of accident cases treated at a primary care clinic in A city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6. The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A Standards Institute an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method. We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cases of accidents were 455 for 8 years. 2. Accidents were mostly common in the workers who are in thirties and forties age(84.4%). 3. As season variation, spring and summer were common than other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season, month and weekday. 4. The most frequent injured part of the body were hand and finger, which was 36.0% among total cases. 5. According to the accidents type, cases of caught in, under or betwee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s 53.9% of the total cases. 6. The most common source of injuries was power machine(50.5%). 7. According to the unsafe acts, cases of carelessness and unsafe informatio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s 71.2% of the total cases. 8. Admission rate(5.5%) and official report rate(2.2%) were very low rate. As above results, the authors recommend to prepare the systemic control programs on environmental and human factors of safety accidents such as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working facilities, working methods and safety education, and control of working time for working day.

지게차 재해사례 분석을 통한 재해감소방안 (Disaster Reduction Plan through Forklift Accident Case Analysis)

  • 박영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73-183
    • /
    • 2023
  • 연구목적: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재해 원인의 구체적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사고유형별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재해방지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1~2022년까지 지게차에서 발생한 중대 산업재해를 포함한 산업재해 분석을 위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재해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2년간 사망 등 중대 재해자를 포함한 총재해자는 2,559명으로 2021년에 1,396명이었고, 2022년은 1,163명으로 파악하였다. 연간 재해자가 1,000명 이상 발생하는 중대한 산업재해 발생 장비의 규모별, 발생형태별 산업재해에 대해 재해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결론: 지게차 재정지원사업 대상 근로자 수를 100인 미만으로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6조 제7항 탑승 제한에 관한 단서 조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전·후방 카메라를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주행연동 안전띠를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라인 빔을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지게차 특별안전보건 교육 대상을 지게차 1대 이상 보유하고 있는 사업장으로 확대해야 하며 교육시간을 매년 16시간으로 재지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항만하역관할의 원인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하여 (On the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the Accident of Cargo Handling in Port)

  • 박용욱;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7-68
    • /
    • 1993
  • The economy of Korea has grown up significantly in its scale. It has, therefore, become imperative to develop countermeasures to prevent work related injuries and occupational illnesses resultining from haza-rdous working conditions and handling harmful substances. A lot of cargo handling accident in port have occur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oor working environment, diversity of working place and method,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cargo and handling of heavy, long, harmful and dangerous cargo, etc. According to '91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bour, the number of the stevedores injured by cargo handling accident in port were 1, 432 persons (the death accident : 22 per-sons), the amount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 port was 6.7 billion won (the amount of economic loss : 33.6 billion won), and the injury occurance rate of the stevedoring industr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industry.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the actual status of the stevedoring industry and to extract the main cau-ses of the accidents related to cargo handling in port through factor analysis using the data of the accide-nts in the whole habour from 1990 to 1992, and to suggest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such accident. The main causes of the accident and countermeasures are found to be as follow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 Factor1, factor2, and factor3 related to a defect of human being and management, a defect of state and environment, and an insufficiency of education and law are extracted.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to prevent these accidents are 1) to consolidate the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in the working spot, 2) to secure a safe condition in working spot before dock work, 3) to strengthen a dock worker's safety educa-tion. The long-term countermeasures are 1) to promote a decasualisation of dock workers, 2) to modernize the cargo working methods through constructing exclusive pier and introducing exclusive cargo handling equipment, 3) to establish a exclusive dock accident prevention organization and the dock workers law. Factor 4, factor5, factor6, and factor7 related to an unfitness, a deficiency of technical knowledge, a nonfu-lfilment of safety measures, and a bad arrangement are extracted.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these accidents are 1) to perform a complete safety inspection of cargo handling equipments and tools and to carry out the dock work according to a working plan, 2) to publish and supply technical safety books, safety instruction book, safety check list, etc., 3) to strengthen the safety patrol at the working spot in habour and to activate a safety fund, 4) to maintain always a clean workshop with the safety consciousness in which the good arragement of the working spot is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safety.

  • PDF

임금근로자의 산업재해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The Gender Sensitive Analysi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of Employees)

  • 이경용;김영선;김기식;박종식;서동욱;김혜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8-165
    • /
    • 2014
  •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conventional statistics was produced without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because that recently female workers was increased through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from manufacturing dominated to service dominated structur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collected by workmen's compensation insurance system that have no information about gender composition of populati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was used to calculated the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The distribution of estimated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industry, occupation and the type of accident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but those by the size of enterprise, age of the injured, the duration of the first recuperation, and job tenure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This study has shown that gender sensitive approach may be applied to polic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ecause that gender neutral perspective may not discover the fact of gender specific problems.

소방공무원의 비화재 밀폐공간 구조·구급 활동 중 질식 및 중독재해 사례 분석 (Fire fighters' Asphyxiation Incidents during Confined Space Rescue in Korea)

  • 이주희;강태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0-60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vent asphyxiation of firefighters during confined space rescue. The specific purpose was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s, and suggest measures to ensure safety of confined space rescues.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National Fallen Firefighters Memorial, press releases, and other sources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sphyxiation incidents among firefighters from 1945 to 2019. In addition, an inciden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each case, and the processes, causes, and control measures of the incidents were described as a narrative data entry. Results: Over the past 73 years, eight incidents involving firefighter in Korea have occurred. In these incidents, five firefighters were killed, and eight were injured. The confined spaces incidents occurred were water supply tanks, wastewater treatment tanks, pickling pits, septic tanks, and more. The causes were three cases of hydrogen sulfide poisoning, one of oxygen deficiency, one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and three unclassifiable asphyxiations. The people in need were all workers in various industries. Conclusions: The number of firefighters' deaths and injuries during rescues in confined spaces was severe and the risks have not been completely eliminated.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precise incident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control measures should be initiatedin order to prevent a recurrence of the same type of disaster and reflected in the SOP. In particular, due to the high risk of occurrence at workplaces, cooperation between fire and rescue authority and releva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SHA should be strengthened.

대기업섬유업체(大企業纖維業體)에 있어서의 산업재해감소추이(産業災害減少推移) (A Decreasing Trend of Industrial Injuries at a Large Scale Textile Company)

  • 홍순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65-73
    • /
    • 1984
  • 산업재해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일익이 될까하여 근로자 2,307명을 고용하고 있는 한 대기업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1981년 1월 1일부터 1982년 12월 31일까지 만 2년간에 걸쳐 발생된 재해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담안전부서를 설치한 결과 도수율은 81년도 9.70, 82년도 4.15였고 건수율은 근로자 1,000명당 81년도 27.11, 82년도 12.96이었다. 강도율은 81년도 0.33, 82년도 0.01이었고 평균손실 일수는 81년도 34.64, 82년도 3.34로서 전년에 비하여 매우 감소되었다. 산업재해 발생율은 연평균 2.3%로서 남자 2.7%, 여자 2.0%였다. 근속기간별 재해발생빈도는 근속 1년미만군이 3.6%로 가장 높았고 근속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월별 산업재해건수율은 6월이 근로자 1,000명당 3.6으로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 재해건수율은 여름이 8.2로서 가장 높았다. 요일별 재해건수율은 각 요일간에 별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일요일이 1.8로 제일 낮았다. 산업재해 건수율을 시간별로 관찰해 보면 오전 $10{\sim}12$시가 14.7로 가장 높았으며 반별로는 오전반이 34.4로 가장 높았다. 상해부위는 손가락이 42.3%로 제일 높았고, 상지부 65.4%, 하지부 14.4%, 기타부위가 20.2%였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상지 46.8%, 기타 53.2%로 상지와 기타부위가 비슷한 상해율을 보였으나 여자는 상지 80.7%, 기타 19.3%로서 주로 상지에 상해를 입고 있었다. 상해종류는 개방창이 46.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좌상 15.4%, 표재성손상 6.7%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개방창 40.4%, 좌상 17.0%, 골절 10.6%, 화상 8.5%, 표재성손상 6.5% 순위였고 여자는 개방창 50.8%, 좌상 14.0%, 피부박리 8.8%, 표재성손상과 자상이 각각 7.0%순으로서 남여공히 개방창과 좌상이 높게 나타났다. 가해요인별 산업재해율은 기계에 의한 것이 47.1%로 제일 높았고 그 다음이 수공구 16.3%, 차량 및 운반기 9.6%, 유독 및 고열물 7.7%. 낙하물 6.7% 순이었다. 산업재해 발생원인은 환경요인이 13.5%, 인적요인 86.5%를 나타내었다. 인적요인중 심리적요인이 60.6%로 가장 많았다. 연도별로 산업재해 발생율을 보면 수공구, 차량 및 운반기, 전기 낙하물에 의한 것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기계, 유독 및 고열물에 의한 것은 증가 하였고 추락과 전도는 81년도엔 발생되지 않았으나 82년도에 새로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것은 대상업체가 안전사고 재발방지에 주력한 탓으로 동질 재해 방지에는 어느정도 성공할 수 있었으나 기계안전공학에 대한 지식결여와 작업현장에 존재하는 모든 재해요인을 철저히 파악치 못했기 때문에 기계, 추락, 전도에 의한 안전사고는 예방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이 항공기내에서 사상(死傷)을 당한 경우 법률관계 - 국내외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 (Legal Issue in Case of Death or Injury of an International Crew While on Board)

  • 김선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68
    • /
    • 2020
  • 여객이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제17조상 사고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사상을 당하였을 때 항공운송인은 위 협약을 근거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같은 사고로 인하여 사상을 당한 경우 몬트리올협약을 배타적으로 적용받는 여객과는 달리 항공사와 체결한 근로 계약상 준거법인 노동법에 의하여 보상받게 된다. 승무원이 근로제공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은 근로계약을 근거로 한 것이지 항공여객운송계약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사고로 인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사상을 당한 경우, 사용자인 항공사에 대하여 근로계약에 기한 채무불이행 책임을 묻는 경우에는 노동법이, 근로자 또는 유족이 사용자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민법이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항공사에 근무하는 중국승무원이 대한민국에서 사고를 당하여 사망한 경우 유족이 중국 항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건에서 불법행위지인 대한민국에서 국제재판관할이 있는지 여부, 이때의 준거법은 법정지법인 대한민국법이 되는지 근로계약의 준거법인 중국법이 적용되는지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지방법원 1995.5.18. 선고 94가단14412판결은 비행근무 중 상해를 입은 승무원이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에 만족하지 않고, 사고에 관하여 책임이 있는 사용자나 제3자를 상대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근 중 기존의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사건에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망인의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하여 망인의 부모가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소송에서 1심(서울행정법원 2017.8.31. 선고 2016구합 81642 판결)에서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었지만, 항소심(서울고등법원 2018.7.19. 선고 2017누74186 판결)에서 패소하여 고인의 질병 및 업무량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항소심의 판결을 비판하였다. 승무원의 근무 형태는 타 직종과는 다르게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다른 근무지로 이동하거나 비행근무 종료 후 모기지 또는 체류지로 돌아오기 위하여 비행임무는 수행하지 않으나 비행근무시간의 50%만 인정받는 형태로 항공기에 탑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여객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는 없지만 비행임무를 하지 않는 승무원이 사고로 사상을 당한 경우 근로계약에 기인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것인지 국제항공운송에서 사고발생시 여객에게 적용되는 몬트리올협약이 배타적으로 적용될 지에 관한 논의와 함께 그와 관련된 판례인 In re Mexico City Aircrash of October 31, 1979, 708 F.2d 400 (9th Cir. 1983), Demanes v. United Airlines, 348 F.Supp. 13 (C.D.Cal. 1972), Sulewski v. Federal Express Corp., 749 F.Supp. 506 (S.D.N.Y. 1990)을 검토해 보고 유럽사법재판소(CJEU)에서 Wucher Helicopter GmbH and Euro-Aviation Versicherungs AG v. Fridolin Santer를 통하여 정의한 '여객'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 보도록 한다.

일부(一部) 섬유업체(纖維業體) 근로자(勤勞者)들의 산업재해(産業災害)에 관(關)한 조사(調査)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Industrial Injuries of Textile Workers in Daegu Area)

  • 강복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4권1호
    • /
    • pp.81-88
    • /
    • 1981
  • 1980년(年) 8월(月)부터 1981년(年) 7월(月)까지 만(滿) 1년간(年間) 대구지방(大邱地方)의 15개(個) 섬유업체(纖維業體)의 산업재해(産業災害)의 전향성(前向性) 조사성적(調査成績)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년간(年間) 재해(災害) 발생률(發生率)은 3.3%이며, 남자(男子) 6.7%, 여자(女子) 2%로써 남자(男子)에서 다발(多發)하였고 업체규모(業體規模)가 클수록 그율(率)은 낮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상해자(傷害者)들의 연령별(年齡別) 분포(分布)는 19재(才)미만군이 49.3%로 제일 높았으나, 연령별(年齡別) 특수(特殊) 발생률(發生率)은 30재(才) 이상군(以上群)이 4.7%이며, 19세미만군은 4.3%이였다. 3. 근속년수별(勤續年數別) 발생빈도(發生頻度)는 근무경력 1년이하(年以下)인 자(者)가 57.1%로 근속년수가 짧을수록 재해발생율이 높았다. 4. 작업개시후(作業開始後) 수상시간(受傷時間) 관찰(觀察)에서 작업개시후(作業開始後) 3시간이 18.1%로서 가장 높았다. 5. 요일별(曜日別) 재해(災害) 발생빈도(發生頻度)는 월요일(月曜日)이 20.3%로 가장 높았으며 목요일(木曜日)까지 점차 감소(減少)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계절별(季節別) 발생빈도(發生頻度)는 동계(冬季)가 27.7%로 제일 높았고 월별(月別)은 1월(月)과 8월(月)이 각각(各各) 14% 및 11.8%로 높게 나타났다. 7. 재해원인별(災害原因別) 발생빈도(發生頻度)는 기계(機械)에 의(依)한 것이 39.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충돌(衝突) 17.8%, 추락(墜落) 16.3%, 낙하물(落下物) 14.3% 및 수공구(手工具)의 순위(順位)였다. 8. 상해부위(傷害部位)는 상지부(上肢部)가 66.9%를 차지하였고, 수지부(手肢部)가 전체(全體)의 43.9%로 제일 빈도(頻度)가 많았다. 9. 상해종류(傷害種類)는 개방창(開放創) 35.7%로 제일 높았고, 다음이 표재성손상(表在性損傷) 좌상(挫傷) 35.1%, 염좌(捻挫) 탈구(脫臼) 골절(骨折) 15.7%의 순위(順位)였다. 10. 치료기간별(治療期間別) 분포(分布)는 $1{\sim}2$주(週)가 35.2%로 제일 높았고, 70.1%는 1개월이내(個月以內)에 치유(治癒)되었으며, 업체규모(業體規模)가 클수록 치료기간(治療期間)이 연장(延長)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