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Education Teacher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2초

예비유아교사의 정보활용능력과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 Service Teacher's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Concern & Perception of Cod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마지순;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4-1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보활용능력과 코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정보활용 능력과 코딩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 및 유아코딩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A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0명이며, 1학년 88명(38.3%), 2학년 84명(36.5%)이며, 3학년 58명(25.2%)이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과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정보활용 능력은 스마트폰 활용 능력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 활용능력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는 결과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협력적 관심, 개인적 관심, 정보적 관심, 대안적 관심, 운영적 관심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고, 무관심은 가장 낮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코딩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코딩수업내용에 대한 인식, 코딩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코딩교육운영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활용 능력에서 정보화 인지수준, 스마트폰 사용수준 및 정보유용성이 개인적관심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컴퓨터사용 수준은 대안적 관심과 정보용이성은 결과적 관심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정보화 인지수준과 대안적 관심, 정보유용성은 정보적 관심,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결과적 관심, 컴퓨터 사용수준과 용이성은 개인적 관심단계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반면 정보활용 능력의 모든 영역들은 운영적 관심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인지수준은 교육 필요성과 가장 높은 관계가 있었으며, 그 다음은 교육내용, 교육운영 및 교육환경과 상관이 있었다. 반면 교육필요성과 용이성은 교육내용만이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플립드 러닝에서 수업시연을 통한 미국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효능감 향상 방안: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ESL 수업시연을 중심으로 (Promoting self-efficacy through microteaching in a flipped classroom in US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SL teaching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English language learners)

  • 이용직;조형숙;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21-230
    • /
    • 2017
  • 초등예비교사들이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가르쳐 그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미국 대학의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을 통해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가르칠 때 어떻게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는지 고찰하였다. 대학의 수업을 플립드 러닝으로 설계하여 수업 전에 내용을 미리 학습한 뒤, 실제 수업시간에는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예비교사들의 ESL 수업시연을 연습하였다. 예비교사의 ESL 수업시연 동영상, 예비교사의 감상문 및 담당교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내용교과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들은 적절하게 준비되고 있다고 느꼈으며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교육자들이 플립드 러닝을 활용하여 수업시연과 같은 실제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를 준비시키는 방안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한국의 상황에 적용하여 국제화 시대에 한국의 예비교사들도 다문화 학생을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양성기관에서 준비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Disposition and Teaching Ethics on the Teacher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78-28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I시에 소재하는 있는 예비유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으로 Cronbach's α를, 각 변인간의 관련성으로 상관관계 분석, 다면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한 교직인성에서는 도덕성과 교육적신념이, 교직윤리의식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윤리 및 가정에 대한 윤리가, 교사역량에서는 교육과정 이해와 유아보호 및 유아 학습지원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직인성, 교직윤리의식, 교사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의 하위요인과 교직윤리의식의 하위요인이 교사역량의 모두에 긍정적인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사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질 높은 유아교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올바르고 긍정적인 교사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컴퓨터 전공 학생들을 위한 라즈베리파이 활용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Education Plan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using Raspberry Pi for Computer Major Students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 김세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65-3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컴퓨터 계열 학과 학생들에게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프로그래밍에 대한 내용을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하여 학교 현장과 산업 현장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받아서, 기존 연구와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하고 주차별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고, 교재를 개발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수가 많지 않은 이유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교사 관찰일지를 정리한 결과도 함께 제시하여 질적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인터뷰 결과로는 수업을 통하여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학습 내용은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교사 관찰일지에서는 정보/컴퓨터 교사는 산업 현장의 최신 경향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래밍에 대한 비중을 높임으로써,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학교 조직에서의 교사 갈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Conflict of Teachers in School)

  • 장봉석;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7-15
    • /
    • 2021
  • 이 연구는 학교 조직에서의 교사 갈등에 대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학교조직 구성원, 교육 수요자, 교육정책에 대한 갈등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독립변인은 개인, 학교, 지역 수준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S시교육청 소속 교사 561명의 응답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 갈등 전체에 대해 개인 수준에서는 경력, 학교 수준에서는 담임 여부와 전입 여부, 지역 수준에서는 근무 지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청과 단위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교사 갈등에 대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of Nursing Teachers)

  • 황민희;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16-32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 효능감의 두 변인간의 관계와 함께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와 수도권의 어린이집 에서 보육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아개념검사와 교사효능감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개념은 인지적 자아, 정의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 전체 점수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전체 및 각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경우는 낮은 집단보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교사 효능감이 더 의미있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수준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자아개념과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 감성리더십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test 및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 원장 감성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원장 감성리더십의 상대적 설명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er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신정애;김성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43
    • /
    • 2019
  •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주제인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첫 단계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요인을 선정하였고, 10년 이상의 현장경력과 유아교육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을 가진 교사와 원장, 교수 22명을 대상으로 9개 영역, 20개 요인의 적합성을 평가받아 18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현장 전문가들이 선정한 요인에 해당하는 83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교육전문가 7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사를 받았고, 그들이 평정한 내용타당도 지수(CVI)에 기초하여 44문항을 추출하였다. 영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로부터 회수된 471부의 설문지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교사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본 도구는 교수능력 16문항, 대인관계 4문항, 소명감 3문항, 3개 영역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관련 요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후속연구 발전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in middle school teacher)

  • 박진희;유평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67-4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중학교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F 검증을 하고,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 수준은 여교사, 평교사, 21년 이상 교사, 사립학교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간에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직헌신도보다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전체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41%). 결론은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소, 교직헌신도의 교육애 요소를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학교상황이 27%, 학교장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상호작용이 28%로 나타났다. 추후 교사들의 능력을 학교에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정책수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