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CO_2$concentration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19초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2 농도 변화 및 균형 분석 (Analyses of CO2 Concentration and Balance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for King Oyster Mushroom and Lettuce)

  • 정대호;김찬교;오경훈;이동현;김민수;신종화;손정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628-635
    • /
    • 2014
  •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_2$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_2$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_2$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circ}C$, $22^{\circ}C$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times}0.8m{\times}0.5m$)에서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 $340{\mu}mol{\cdot}m^{-2}{\cdot}s^{-1}$의 광도와 EC $1.2dS{\cdot}m^{-1}$의 양액에서 재배하였고, 다이아프램(diaphragm) 펌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섯 챔버와 상추 챔버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버섯의 $CO_2$ 발생 속도는 균 긁기 후 15일차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생육 온도가 높아질수록 $CO_2$ 발생 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솎음 처리에 의해 버섯의 자실체 생체중 당 $CO_2$ 발생 속도가 약 3.1배 증가하였다. $CO_2$ 균형 관점에서 보면, 균 긁기 후 9, 12, 14일차 버섯 1병(950mL)의 $CO_2$ 발생 속도는, 정식 후 7, 10, 12일인 상추 3, 4.5, 5.5 개체 $CO_2$ 흡수 속도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작물의 적합한 재배 비율의 설정을 통하여 밀폐형 혼합 식물생산시스템 내 $CO_2$ 농도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무기흡착제를 이용한 $CO_2$의 상온흡착 (Ambient adsorption of $CO_2$ using an inorganic sorbent)

  • 조영민;이주열;박영구;박준석;김승호;고재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97
    • /
    • 2007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gaseous carbon dioxide separation by a commercial adsorbent: X-type zeolite. Experimental work was carried out at an ambient condition focusing on how well meeting to the national guideline. A few types of reactor and material were examined, and practical capability was found in a granular bed type reactor with the flow of 2.5 CMM. An optimum design of reactor and adsorbent could provide the required concentration, less than 2500 ppm, for the continuous operation up to 10 hours. More work including automatic regeneration is now underworking.

강의실 CO2 발생률과 자연환기 특성의 측정 및 CFD 분석 (Measurements and CFD Analysis for Release Rate of CO2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Ventilation in Lecture Room)

  • 이동해;최영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6-94
    • /
    • 2021
  • Lecture rooms are crowded with many attendees. Moreover, they rely significantly on the natural ventilation through windows for removing and controlling indoor contaminants such as CO2. With the aim of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entilation phenomena in lecture rooms, the average individual CO2 release rates of attendees were measured during the course of a lecture and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CO2 release rat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natural ventilation through windows on the time-variant CO2 concentrations in the center of the lecture room were measured and analyzed. Moreover, details about the overall and regional CO2 concentrations, as well as the air flows in the lecture room, were simulated and analyzed wi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oftware, Fluent 2020 R2.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individual CO2 release rates were slightly slower than previously reported rates. The local CO2 concentrations in the lecture room for regions with a high density of attendees increas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although the natural ventilation was already started by opening the windows. The overall CO2 concentration in the lecture room rapidly de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ventilation, but declined very slowly after a longer period of ventilation tim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 lecture room's natural ventilation, it is recommended to homogeneously distribute the attendees in the lecture room, and to frequently open the windows for short periods of time.

PLC를 이용한 온실의 환경제어 (Control of Environments in Greenhouse Using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김동억;조한근;김형준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6호
    • /
    • pp.599-606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control system with PLC and its operating software and to investigate its control ability of greenhouse environments. Two experimental greenhouses were controlled by PLC and ON/OFF controller, respectively. In greenhouse controlled by PLC, target value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_2$ concentration were automatically changed. In warm-water heating, the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was reduced to $\pm$ $0.6^{\circ}C$ by the method of proportional-integration(PI) control with an inverter. In ventilation, the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was reduced, since windows open and close with multistage by mutual relation formula among the target,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t daytime was maintained with range of 35% to 55% by PLC controlled fogger. $CO_2$ concentration was automatically controlled from 300 to 800 $\mu$molㆍ$mol^{-1}$ according to amount of solar radiation. The suppling amount and frequency of nutrient solution were controlled by total integrated solar radiation. Difference in the yield of cucumber in the greenhouse controlled by PLC and by ON/OFF controller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 PDF

유럽 일부 지역의 광천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eral Water in Europe Partial Area)

  • 황상용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4호
    • /
    • pp.76-81
    • /
    • 2004
  • 최근 산업장 뿐만아니라 주택에서의 실내환경오염은 대단히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미국 EPA에서는 성인이 하루에 약 80 % 이상을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환 방식의 변화에 인한 최근 도시화 지역에서의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의 문제가 새로운 환경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일본을 비롯한 구미 각 국에서도 21세기 환경문제 중 실내환경(indoor environment) 문제를 최우선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를 토대로 6개의 다른 주거환경을 가진 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오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측정항목은 온도, 습도, CO, $CO_2$, 호흡성분진, 포름알데히드, 총부유세균(TBC)이었으며, 주택의 지역 및 계절별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측정결과 호흡성분진은 주택 5,6 에서 국내의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총부유세균은 흥콩과 싱가폴의 실내기준 권고치인 $500{\;}CFU/m^3$을 초과였고, HCHO는 모든 대상 주택에서 초과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택의 건축년도와 CO, TBC가 0.01 수준에서 유의성 관계를 나타냈으며, 습도는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또한 주택의 거주자 500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결과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실내공기오염에 대하여 인식하고있으며, 실내오염으로 인해 피로>두통>눈 아픔>기침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정화장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여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방안을 제시하여 관련 기준을 준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주민들이 쾌적한 삶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SIC 칩 내장형 비분산 적외선 이산화탄소 가스센서의 온도보상 (Temperature Compensation of NDIR $CO_{2}$ Gas Sensor Implemented with ASIC Chip)

  • 이승환;박종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45
    • /
    • 2007
  • 본 논문은 온도보상의 특성을 보여주는 비분산 적외선 이산화탄소 가스센서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가스센서는 두개의 오목한 반사경을 가진 광 공동, 검출기 출력 전압과 온도센서의 증폭을 위해 동일한 금속 패키지 내에 제작된 ASIC 칩을 포함한 써모파일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다. 새롭게 개발된 센서 모듈은 0 ppm에서 2,000ppm까지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pm}40\;ppm$의 오차를 보였으며, 실험 결과에 기초한 가스농도의 계산 방법으로부터 센서 모듈은 $15^{\circ}C$에서 $35^{\circ}C$ 온도 구간에서 ${\pm}5\;ppm$의 오차를 나타냄으로써 높은 정확성을 가진 자기 온도 보상형 센서를 제작하였다.

  • PDF

서울시 일부 학교의 실내 공기질 조사 및 인식도 평가 (Assessment of Conscious Coginition Degree and Survey on the Indoor Air Quality at a public School in Seoul)

  • 손종렬;변상훈;김영환;김종혁;조윤수;이재영;박윤주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3호통권49호
    • /
    • pp.100-109
    • /
    • 2003
  • Recently, Indoor air quality(IAQ) in workplac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chools has been concern of people, scientists and related the public. And so in Seoul has recognized the healthy effect related to IAQ in school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ported in this article were to measur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f IAQ of selected air pollutants at three different schools in Seoul. We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00 students about their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IAQ in our school. And we measured the IAQ of 3 schools considering as site region, construction year and studying level. The indoor air pollutants and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PM10), formaldehyde(HCHO), total bacteria counts(TBC), carbon dioxide(CO$_2$), and noise were monitored in indoors. In results, all most response of occupant has recognized the awareness of IAQ at schools. The PMIO, TBC and Noise level of all schools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of the public 150 ${mu}$g/m$^3$ and 500CFU/m$^3$, the level formaldehyde(HCHO) was below 0.1 ppm of the healthy guideline of Korea And the concentration of CO$_2$ were investigated below 1,000 ppm of the standard implying ventilation in 2 schools except for 1 school(c school). Finally, the control of most important pollutants of IAQ in school were PM10, TBC and Nois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door air quality of selected 3 schools studied was perceived as acceptable,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related IAQ was suggested the guideline and control of IAQ problems in schools, and all member relating school need to be effort to reduce the exposure of sources to undesirable indoor pollutants such as Particlate and Noise.

유전체 장벽방전 플라즈마 방전시간에 따른 오존 발생 농도변화의 값을 통한 실내 공간 내 부유세균 살균성능에 대한 실험 (Experiment on the Sterilization Performance of Airborne Bacteria in Indoor Spaces using the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Time of a Plasma Module with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echnology)

  • 이수연;김창수;김규리;임종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44-351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생물의 비열 멸균 기술로서 실내 공간 내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모듈의 방전시간에 따른 오존 발생 농도변화의 값을 통한 실내 공간 내 부유세균 살균 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76m3체적 공간의 공조장치의 공기배출 부분에 DBD 플라즈마 모듈을 설치하고 2m 떨어진 거리에서 DBD 플라즈마 처리 시간에 따라 공기 시료를 포집하여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부유세균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DBD 플라즈마 방전에 따른 오존발생농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의 총 세균수는 1.83~2.00 logCFU/m3의 결과가 나왔으며,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의 최소 92.057%에서 최대 99.999%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또한 평균 오존발생농도 0.04ppm으로 오존 발생농도 기준인 0.05ppm보다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인체에 무해한 오존량과 DBD방전 플라즈마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기 중 부유세균, 바이러스등의 감염병 전파 방지의 수단으로 플라즈마 방전을 사용함에 기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민 함침 입자상 활성탄의 특성 분석 및 이산화탄소 흡착능 평가연구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using Pelletized AC with Amine impregnation)

  • 임윤희;조영민;김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5
    • /
    • 2013
  • 본 연구는 1차 아민(MEA, monoethanolamine)으로 개질한 입자상 활성탄(WSC-470)을 이용하여 실내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MEA 함침농도(6.1~42.7 wt.%)와 용매제(distillate water, ethanol, methanol) 종류에 따라 제조된 흡착제의 특성분석(BET, pore property, XPS)과 각 흡착제의 $CO_2$가스에 대한 최대 흡착능, 3000 ppm의 저농도 $CO_2$분위기에서의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MEA 농도가 증가할수록 물리적 특성인 비표면적, 공극률, 미세기공률 등은 감소한 반면, 표면 염기도 향상에 기여하는 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물성변화로 인해 최대 흡착능은 초기 활성탄(RAC: 3.27 mmol/g) 대비 최대 71%(AC-MM(42.7, 40): 0.937 mmol/g)가 감소한 반면, 저농도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량은 45%(AC-MM(15.3, 40): 0.73 mmol/g)의 향상을 보였다.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포름알데히드 확산측정기의 평가 (Evaluation of a Diffusive Sampler for the Measurement of Formaldehyde using Colorimetric Method)

  • 임봉빈;김선규;정의석;김선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06-6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기 중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다른 반응의 흡광광도법(비색분석)을 응용한 뱃지형 확산측정기를 평가하였다. 흡수여지의 세척방법을 비교한 결과 사용된 세척용액의 종류에 관계없이 세척하지 않은 경우 보다 양호한 세척효과가 나타났다. 각 측정방법에서 사용될 흡수액의 농도는 시료채취율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평가된 공시험 값은 측정방법별로 15% 이내의 편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측정기의 재현성은 MBTH법이 상대표준편차 10% 이내로 가장 양호하며, 채취된 포름알데히드 양과 시간가중평균농도와의 상관관계는 세 가지 측정방법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시료채취율이 가장 좋은 MBTH법이 다른 측정방법과 비교하여 가장 낮게 나타나 시료채취율이 가장 크고 정량한계가 낮은 측정방법일수록 포름알데히드 측정에 요구되는 측정시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