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Air Temperature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3초

다중이용시설 내 식생바이오필터 시스템의 PM10, PM2.5 저감효과 및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PM10, PM2.5 Reduction Effects and Measurement Method of Vegetation Bio-Filters System in Multi-Use Facility)

  • 김태한;최부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80-88
    • /
    • 2020
  • 2019년 3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일주일 동안 발령되면서,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기정화식물이 적용된 바이오필터의 다중이용시설 내 적용성 평가를 위해 입자상 오염원의 실내 연속방출환경을 조성하여 오염원 저감효과에 대한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실내공기질 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강의실을 대상으로 춘절기에 모니터링 1시간 전 모기향을 오염원으로 배경농도를 조성한 후, 스케줄에 따라 2시간 관수, 1시간 송풍하여 미세먼지의 저감능을 확인하였으며, 바이오필터 2m 전방에 PM10, PM2.5 및 온습도 센서를 설치하고, 3개 송풍구 중 중앙에 풍속 프로브를 설치하여 시계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바이오필터에 구비된 총 3개소의 송풍구 평균 면풍속은 0.38±0.16 m/s로 댐퍼 면적이 제외된 송풍구별 면적 0.29m×0.65m을 적용한 총 공조풍량이 776.89±320.16㎥/h로 산출되었다. 시스템 가동으로 평균온도 21.5~22.3℃, 평균상대습도 63.79~73.6%를 유지하여, 선행연구의 다양한 조건별 온습도 범위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스템 공조부 구동을 통해 급격하게 상대습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경우, 계절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저감과 적정한 상대습도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먼지 농도는 바이오필터 시스템 가동 전의 모든 주기에서 상승 현상이 동일하게 집계되었으며, 시스템 가동 후 1주기 송풍구간(B-1, β=-3.83, β=-2.45)에서 미세먼지(PM10)는 최대 28.8% 수준인 560.3㎍/㎥, 초미세 먼지(PM2.5)는 최대 28.0% 수준인 350.0㎍/㎥까지 저감되었다. 이후 미세먼지(PM10, PM2.5)의 농도는 2주기 송풍구간 감소(B-2, β=-5.50, β=-3.30)로 각각 최대 32.6% 수준인 647.0㎍/㎥, 32.4% 수준인 401.3㎍/㎥까지 저감되었고, 3주기 송풍구간감소(B-3, β=5.48, β=-3.51)로 최대 30.8% 수준인 732.7㎍/㎥, 31.0% 수준인 459.3㎍/㎥까지 저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식생 바이오필터의 다중이용시설 내 설치와 유관한 관련 표준 및 규정을 참조하여, 객관적인 성능평가환경의 구축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반 강의실 환경 내에 보다 객관화된 모니터링 인프라를 조성하여, 상대적으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가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박물관 환경 분석을 통한 동산문화재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for Movable Cultural Properties in Museum)

  • 김일규;서용수;이주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11-816
    • /
    • 2009
  • 최근 문화재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환경 및 훼손영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 3곳의 환경 중 동산문화재의 보존환경과 관련된 전시실, 전시케이스, 수장고에서 온 습도, 산류, 암모니아, 환원황화합물, 알데히드류를 조사하여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온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 알데히드는 빈번히 국 내외의 박물관 보존환경 기준 및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하였고, 포름알데히드, 염소, 암모니아는 간헐적으로 기준을 초과하는 특성을 보였다. 빈번히 기준을 초과한 온도,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 동산문화재의 주요 영향인자로써 동산문화재의 효과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 이들 인자는 적절한 제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여름철 시설 토마토 재배 시 Carbon Dioxide 처리가 Water Stress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ter Stress on Carbon Dioxide Treatment during Protected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Cultivation at Summer)

  • 우영회;이관호;강인철;김동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93-100
    • /
    • 2015
  • 여름철 토마토 시설 재비시 CO2 시용에 의한 고온적응성 향상을 구명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CO2 처리 농도를 달리한 온실들(무처리, 500ppm, 1,000ppm)의 기온환경은 유사하였으며, 최고기온은 약 44℃ 수준이었다. CO2 농도에 따른 VPD와 엽기온차에 의한 CWSI(Crop water stress index)변화를 보면 1000ppm처리가 무처리, 500ppm처리보다 수분장해를 받지 않았으며, 수분장해 정도는 1000ppm<500ppm<무처리 순으로 무처리가 수분장해 수준이 가장 높았다.

어린이활동공간에서의 바이오에어로졸 포집 전략 (A Suggested Air Sampling Strategy for Bioaerosols in Daycare Center Settings)

  • 조정흠;박준식;김성연;권명희;김기연;최정학;서성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3
    • /
    • 2016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sampling performance of different flow-based impactor samplers for collecting fungal spores and bacteria and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the level of bioaerosols with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in daycare center settings. Methods: For comparison of sampling performance, two different flow-based samplers (greater than 100 L/min or not) were selected; a low flow-based sampler (one-stage Andersen sampler) and two high flow-based samplers (DUO SAS SUPER 360 sampler, BUCK bio-culture sampler). We collected airborne mold and bacteria in 30 daycare centers with various levels of contaminated air. Three repeat samplings per each sampler were performed. Mold and bacteria were grown for 96 hours at $25{\pm}1^{\circ}C$ and 48 hours at $35{\pm}1^{\circ}C$, respectively. The Andersen and SAS samplers we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bioaerosols and the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in daycares. Particular matters 10($PM_{10}$),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monitored as well. Samplings were carried out with one-hour interval from 9 to 5 O'clock. For statistical comparisons, Kruskal-Wallis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airborne level of molds by the low flow-based sampl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flow-based samplers (indoor, P=0.037; outdoor, P=0.041).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irborne level of bacteria by each sampler. Also the level of bioaerosols varied by the time, particularly with different activity patterns in daycare centers. The higher level of mold and bacteria were observed in play time in indoor. Similarly, the concentrations of $PM_{1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bioaerosols (P<0.05).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flow rate of sampler, rather than total air volume, could be able to affect the results of sampling. Also, the level of airborne mold and bacteria vary behavior patterns of occupants in indoor of daycare settings. Therefore, different samplers with other flow rate may be selected for mold or bacteria sampling, and activity patterns should be considered for bioaerosol sampling as well.

지하에 위치한 방사선종양학과에서의 실내공기 질 평가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a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Located Underground)

  • 김원택;신용철;강동묵;기용간;김동원;권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43-252
    • /
    • 2005
  • 목적: 지하에 위치한 방사선치료 관련시설 내의 실내공기 질은 근무자뿐만 아니라 장기간 치료받는 환자들의 건강에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근무자들의 빌딩증후군 증상유무의 확인과 함께 실내공기 질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을 측정, 분석하여 그 원인을 찾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자각증상 및 근무환경 인식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하였고,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실내공기 질과 관련된 항목들(온 습도,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에 대해 근무자들이 주로 머무르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측정하였다. 아울러 환기(공조) 시스템의 효율 및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실외공기와의 비교평가를 위해 1층(실외)에서도 같은 항목들을 측정하였고, 측정 자료들은 국내외 환경관련 기관들의 권고 수치를 기준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설문조사에서 근무자들은 악취, 습도, 먼지 등에 대해 불만족을 보였으며, 근골격계 증상, 신경계 증상, 점막 자극 증상 등을 주로 호소하였다. 대부분의 실내공기 질 관련 항목들은 기준치를 넘지 않았으나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수치가 기존 미국 사무실 측정 수치에 비해 $3{\sim}4$배 높게 나왔다. 환기 횟수나 환기량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실외공기 유입구와 실내공기 배출구의 위치 문제로 인해 오염된 공기의 유입 가능성이 있었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할 수 있는 현상액과 같은 화학물질의 관리에 주의가 필요했으며, 오염된 공기의 재유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의 위치조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실내공기 질에 대한 평가에서 일부 화학물질 및 부적절한 환기 시스템으로 인해 근무자들이 주관적인 증상을 호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하 공간에서 장시간 거주하는 근무자들의 근무여건 개선과 함께 면역저하를 동반한 환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실내공기 질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며, 그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방사선종양학과의 설계나 기존 시설의 환경개선 등에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하겠다.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연결통로 및 엘리베이터 홀의 환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Ventilation of Connection Passage and Elevator Hall of Underground Parking in the Apartment Houses)

  • 김일겸;박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523-152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하주차장 연결통로 및 엘리베이터 홀의 기계식 환기장치의 설치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엘리베이터 홀의 경우 침기 및 누기(자연환기)로 인하여 실제 환기회수는 계산환기회수의 5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지하 주차장 연결통로 및 엘리베이터홀의 환기장치는 동시 급 배기로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설치가 어려울 때에는 차선책으로 급기만이라도 설치하는 것이 공기질 측면에서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 겨울철 환기장치 가동에 따른 콜드 드래프트의 영향을 고려하여 환기장치의 급기부에 예열기를 설치하는데, 환기시스템의 가동유무 및 가동방법을 다르게 하여도 지하주차장 연결통로 및 엘리베이터 홀의 온도가 $7{\sim}8^{\circ}C$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나타나므로 한국의 남부지역에서는 단순 급 배기 환기장치에 예열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환기회수 및 부하율 변화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감쇠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the Concentration Deca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nder Different Air Change Rates and Loading Factor Conditions)

  • 방승기;손장열;안병욱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505-513
    • /
    • 2005
  • We measured the time-dependent concentration of VOCs emitted from Ondol floor, furniture, and the wall made of various building materials. After obtaining results from the previous measurement, we developed the estimation equations of the concentration decay, and obtained the estimated graphs for the concentration decay under different air change rates and loading factor conditions by using the estimated equations. We conducted our tests by applying our measurements to real residences for 110 days in the case of furniture and for 40 days in the case of the floor. We also conducted experiments in the cases of various wall materials for 7 days which totaled 10 times. We used the GC/FID for experiments for real residences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cedures of the NIOSH 1501, and carried out experiments for wall materials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cedures of the ASTM 5116-97. When conducting experiments for wall materials, we set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t $23^{\circ}C$ and $50\%$, respectively. We also set the air change rate and loading factor at 0.7/h and $1.617 m^2/m^3$, respectively. Our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proplrly the time-dependent concentration decay of VOCs by using logarithmic functions in both cases of experiments for real residences and for wall material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decay rate of VOCs increased rapidly as the air exchange rate increased while the concentration decay rate decreased as the loading factor increased.

동시냉난방 히트펌프의 냉매 충전량과 운전모드 변화에 따른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The Performance of a Simultaneous Heat and Cooling Heat Pump at Various Charging Conditions)

  • 송인식;최종민;주영주;정현준;강훈;김용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7호
    • /
    • pp.492-499
    • /
    • 2008
  • The cooling load in winter is significant in many commercial buildings and hotels because of the usage of office equipments and the high efficiency of wall insulation. The development of a multi-heat pump that can cover 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for each indoor unit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a multi-heat pump with 3-piping system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refrigerant charge and its performance was analyzed in cooling mode, heating mode, and heat recovery mode. COP in the heating or cooling mode showed little dependence on refrigerant charge at overcharge conditions, while those were strongly dependent on refrigerant charge at undercharge conditions and outdoor inlet temperature. In the heat recovery mod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very sensitive to charge amount at all conditions. Optimum charge amount in the heat recovery mode was 14% lower than that in the cooling mode at the standard condition because the refrigerant only passed the indoor units. It is required to store the excessive refrigerant charge in a storage tank to optimize the system performance at operating modes.

농어촌 주택 표준모델의 냉난방에너지요구량 분석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Analysis of Standard Rural House Models)

  • 이찬규;김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307-3314
    • /
    • 2012
  • 농어촌 주택 표준모델에 대한 연간 건물에너지요구량을 DesignBuilder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실내설정온도, 외벽의 열관류율, 창호타입, 환기량을 변화시키며 건물의 설계/운영 변수들이 에너지요구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건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난방에너지요구량이 냉방에너지요구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열재 두께를 증가시켜 외벽의 열관류율을 감소시키면 단열효과의 증가로 난방에너지요구량은 감소하지만 냉방에너지요구량이 증가한다. 하지만 외벽의 열관류율 조절을 통한 난방에너지요구량의 절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외부에 직접 노출된 외벽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계산에 사용된 4가지 창호 중 일반 이중창호가 난방에너지요구량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기량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단위시간당 환기량을 증가시킨 경우 냉방에너지요구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난방에너지요구량이 증가하였다. 실내의 공기질이 만족되는 범위 내에서 환기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연간 건물에너지요구량을 줄이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도체 웨이퍼 제조공정 클린룸 구조, 공기조화 및 오염제어시스템 (Clean Room Structure, Air Condition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in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 최광민;이지은;조귀영;김관식;조수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2-21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ean room(C/R) structure, air condition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work environment and workers' diseas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200 mm and 300 mm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The C/R structure and air conditioning method were investigated using basic engineering data from documentation for C/R construction. Furthermore, contamination parameters such as airborne particles, temperature, humidity, acids, ammonia, organic compounds, and vibration in the C/R we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ITRS). The properties of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and the current status of monitoring of various contaminants in the C/R were investigated. Results: 200 mm and 300 mm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fab(C/R) and sub fab(Plenum), and fab, clean sub fab and facility sub fab, respectively. Fresh air(FA) is supplied in the plenum or clean sub fab by the outdoor air handling unit system which purifies outdoor air. FA supply or contaminated indoor air ventilation rates in the 200 mm and 300 mm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are approximately 10-25%. Furthermore, semiconductor clean rooms strictly controlled airborne particles(${\leq}1,000{\sharp}/ft^3$), temperature($23{\pm}0.5^{\circ}C$), humidity($45{\pm}5%$), air velocity(0.4 m/s), air change(60-80 cycles/hr), vibration(${\leq}1cm/s^2$), and differential pressure(atmospheric pressure$+1.0-2.5mmH_2O$) through air handl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In addition, acids, alkali and ozone are managed at less than internal criteria by chemical filters. Conclusions: Semiconductor clean rooms can be a pleasant environment for workers as well as semiconductor devices. However,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t may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semiconductor processes and the work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