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Facilities Security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시스템 취약점 개선의 필요성에 따른 효율적인 점검 방법을 통한 종합 보안 취약성 분석 시스템 설계 (Design of Comprehensive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through Efficient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Necessity of Upgrading System Vulnerability)

  • 민소연;정찬석;이광형;조은숙;윤태복;유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17
  • IT 환경 발전되고 융합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서 다양한 보안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로부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DDoS 공격, 멀웨어, 웜, APT 공격 등의 위협들은 기업들에게 매우 심각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조치 및 관리가 되어야 한다. 이에 정부는 '정보통신기반보호법'에 따라 국가안보 및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중요 시스템에 대해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침해로부터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취약점 분석 평가, 보호대책 수립 및 보호조치 이행 등의 지원과 기술가이드 배포 등의 관리감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방법 가이드'를 베이스로 보안컨설팅이 진행되고 있다. 적용하고 있는 항목에서 불필요한 점검항목이 존재하고 최근 이슈가 되는 APT공격, 악성코드, 위험도가 높은 시스템에 대해 관리부분이 취약하다. 실제 보안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점검은 보안관리자가 따로 기획해서 전문업체에게 발주를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현재의 시스템 취약점 점검 방법으로는 해킹 및 취약점을 통한 공격에 대비하기 어려움이 존재하여 기존의 점검방법과 항목으로는 대응하기가 힘들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취약점 점검의 고도화 필요성을 위해 효율적인 진단 데이터 추출 방법, 최근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한 점검 항목을 최신 침입기법 대응에 관하여 기술적 점검 사례와 보안위협 및 요구사항에 대해서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외의 보안 취약점 관리체계 및 취약점 목록을 조사 후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보안취약점 점검 방법을 제안하며 향후, 제안방법을 강화하여 국외의 취약점 진단 항목을 국내 취약점 항목에 연관되도록 연구하여 개선하고자 한다.

RFID를 활용한 항만출입체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Port Entrance System using RFID)

  • 최형림;김현수;홍순구;박용성;김희윤;신중조;최성필;이병하;최기남;하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709-719
    • /
    • 2010
  • 본 논문은 항만의 보안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항만출입대상 중 인원과 일반차량에 대한 보안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기구 등에서 시행하는 물류보안제도 중 항만과 관련된 동향을 파악하여 그동안 항만보안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인원과 일반차량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존 문헌과 설문 및 현장방문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지적하여 RFID 기술의 적용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업무 프로세스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항만출입체계의 개선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지만 연구되지 못했던 인원과 일반차량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정리함으로써 향후 진행되는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RFID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정리함으로써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데이터 중심의 AI기반 환경인지 생산기술 개발 방향 (Development of AI-based Cognitive Production Technology for Digital Datadriven Agriculture, Livestock Farming, and Fisheries)

  • 김세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1호
    • /
    • pp.54-63
    • /
    • 2021
  • Since the recent COVID-19 pandemic, countries have been strengthening trade protection for their security, and the importance of securing strategic materials, such as food, is drawing attention. In addition to the cultural aspects, the global preference for food produced in Korea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Korean Wave. Thus, the Korean food industry can be developed into a high-value-added export food industry. Currently, Korea has a low self-sufficiency rate for foodstuffs apart from rice. Korea also suffers from problems arising from population decline, aging, rapid climate change, and various animal and plant disea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overcome the production structures highly dependent on the outside world of food and foster them into export-type system industries. The global agricultural industry-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being modified via data accumulation, e.g., environmental data,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formation in climate and production facilities, and by actively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long-term research and investment should precede the field of living organism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poor production and labor environment investment efficiency in the food industry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cost, equipment postmanagement, development tailored to the eye level of field workers, and service models suitable for production facilities of various sizes. This paper discusses the flo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ologies that form the core issues of the site center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ies. It also explain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production technologies centered on sustainable intelligence platforms that link climate change responses, optimization of energy costs, and mass production for unmann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using the unstructured data obtained based on detection and growth measurement data.

북한의 핵전자기파(NEMP)탄 개발에 대한 전망 (Prospects about Nuclear Electro Magnetic Pulse developed by North Korea)

  • 이대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9-164
    • /
    • 2017
  •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미사일 도발을 실질적인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북한의 핵 미사일에 의한 직접적인 공격도 우려되지만, 북한이 핵전자기파(NEMP)탄을 개발했다는 전자기파(EMP)관련 전문가들과 국내외 정보기관들의 분석과 평가가 있기 때문이다. 전자기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북한의 핵전자기파탄을 우려하고 있다. 우선, 현대사회의 산업 군사 의료 생활시설 등은 전기 전자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어, 북한의 핵전자기파탄이 고도에서 폭발한다면 모든 전기 전자기기는 무력화된다. 다음으로, 공격자의 입장에서 핵전자기파탄은 상대국의 전기 전자기기 시설만을 파괴하고, 인명을 살상하지 않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비난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핵전자기파탄은 목표물을 정확하게 타격할 필요가 없고, 저급한 핵무기의 수준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살상무기(WMD)보다 더 위협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북한의 핵전자기파탄 개발에 대한 전망을 하고자 한다.

Estimating the Validity of CPTED Guidelines on Residence Hall in Universit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CPTED Checklists and Space Syntax Analysis

  • Han, Dongho;Park, Changba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117-126
    • /
    • 2015
  • University residence hall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students when selecting their academic institutions. However, in South Korea, while universities maintain technologically up-to-date facilities, when it comes to safety or security, the management is unsatisfactory. As a result, the number of violent crim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in terms of practical validity of CPTED Guidelines even though a myriad of researchers study about CPTED Guidelines. Therefore, this study endeavour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oretical CPTED Guidelines that to what extent it might be adopted for design process. As a methodology, Space Syntax Convex map and Visibility Graph Analysis (VGA) are chosen. As a result, since the types of space which have a high level of Space Syntax Index are analogous with space treated on CPTED Guidelines, it roughly shows that the theoretical CPTED Guidelines could be adopted in practic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Furthermore, it reveal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etail design guide stated in CPTED Guidelines and the result of VGA. That is, through the analysis, it is proved that the validity of CPTED Guidelines is quite enough to be adopted in practical design process.

농업용저수지 재개발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cision System for Determining Priorities of Re-construction Reservoirs)

  • 이광야;김해도;정광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6-31
    • /
    • 2005
  • In national prospective, the needs to develop water resources has been increased due to water shortage from diverse use of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al areas. Exis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which has mainly been limited to the use of farming, are now expanding to diverse water uses such as supporting daily lives, dilu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industrial use for agricultural complex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agricultural region. In this situation, for the sake of effective procurement of water resources and supply method,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udget investment and project proceedings through integrated re-development which links projects to strengthen existing dams, reservoirs and hydraulic facilities. The major scopes of this research includes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system such as selecting potential sites to re-construct reservoirs including generating base maps and thematic maps, data collection regarding water demands and reservoir status; analyzing reservoir data; estimating developable capacity and index calculation; and forecasting inundated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other products such as developing output generation system which can support wide use of data built and analyzed; database generation for better data management; data analysis including selection, extraction, indexation, and calculation of base items through standardization; data security system prohibiting exterior proliferation and malicious manufacturing of data.

  • PD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olutions for Tourism Industry to Overcome the Crisis in a Post-Covid 19 era

  • LEE, Soo-Hee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9호
    • /
    • pp.27-36
    • /
    • 2022
  • Purpose: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affected the tourism industry in a big way. The travel industry suffered intense damage from the pandemic and procedures acquainted to containing its spread because the pandemic outbreak has led to a decline in the number of tourists and a change in their behavior. At this point,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dequate solutions for tourism industry to overcome the crisis in a post-Covid 19 er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urrent author gathered data from each included study to analyze and summarize the evidence when conducting a literature analysis. This stage involves gathering and reviewing intricate texts databases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The current author found total five solutions from numerous literature contents, suggesting how to overcome the crisis in a post-Covid era for tourism industry. Solutions as follows, (1) Drawing beginning illustrations, (2) Introducing Government Backing Programs, (3) Increasing Promotion of Tourism Destinations, (4) Enhancing Safety and Security Measures, and (5) Improving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Conclusion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lthough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leads to reduced demand and intense competition from other sectors, the tourism industry will be well positioned to weather these challenges if practitioners of tourism organizations follow five solutions of this research.

안전신고 제도(안전신문고)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n Adoption of a Safety e-Reporting System)

  • 이준;조상명;박은미;이상화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7-41
    • /
    • 2019
  • 본 연구는 안전 신문고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 9월 ~ 2019년 7월까지 접수된 안전신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해 안전신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도입에 대한 효과, 도로교통사고 기반의 원단위법을 이용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9년 10월까지 49개 기초자치단체의 4대 불법 주정차 주민 신고제 도입 후 약 60% 정도 단속 단가가 감소되었으며, 단속인력에 대한 신고 1건의 가치는 21만 3천원/건으로 도출되었다. 과태료 부과 등을 통한 세수 확보를 건당 편익으로 산정하면 약 6만 2천원/건 정도 추정되었다. 이 둘을 합하면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가치는 총 27만 5천원/건으로 도출되었다. 안전신문고의 신고 유형은 대부분 교통 및 시설로 이를 대표적인 신고가치로 정의하고 연도별 총 편익을 산정한 결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안전신문고로 접수된 신고건수는 1,164,439건, 2019년 4월 이후 7월까지 신고 된 4대 불법 주정차 신고건수는 502,721건으로 지난 5년간 총 편익을 산정하면 약 2,734억여 원이다.

유해·위험물질 취급 화학실험실 관리 기준 정립 및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andards of Chemistry laboratory handling harzadous substances and improvement of system)

  • 조남준;이만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72
    • /
    • 2016
  • There are more than 30,000 chemical substances handled in domestic university laboratories. Among them, hazardous materials are selected and managed as designated substances by the standards of 19 Ministries and 16 Acts. However, domestic safety-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used to manage industrial risk factors based on industrial activities. In case of installing a university chemical laboratory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standards applicable to general workplaces. It is not suitable to use as a laboratory installation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to a chemical laboratory installed at a university such as a problem occurs in applying to a university using a small quantity of dangerous substances in a small amount. In order to establish the laboratory structure and facility standard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laboratory characteristics and apply systematic laboratory safety, the National Security Administration shall apply the special handling standard of chemical experiment to places where handling less than 30 times the designated quantity of chemical substances for chemical experiments. On August 2, 2016, the regulations for the enforcement of the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 Act and the standards for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chemical laboratory were enac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omestic chemical substances laws and regulations to determine the chemical substances that are over-regulated in the relevant laws, and define them as substances against accidents. The management criteria for the substances were analyzed. The R value for the designation of the designated quantity by the concept of the space in the management standard was calculated.

이동약자를 위한 AI 홈케어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 Home Care Solution for the Mobile Vulnerable)

  • 노창배;나원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65-170
    • /
    • 2023
  • 이동약자가 집에서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이동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보호자들 또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 사회적 약자인 가족을 보호시설에 위탁하게 되는 경우 피보호자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보호자의 불안감과 수고를 덜어주고, 보호시설 관계자와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AI 홈케어 솔루션에 대한 설계를 하게 되었다. 비영리재단, 보호시설에 서비스를 무료로 배포하여 사용하는 시설이 많아진다면 보호자의 걱정이 줄어들고, 시설 이용자들을 관리해야 하는 시설 관계자의 부담도 줄어들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약자를 고려하여 이동과 관련한 모든 데이터인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위치, 상태 알람뿐만 아니라 위급한 일이 발생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시설 관계자의 편의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 기능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동약자가 이용하는 셔틀의 위치, 승하차 시간 등 보호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시설 관리자는 봉사의 질, 이동약자는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데 목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