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Corridor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SMOKE SPREAD IN A CORRIDOR

  • Kim, Myung-Bae;Han, Yong-Shik;Park, Jun-Seok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464-471
    • /
    • 1997
  • Convective smoke spread in a corridor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sing thermocouples and visualization technique with a laser beam sheet. The speed of smoke front under a ceiling is measured by a series of thermocouples. Visualization of the ceiling jet formation and of smoke filling process is carried out to observe the lowering of a smoke layer. From the results, a large-scale convective motion plays dominant roles for smoke spread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corridor from visualized photos along with temperature records. The large-scale convective motion of the smoke is generated from the impingement of the ceiling jet front on the end of the corridor, and thus turning the flows toward the floor. Such a circulating motion of fluid transports some smoke to some region where its momentum is effective. It is therefore shown that the conventional concept of lowering smoke in the two-layer zone model has some restrictions for the corridor because the lowering of smoke layer has been thought to be mass transport due to relatively small scale motions such as the decrease of buoyancy, mass diffusion and momentum exchanges.

  • PDF

도심항공교통(UAM) 운용 실증 노선의 기상 특성 및 시사점: 한강회랑의 시정 및 바람을 중심으로 (Weather Barriers of Urban Air Mobility (UAM) Operations: A Case Study of the Visibility and Wind Shear around Han-River Corridor)

  • 원완식;김연명
    • 대기
    • /
    • 제33권4호
    • /
    • pp.413-422
    • /
    • 2023
  • Urban Air Mobility (UAM) is promising, sustainable and efficient air transportation in a metropolitan area.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announced operation demonstration plans as a step toward commercialization of UAM. However,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otential impact of weather on UAM operation. We collected weather observations from Gimpo International Airport and 5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along UAM corridor of the Han-River to assess weather barriers such as low visibility, wind gust and wind shear. The results show the frequency of low visibility near the corridor fluctuated significantly from year to year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in Seoul. The frequency of high wind speed-shift calculated using 1-minute wind observations was increased not only during the spring season (March, April, and May) but also the beginning of rainy season (Jun). In addition, a chance of high wind shear from 1-minute wind observations varied by the stations, suggesting that the condition is largely affected by topography including a river and high-rise buildings. These basic weather properties suggest that there are substantial weather barriers to UAM operations along the Han-River Corridor, while they cannot properly surveil micro-scale weather conditions in detail such as wind gust and wind shear over the corridor.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otential barriers related to adverse weather need to be evaluated, building high-density weather observations infrastructure prior to UAM demonstration and commercialization.

생태통로 식재수종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 Focusing on Planting Species -)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6
    • /
    • 2005
  • Ecological corridor is the facility to connect two habitats fragmented by roads, dam, housing and industrial area. Critics of faunal corridors have suggested that they are simply an untested application of unproved island biogeography theory. But, everyone agree that ecological corridor is important useful structural components that help animal movement in fragmented landscapes. There are 52 ecological corridors in Korea. We investigated 43 ecological corridors of these and recorded the size of corridor, planting species, management and growth condition. We compared planting species to nearby exiting vegetation species and structure. We found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for many aspects of planting, for example, planting species, structure, animal migration and behavior, surrounding vegetation etc. Expecially, It was ignored management of plants, difference of surrounding vegetation, lacks of diverse planting species and structure. We suggest planting the native species of tall tree, shrub and ground cover, edge planting for transitional space between road and natural habitat, planting for foraging and breeding of target animal, diverse layer vegetation, and open space of center for rapid animal dispersal.

복도·계단 폭 변화를 통한 피난실험에서 피난행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Evacuation Behaviors under the Corridor and Stair Width Variations in Evacuation Experiments)

  • 이정수;권흥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74-2381
    • /
    • 2012
  • 본 연구는 복도와 계단의 폭 변화에 따른 피난밀도 변화가 피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화재에 대한 불안감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육시설재실자(대학생)를 대상으로 복도 및 계단의 폭을 조정하여 밀도변화에 따른 피난실험을 실시하고, 피난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난밀도의 변화가 피난행태 및 화재에 대한 불안감에 미치는 주요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리더십(결단력, 설득력, 통솔력, 자신감), 친화력(책임감, 사교성, 의욕적, 신중한) 그리고 독단적 성격(건방, 자기중심적, 경박, 무분별)으로 구분되는 심리적 요인이 중요하게 대두되며, 출구위치, 소방설비, 피난로 축소 등으로 유형화되는 환경적 요인, 그리고 개인적 요인(연령, 사용기간)이 추출되었다. 둘째, 화재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화재대피방법, 건축물친숙도 및 친화적 성격과 높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소방설비에 친숙도, 성별 및 연령 등의 개인적 요인, 독단적 성격, 리더적 성격 등은 부차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의 병행 강화학습을 통한 실내 자율주행 (Indoor Autonomous Driving through Parallel Reinforcement Learning of Virtual and Real Environments)

  • 정유석;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1-18
    • /
    • 2021
  • 강화 학습을 통한 실내 자율주행을 위해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에서 학습을 병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환경에서만 학습을 진행했을 경우 80시간 정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지만, 실제 환경과 가상 환경을 병행하며 학습을 진행했을 경우 50시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다.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에서 학습을 병행하면서 빠른 학습으로 다양한 실험을 거쳐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내복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 환경을 구성한 후 데스크톱으로 선행학습을 진행하였고 실제 환경에서의 학습은 Jetson Xavier를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와 연결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내복도 환경의 반복되는 텍스처에 따른 정확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도 벽의 아랫선을 강조하는 특징점 검출을 학습하여 복도 벽 객체를 판단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학습을 진행할수록 실험 차량은 실내복도 환경에서 복도 중앙을 기준으로 주행하며 평균 70회의 조향명령을 통해 움직인다.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특성 분석 및 관리 전략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the Busan, South Korea -)

  • 문호경;김동필;권영달;박현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59-668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Landsat-7 위성 열영상 자료와 공간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부산광역시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WRF 기상모의를 통해 주요 바람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 중 열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은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와 사상구 공업지역, 대규모 시설지역에는 부산항 부두로 나타났으며 주요 바람길에는 금정산~백양산~구덕산 계곡부로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업시설과 부산항 일대는 대기 온도 상승 요인으로서 주변 지역의 열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시설의 온도저감 및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건축계획이 요구된다. 바람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만덕동, 사직동 일대 산림에 대한 추가적인 훼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산림과 인접한 지역의 대규모 고층아파트는 산림에서 생성된 차고 신선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금정산과 접해있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신규·재개발에 따른 고층아파트 단지 조성은 지양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및 환경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동휠체어 자동 주행을 위한 복도영상 해석 (The Corridor Scene Analysis for a Motorized Wheelchair's Automatic Locomotion)

  • 문철홍;한영환;홍승홍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1994
  • In this paper. a way to analysis a corridor scene for a vehicle's automatic locomotion is presented In general, it's necessary for a vision system of vehicles to identify its positions in given environments. The suggested algorithm is to decide base lines of a corridor image using the vanishing point finding. Feature points are extracted on the base line using a base line extraction tree. This algorithm is suitable for a motorized wheelchair's self locomotion in a building.

  • PDF

생태통로의 최적지 평가를 위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for the Assessment of Optimum Place of Eco-bridge)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97-7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eserve biodiversity in increasingly fragmented green patches for spatial analysis of planting on the eco-corridors and to optimize the target species, the location, width, cross section of the eco-corridors. It was suggested that eco-corridors should have to planned at early stages of road planning so that the number and locations of eco-corridors in advance. Ecological corridor is the facility to connect two habitats fragmented by road, dam, housing and industrial area. And, everyone agree that ecological corridor is important useful structural component that help animal movement in fragmented landscapes. However, ecological corridors have many problems of the recorded the size of corridor, planting species to nearby exiting vegetation species and structure. The most important facts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 for location of animal migration and behavior using eco-corrid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patial analysis of eco-corridors location, satellite data and GIS were used to analyze for searching optimum location of the eco-corridors.

식재기반을 담는 RDT 거더교의 구조성능 검증 (Structural Performance Verification of RDT Girder Bridge Feasible to Fill with Planting Ground)

  • 하태열;한종욱;양인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19-2228
    • /
    • 2015
  • RDT(Reversed Double T) 거더교는 생태교 맞춤형으로 개발된 PSC 교량 형식이다. 모음 ㅛ형상과 유사한 단면형상이 가장 큰 특징이며 거더 내부 공간에 흙을 담을 수 있어 상부 구조 전체 높이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생태교로써 적용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는 공법이다. 새로 제안된 RDT 거더교의 실적용을 위해서는 공용 중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DT 거더교의 실물모형 실험체를 설계 및 제작하여 정적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와 변형률적합법을 이용한 비선형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거동을 평가하고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RDT 거더교는 사용하중의 2배 이상 균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우수한 휨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 정응호;김대욱;류지원;차재규;손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3-84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적 지형특성에 따라 실제 바람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지형적 요소별로 바람생성 기능을 평가하였다. 바람생성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지형적 요소가 매우 다양하고 상호영향관계에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공간특성에 대한 정확한 기초자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관련자료 취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위성영상자료의 활용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구지역의 공간지형적 특성상 바람생성 기능이 높은 지역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시외곽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시가화된 지역에서는 바람생성기능이 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공간적 불균형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이 시가화된 지역과의 공간적으로 연계되는 부분에서는 바람생성 기능이 매우 약화되고 영향범위가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시가화된 지역으로 유입되는 바람길의 효과가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바람길 생성 평가를 위한 공간자료의 구축수단으로 위성자료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