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Disaster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5초

국가재난관리체제 관점의 화학사고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 이재석;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73-78
    • /
    • 2015
  • 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화학사고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화학사고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임시방편적 대응 혹은 화학 사고에 대한 실질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적 시스템 정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제 일련의 화학사고가 단순히 기업이나 공장의 화학물질 사고를 넘어 전(全) 국가 및 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학 사고에 있어 국가재난관리체계 확립방향의 길을 조금이나마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도달하기 위해 현재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 화학 사고에 대한 재난관리 실패의 구조적 원인 및 사고 대응의 문제점 도출을 통해 화학사고 대응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Disaster Preparedness and Self-leadership in University Student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19-2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의 수준을 확인하고, 자기 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의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을 위한 재난예방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의 141명의 대학생으로 부터 자료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의 기간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7일까지 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이 되었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은 3.51점 이었고, 셀프리더십의 수준은 3.53점 이었다.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 간의 상관분석을 살펴보면, 자기 효능감은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난준비도는 자기 효능감과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의 재난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에 대한 고려가 되어져야 한다.

산업체재난 조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최적 재해경감활동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o Establish the Early Counter System on the Industrial Accidents)

  • 이근재;윤명오;이원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9-20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정부 재난안전 거버넌스 -서울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61-67
    • /
    • 2017
  •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 재해 테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 하고 효과적인 재난안전관리체계가 구축 운영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각 재난관리 및 대응에 관련된 중앙부처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개인 등 모두가 상호 명확한 역할분담 하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복구를 위한 통합업무 수행체계가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시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의 증가 가능성과, 테러위협의 확대, 도심의 노후화 및 산업고도화에 의한 대형재난 발생 위험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재난 예방과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재난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관점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부처간 조직체계 및 실행과정, 대응단계의 체계화를 중심으로 재난 대응체계와 재난현장에서의 지휘체계 등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자율항법 무인측량선을 이용하여 산정된 노후저수지의 퇴사량 기준 최적경험식 산정 (Estimation of Optimal Empirical Equations based on Sediments of Ageing Reservoir Estimated Using Autonomous Navigation USV)

  • 원창희;윤현철;김원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20
  • 가뭄은 한번 발생하면 사회·경제·산업 활동 등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가뭄 등의 자연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이다. 현재 우리나라 저수지의 약 75.7%는 준공 후 5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저수지이며, 이로 인한 토사 퇴적 등의 영향으로 제원정보 대비 저수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항법 무인측량선을 활용하여 노후 저수지 10개소에 대해 저수용량을 분석하고, 과거 경험적 공식에 의해 추정된 퇴사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저수지는 제원정보 대비 약 16.2% ~ 55.3%의 저수용량이 감소하였으며, 4개 저수지는 제원정보 대비 약 1.5% ~ 380.2%의 저수용량이 증가하였다. 실제 측량 결과와 경험적 공식에 의한 퇴사량 비교·분석 결과 어린지와 용포 저수지는 유역면적만을 활용한 윤용남 공식(1982), 대곡과 우곡2, 오치 저수지는 유역면적과 유역경계의 총 연장, 유료연장을 매개변수로 활용한 서승덕(1988) 공식이 가장 유사하게 추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저수지 노후화에 따른 퇴적 증감폭과 같이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측량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험성평가 및 산업안전 AI 챗봇기술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Container Terminals and Application of Industrial Safety AI Chatbot Technology)

  • 강휘진;한상준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7-69
    • /
    • 2022
  •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항만 작업 중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무려 2,800명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항만하역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다.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자는 법령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합리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항만안전특별법에서 제시하는 위험성평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위험성평가방법 및 유해위험요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안전사고 위험을 개선할 수 있는 '산업안전 AI 챗봇기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 지식, 재난대처능력간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 김민영;김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89-5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난대처능력에 대한 지식과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실성, 재난대처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으로 한 도시에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3개월 이상의 근무 경험을 가진 총 12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월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에 의해 분석하였다.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자연재해 $3.69{\pm}0.63$, 대량인명사고 $4.07{\pm}0.60$, 감염병 $4.31{\pm}0.58$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은 원내 재난교육 실시여부(r=.29, p=.001), 최근 1년 이내 재난교육 이수여부(r=.33, p<.001)와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r=.23, p=.0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재난에 대한 지식(r=-.27, p=.00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소속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재난대처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그를 이수한 간호사의 경우 재난대처능력이 높아 재난대처에 대한 주기적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 향상을 위해 더 강한 교육적 대처와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표층붕괴 예측을 위한 체적함수비 적용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volumetric water content to predict shallow failure)

  • 석재욱;송효성;강효섭;김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37-746
    • /
    • 2019
  •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대부분 강우에 의해 유발된 표층붕괴 형태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체적함수비를 통한 붕괴 예측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 특성을 통해 붕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실내 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강도 30, 50 mm/hr 조건하에 표층의 포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비탈면 상부, 중부, 하부 10, 20 cm 심도에 체적함수비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체적함수비를 사용한 붕괴 판단은 비탈면 경사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 침투속도에 의한 유효누적강우량이 붕괴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를 활용한 붕괴 판단 시 체적함수비의 설치 위치 및 심도에 의해 결과가 달라지는데 실험데이터에 의하면 비탈면 하부 20 cm에서의 계측 값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체적함수비 분석 방법 및 설치위치 선정 방법은 향후 체적함수비를 활용한 계측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을 위한 인공강우장치의 강우분포특성 (Rainfal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Rainfall System for Steep-Slope Collapse Model Experiment)

  • 정향선;강효섭;석재욱;김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828-835
    • /
    • 2019
  • 인공강우장치는 실내실험 기반의 모형실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구도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에 인공강우장치가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강우분포의 균질성에 대한 논의는 등한시되고 있다. 다양한 강우특성이 반영된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을 위해서는 저강도에서 고강도까지 강우를 모사할 수 있는 강우장치가 필수적이며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강우분포의 균질성은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 붕괴모의실험의 주요설비인 인공강우장치의 최대 강우강도 130mm/hr 내에서 10mm/hr 단위 제어를 목표로 하며, 균등계수 80% 이상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즐타입, 크기, 위치 및 펌프압력에 따른 다양한 조건하에서 강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노즐형태는 원형노즐, 크기는 1.9mm와 1.4mm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적정 펌프압력은 3~6kg/㎠으로 분석되었다. 다양한 강우강도를 재현하기 위해 노즐수는 2, 3, 5개, 펌프압력은 3, 4, 5, 6kg/cm2로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펌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강우강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펌프압력, 노즐형태 및 노즐수를 변수로 하는 강우제어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또한 검증실험을 수행하여 목표 강우강도 대비 오차범위 ±3.1%, 균등계수는 평균 86.8%로 균질한 강우분포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