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for Movable Cultural Properties in Museum

박물관 환경 분석을 통한 동산문화재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 Kim, Il-Ky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eo, Yong-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u-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5.29
  • Accepted : 2009.08.2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Along with research into the latest preservation treatments for items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damage are also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temperature, humidity, acids, ammonia, reduced sulfur compounds, aldehydes with various ingredients in the exhibition hall, show case, and storage of three type museum. As a result, temperature, humidity, TVOCs, acetaldehyde frequently exceed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 museum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indoor air quality. Also, formaldehyde, chloride, and ammonia exceeded the standards intermittently. Temperature, humidity, TVOCs, acetaldehyde were evaluated to b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to control the major factors, apart from temperature and humidity, that cause damage in the museum environm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complement this system with an effective air filter or remover.

최근 문화재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보존환경 및 훼손영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 3곳의 환경 중 동산문화재의 보존환경과 관련된 전시실, 전시케이스, 수장고에서 온 습도, 산류, 암모니아, 환원황화합물, 알데히드류를 조사하여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온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 알데히드는 빈번히 국 내외의 박물관 보존환경 기준 및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하였고, 포름알데히드, 염소, 암모니아는 간헐적으로 기준을 초과하는 특성을 보였다. 빈번히 기준을 초과한 온도, 습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 동산문화재의 주요 영향인자로써 동산문화재의 효과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 이들 인자는 적절한 제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radley, S., “Preventive Conservation: the research legacy”. Conservation Science 2002, pp. 3-7 (2002)
  2. Bradley, S., and Thickett, D., “The pollution problem in perspective” In ICOM-CC 12th Trennial Meeting preprints, Lyon, Bridgland, J. (ed). London : James and James, 1, pp. 8-13 (1999)
  3. Camuffo, D., R. Van Grieken, H. -J. Busse, G. Sturaro, A. Valentino, A. Bernardi, N. Blades, D. Shooter, K. Gysels, F. Deutsch, M. Wieser, O. Kim, and O. U. Ulrych.“ Environmental Monitoring in Four European Museum.” Atmospheric Environment 35(Supplement 1) pp. 127-140 (2001)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088-7
  4. 임채진, “박물관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 -”,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1, 129-138 (1999)
  5. 도이시겐조, 문화재보존과학의 원리, 한언출판사 (2004)
  6. Pamela B.Hatchfield, Pollutants in the Museum Environment (2002)
  7. 홍정기, “문화재 전시 및 수장시설 내에서의 보존환경 조사연구”, 보존과학연구, 22, 155-171 (2001)
  8. 김윤신, 동산문화재 보존환경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9.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기준 (2008)
  10.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시설 . 환경 기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08)
  11. JIS A 1901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shydes for building products - Small chamber method” (2003)
  12. 김윤덕, 이경회, “환기방식에 따른 TVOC의 방출량을 고려한 실내 적정 환기량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2(11), 279-28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