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gardening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여가전용 주택형 숙박시설의 내부공간계획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Housing type Accomodations for Leisure)

  • 김국선;이윤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05
  • In accordance with recent highly advanced economic growth, the demand of leisure life is quite increasing, and also the increase of nature-friendly leisure with health-pursuing concept where human -being enjoys pleasant environment, is to me said as one of recent social traits. Accordingly, it is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popularized housing-type accommodating facility, and then this study has discussed on the method how to plan the interior space of such facility to meet with environmental -friendly peculiarity and the object for health enhancement. At first, the program which applied the sustainable design techniques should be preceded, and when planning of interior space, the management method and space planning on the facility and the system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health. So to speak, in order to keep and promote the space user's health, those proposing methods such as the followings have been suggested likely as, consideration regarding to air-ventilation and lighting, usage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 use of life drainage, custom-typed plane planning, utilization of balcony space, storing furniture and systemization of kitchen space, themed bathroom, inducement of indoor-gardening,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applied very usefully to the space plan of the small-scaled housing-type accommodation under planning to develop or renovation.

  • PDF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mart Garden)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1-60
    • /
    • 2021
  • 현대사회는 인간, 사물, 네트워크가 관계를 형성하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화, 지능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식물 재배 시 온도, 습도, 일광량, 수분공급 등 식물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원 관련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가든의 개념 및 인식경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가든의 특성은 기술의 발전 및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실내·외 공간에서 IoT기술과 정원이 융합한 새로운 정원형태 혹은 여가의 유형 중 하나이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과 자연이 융합되는 생활공간의 요구로 스마트가든이 현실화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가든의 등장으로 정원 관련 산업의 변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정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스마트가든과 관련된 연구 및 이용자의 경험에서 공통적으로 스마트가든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가장 높다. 사람들은 스마트가든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능 및 기술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취향 및 디지털 기기의 이용능력에 따라 주체적인 이용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스마트가든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주로 가정 및 실내공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로 먹거리와 관련된 식물 재배를 선호하고 있지만, 화훼류 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매뉴얼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어 정원기능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가든의 형태를 새롭고 세련된 형태라고 느끼고 있어 스마트가든의 디자인이 이용자의 가치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가든은 기술적인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가든의 주요 구성 요인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단순하게 화분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식물을 편하게 기르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도시서비스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가든이 과학기술에 의해서만 자연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조경가와 상호작용하여 정원의 기능 및 이용자의 니즈를 포함한 디자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내뿐만이 아니라, 도시공원 및 공공시설에서 시민에게 제공하여 연령 및 디지털 기기·정보의 격차로 인하여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지 못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원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경공간으로 잠재성을 갖고 있다.

원예치료에서 식물.자연 접촉이 지니는 치료적 요인 연구동향과 전망 (Research Analysis of the Therapeutic Factors in the Contact with Plant.Nature in Horticultural Therapy)

  • 최민희;조태동;서정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7-525
    • /
    • 2010
  • Horticultural therapy is a complementary therapy by trained professionals utilizing plant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as media to pursue the positive change of clients, which resulting from stimuli of plant natu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Out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provide clients with the opportunities of the contact to nature such as fresh air and sunlight as well as plants. But the importance of plant nature to client's health has not been fully acknowledged compared to that of therapist's role and activities in horticultural therapy in Korea. In horticultural therapy it is possible for client to participate on the various levels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gardening according to the client's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orticultural therapists to consider the therapeutic factors of plant nature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larify the therapeutic factors in the contact of client with plant nature and to emphasize those importance in horticultural therapy. From the review of the experimental researches five therapeutic factors were revealed: Natural light, plant natural view, natural sound, aroma(volatile oils of plants), and plant itself. This paper raises the importance of outdoor activities in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necessity for severely handicapped clients to the contact with plant nature, though passively.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손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66-5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Trend Analysis of Pet Plants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Using Topic Modeling: Focusing on Big Data of News Articles from 2018 to 2021

  • Park, Yumin;Shin, Yong-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63-572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restricted daily life, forcing people to spend time indoors.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mental health issu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pet plants' have been receiving attention during the unprecedented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trends of pet pla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basic data for studies related to pet plants and directions of future development. Methods: A total of 2,016 news articles using the keyword 'pet plants' were collected on Naver New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15, 2019 (609 articles) and January 1, 2020 to August 15, 2021 (1,407 articles). The texts were tokenized into words using KoNLPy package, ultimately coming up with 63,597 words. The analyses included frequency of keywords and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 identify the inherent meanings of related words and each topic. Results: Topic modeling generated three topics in each period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and the results showed that pet plants in daily life have become the object of 'emotional support' and 'healing' during social distancing. In particular, pet plants, which had been distributed as a solution to prevent solitary deaths and depression among seniors living alone, are now expanded to help resolve the social isolation of the general public suffering from COVID-19. The new term 'plant butler' became a new trend,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trend in which people shared their hobbies and information about pet plants and communicated with others in onlin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rend data of pet pla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can provide the basis for activating research on pet plants and setting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considering the continuous popularity and trend of indoor gardening and green hob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