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space

검색결과 958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공간의 연결성 분석을 통한 고립지역 탐색 (Finding Isolated Zones through Connectivity Relationship Analysis in Indoor Space)

  • 이슬지;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9-240
    • /
    • 2012
  •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IT 기반 신도시 건설의 프로젝트인 u-City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u-City에서 제공해주는 u-service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반으로 모니터링에 치중하여 공간분석에 관한 서비스가 부재하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이 증가로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단순한 모니터링이 아닌 3차원 실내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실내공간에서는 실외공간과 달리 공간 객체간의 연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따라 연결성이 바뀔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분석 결과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성을 변화시키는 긴급 상황의 대표적인 예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연결성을 분석하고, 연결성 변화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 고립지역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3차원 구조뿐만 아니라, 고립지역을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내 수공간으로 인한 온열환경 변화와 휴식의자 배치 방안 (A Study on the Place of Break Chair Thermal Environment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Indoor Water Space)

  • 강유진;송준이;정옥영;김수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9-246
    • /
    • 2013
  • Recently the building is introducing the indoor water space. Thermal environment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how water space in the public facility affects the indoor environment. We had put our experiment to measure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differences in different distances of water sp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even though there's a water space, it makes no big change in temperature by different distance. The temperature was only maintained by a cooler. Second, As there's a water space, the humidity was affected by within 1.5 m of it. Through our experimental result, we have started our study to make a water space effective.

  • PDF

한지(韓紙)가 실내습도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a Effect of Korean Paper (Hanji) on Indoor Humidity Control)

  • 이종원;임정명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599-60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performance of Hanji as an architectural material. Hanji has good things in controlling indoor space comfortably. Particularly, ability of controlling humidity of Hanji affects indoor space comfort and human health. The major focuses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are (1) how much of water vapor passes through Hanji, (2) how much of water vapor is absorbed into Hanji. In the first case, indoor humidity is higher than outdoor humidity. In this case, approximately 38 g of water vapor passes through Hanji 1, genarally utilized in window paper (Changhoji), per square meter in one hour. And approximately 4 g of water vapor is absorbed into Hanji 2, genarally utilized in wallpaper, per square meter. In the second case, outdoor humidity is higher than indoor humidity. In this case, Hanji passes water vapor to inner space at first, but when indoor relative humidity reach approximately 66%, although outdoor humidity is higher than indoor humidity, water vapor doesn't pass through Hanji. If Hanji is utilized in window material and wallpaper, indoor space is maintained comfortably without mechanical devices in humidity control.

실내 위치 측위 효율성 분석을 위한 비콘 신호 특성 연구 (Study on the Beacon Signal Characteristic for Efficiency Analysis of Indoor Positioning)

  • 현미진;김봉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
    • /
    • 2018
  • 최근 들어, 실내 공간에서의 활동 영역이 넓어지면서 실내 공간에서의 사용자 위치 측위, 추적, 공간 패턴 분석, 환경 분석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 활용 서비스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공간에서의 서비스 기술을 위해 BLE 기반의 Beacon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콘을 기반으로 실내 위치 측정에 대한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듈을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근거리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으며, 실내 공간에서 장애물이 없을수록 위치 데이터가 보다 정확하게 추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ityGML ADE를 이용한 실내공간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Spatial Data Model Using CityGML ADE)

  • 강혜영;황정래;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21
    • /
    • 2013
  • 최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 및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공간 기반의 공간정보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물의 대형화 및 복잡화로 인하여 재난 및 재해를 대비한 실내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실내공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복잡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정보의 관리 및 서비스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실외를 중심으로 개발된 3차원 공간모델 및 서비스 등을 실내공간으로 확장 및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실내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을 지원하고 위상정보를 통한 실내공간 위치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 모델은 CityGML 확장 객체모델과 객체간의 위상관계를 표현하는 IndoorGML을 참조하는 위상모델로 구성된다.

사례분석을 통한 임대아파트 실내 커뮤니티공간의 배치 및 이용실태 (A Case Study of Layout Plan and Use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 황연숙;변혜령;이송현;어성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99-1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planning apartment community spaces in order to vitalize rental apartments. Indoor community spaces of 12 rental apartments in Seoul and Kyunggi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yout types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were found out to be mostly the building type planned in the piloties of the apartment, or the singular type placed in a singular building. Depending on the layout type, the spaces were mostly concentrated at the outskirt of the complex or the in-between space of the main building, thus lowering their recognition. Thereby, they were not satisfactory for utilization of the spaces and association of residents. Second, Indoor community space legal establishment standard and square measure did not reflect resident's feature except elderly spaces, and there was problem in activation of space. Third, as for the spatial planning of indoor community space, although each space was categorized by the users' age, the furniture and appliance planning considering users was not satisfactory. The area calculation by the type of space did not reflect the users' characteristics, thus causing problems in using the facilities. Fourth, as for the management and programs of the indoor community space, spaces were managed after categorized by the major user classes such as children, seniors, and adolescents. Depending on eagerness of program managers of each apartment complex, the level of program management vari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most cases, almost no programs were used or merely basic management and programs were being provided.

실내공간 표준안 IndoorGML의 개념 및 활용 (Basic Concep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Candidate Standard IndoorGML and its Applications)

  • 이기준;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10
    • /
    • 2013
  • 실내공간은 공간정보 서비스의 새로운 대상이다. 최근 실내공간 측위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 이동기기의 보편화로 실내공간도 위치기반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여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 정보의 교환 및 공유를 위한 표준화도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공간정보 표준화기구인 OGC에서는 실내공간정보 표준인 IndoorGML 표준화 작업반을 2012년에 조직하고 2013년 9월 표준화를 목적으로 현재 작업 중이다. IndoorGML은 특히 실내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장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위상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현재 표준화되고 있는 IndoorGML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두 번째로 IndoorGML의 모델의 구체적 사항을 살펴보고, 세 번째 간단한 응용 사례를 제시한다.

반응형 가상 URS 서비스를 위한 실내 기하구조 및 환경 센서 모델링 (Modeling of Indoor Geometry and Environment Sensor for Responsive Virtual URS Service)

  • 전경원;기정석;권용무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2-116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URS (Ubiquitous Robotic Space) Modeling and service technique for the robotic security service while bridging between virtual space and physical space. First, this paper introduces a concept of virtual URS and responsive virtual URS. Second, this paper addresses modeling of URS which covers modeling of indoor geometry and environment sensor. Third, this paper describes virtual URS services including interactive virual-physical bridging service.

  • PDF

실내공간에서 계층 구조를 이용한 K-익명화 (K-Anonymity using Hierarchical Structure in Indoor Space)

  • 김준석;이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93-101
    • /
    • 2012
  • 실내공간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 편의를 주는 LBS의 이면에는 개인의 위치 노출과 이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위치 K-익명화 기술은 적어도 K-1명의 다른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ASR (Anonymized Spatial Region)을 생성하여 위치를 은폐하여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연구 분야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유클리디안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실외 공간에서 이루어 졌으며, 구조물에 의해 제약이 있는 실내공간에 적용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의 구조와 위치 표현 방법을 고려하여 위치 은폐를 위한 K-익명화 방법을 제안한다. 위치의 은폐를 위해 실내공간의 계층 구조를 생성하여 이 구조에서 K-1명의 다른 사용자를 포함하도록 노드를 확장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K와 계층구조의 특성에 따른 비용모델도 함께 제시한다.

실내외 공공공간의 디자인 연계성에 관한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분석 (A Study on the Design Connection of Indoor and Outdoor Public Space in the Case Analysis of Multiplex Cultural Space)

  • 안희선;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5-298
    • /
    • 2008
  • The value of space is changing with change of modern society value. In this change, there is consistent subject about 'public'. So, design studies of public space for indoor and outdoor space are being carried out. Also, the concept of total design for space is a essential element and substance plan about space design and marketing is accomplished based on the total design. Now days, multiplex cultural space which have the concept of public and total design is increasing interest. Therefore, a case of multiplex cultural space, a purpose of this paper is elements investigate which design elements in public space of indoor and outdoor how it have been connecting fundamental design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