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학사경고자 대상 개별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a Academic Probation Target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 김희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971-983
    • /
    • 2016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n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academic probation. It aims to test applicability as a program in the future, and t revise it and make up for its problems.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constructed the program dividing it into two kinds: the first basic learning special lecture and the second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This program used those students in universities in Gyeongbok province who received two or more scholastic probation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2 to the second semester of 2014, and who were judged by professors who had interviewed them as those who needed learning coach.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troduced those students about the program and schedule. And, this study did in-depth analysis for the six students who attended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ose students understoo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ried to apply it to actual learning process and overcome learning difficulty.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students who receive academic probation and ideas on how to develop it.

Reviewing EBS's Teaching Coaching Program &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Results

  • LEE, Mijar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2호
    • /
    • pp.273-305
    • /
    • 2016
  • The EBS teaching coaching program,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broadcasted about 30 dramatic teaching improvement cases. The TV program has gained great attention and been used widely as a good example for making some meaningful improvements in teaching.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 attempt to research and gather the series beyond the individual coaching examples for the viewers (mainly teachers) to obtain more comprehensive educational insights of the results. This study, therefore, reviews the program and conveys how the overall coaching actually took place, examines changes in classrooms,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the results with theoretical founda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12 teachers' coaching cases among 30 ones. Then the reviewers reviewed the program with the 6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aching took place 6-8 months for each individual teacher. The common difficulty teachers shared was a big gap between teachers' effort for teaching versus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s' in class. The overall direction for the coaching solution wa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first rather than to mainly focus on teaching the content. Students changed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process when teachers improve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The researcher discussed how building goo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greatly affects the improvement in teaching with the 'Needs Hierarchy' and 'Brain Science' theories.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Coaching

  • Bang, Young-J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eer coaching for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12 college teachers in Korea participated in a 10-week program. They were 7 males and 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4 to 37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Refle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interview data. From the findings, two significant categories of peer coaching were identified: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peer coaching experience. However, the overriding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data were the benefits of peer coaching. The participant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acknowledgement of the advantages of peer coaching, such as reflective support through other's eyes, improved working environments, greater teaching strategies, higher professional self-esteem, and awar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Negative responses also appeared, mostly in regard to the working principles of implementation; the major issues of difficulties were time management, complexities of implementation procedure, stress and personal vulnerability, and relative lack of reflection and feedback skills. Demonstra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wards the peer coaching program, this study provides EFL teachers with useful insights into peer coaching as an effective tool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 교육에서의 코칭적 접근 (Resolving time poverty in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 김혜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2호
    • /
    • pp.43-56
    • /
    • 2016
  • Time poverty is a kind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tate which a person does not have a enough time to do his/her work or is in the mood to do something in a hurry. The major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has studied time as a resource to manage for long years. How to manage time has been a major part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he education itself in nature has focused to inform knowledge and the disciplines of time management, to the students, on the other way, has a rare interest with a each student how to apply them or whether do in practical. Coaching is characterized as a practical learning and mutu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pen questions, which help for a individual student to find his/her own goal related with time poverty or furthermore, whatever he/she wants to achieve in life. If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the benefits of practical learning of coaching could be merged in education on time managemen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resolve time poverty is able to be increas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to resolve time poverty, by some comparisons of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nd coaching about time and time management.

청소년의 학교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행동적 몰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tecedent Variables Influencing Adolescent School Engagement: Focusing on Behavioural Engagement)

  • 이연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153-1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화에 중요한 학교 몰입 중 행동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에 대한 검증에 있다. 선행변인은 사회화의 주체가 되는 청소년의 개인특성과 학교현장의 사회적지지라고 할 수 있는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로 범주화하여 설정하였다. 개인특성에는 강점인식 및 활용과 학습목표지향성을, 또래지지에는 또래의 강점지지와 또래 학업지지를, 교사지지에는 교사의 강점 지지와 관점변화지지를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33명을 제거, 506명의 데이터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특성의 하위요인으로 설정된 학습목표지향성만이 행동적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닝 구축을 위한 3D 지식 검색 (3D Knowledge Retrieval for e-Learning Construction)

  • 김귀정;한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63-69
    • /
    • 2010
  •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학습훈련이 이루어질 때 작업현장, 교육현장, 기타 시공간에서 작업자의 현재 상황이나 담당업무 맥락에 따라 개인의 숙련도나 학습진도에 맞추어 3D 몰입형 지식 가시화를 통해 비공식학습과 공식학습 모두 실시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복합지식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코칭과 조언을 들을 수 있으며, 다차원적인 관계를 쉽게 식별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실감형 3D 기반의 지식 검색 방법을 개발하였다.

복합지식 기반 개인 맞춤형 지능화 추천시스템 (Customizing Intellig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mpound Knowledge)

  • 김귀정;김봉한;한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6-31
    • /
    • 2010
  • 본 연구는 작업현장, 교육현장, 기타 시공간에서 작업자의 현재 상황이나 담당업무 맥락에 따라 개인의 숙련도나 학습 진도에 맞추어 비공식학습과 공식학습 모두 실시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추천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복합지식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코칭과 조언을 들을 수 있으며, 다차원적인 관계를 쉽게 검색하고 추천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복합지식 지능화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지식 저장소와 복합지식관리 모듈을 개발하였다. 특정 산업분야에서는 장기적으로 축척되는 지식베이스를 근간으로 하여 전문적인 문제해결 혹은 코칭 서비스 등을 부가적으로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위영은;정효정;임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 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해당 직종에서의 플립러닝의 정의, 단계별 주요 학습활동, 운영 전략을 포함하는 교육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HRD 및 직업교육훈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용 모델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교육모델은 사전학습-본학습-사후학습의 3단계로 구성되며, 사전학습 단계는 온라인 강의 수강-간단한 과제 수행, 본 학습 단계는 도입활동-능동적 학습활동 및 코칭-디브리핑 강의, 사후학습 단계는 개별 성찰-추가과제 수행 활동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육모델은 직업교육훈련의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가능하며, 연계성과 훈련성과 향상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E-catalog를 활용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현 (The System Implementation for a Learning Effect Improvement using an E-catalog)

  • 함호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241
    • /
    • 2008
  • 학습자의 수준을 적은 시간에 크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강의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도록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문대학과 같은 수업 환경은 한 과에 수 개의 반과 각 반에 해당하는 교수와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수강하게 되며 학생들의 수준과 욕구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각 교수들의 강의 내용을 해당 반 학생들 이외의 같은 과목을 수강하는 다른 반 학생들에게 다른 반 교수들의 강의한 학생들의 첨삭지도내용을 볼 수 있다면 학생들이 타 학습자의 내용과 수준을 활용한다면 학업 성취도는 향상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스템을 만들었다. 또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 무선에서 첨삭지도 내용과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했으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의 하나로 e-catalog 개념을 활용하였다.

  • PDF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 '에너지' 주제의 교수.학습 방안 개발(II) (Three Teaching-Learning Plans for Integrated Science Teaching of 'Energy' Applying Knowledge-, Social Problem-, and Individual Interest-Centered Approaches)

  • 이미혜;손연아;;최돈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7-3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통합과학교육에 관한 이론적 방향과 실제적 교수 학습방안을 연계성 있게 제시하여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관한 이해를 도움과 동시에 통합과학 수업 보조자료를 개발하여 실제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공통과학 교과내용 중 통합 과학적 성격이 특히 강한 에너지 단원을 대상으로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는데, 이것은 이전 논문에서 구성한 '통합과학교육의 방향별 에너지 교수 학습 전략' 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각 방향별 특징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것이다. 즉, 지식내용중심의 통합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지식을 통합하기 위해서 '에너지의 여행' 을 주제로 선정하고 ' 개방된 발견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개념과 탐구관련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사회문제중심의 통합은 과학관련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너지의 미래'를 주제로 선정하고 '발생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인지과정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개인흥미중심의 통합은 과학과 개인흥미의 통합을 위하여 '에너지의 변신' 을 주제로 선정하고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나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향에 따른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방안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모색되었다. 먼저, 각 주제별로 다루어야할 통합과학적 교수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주제를 통합적으로 수업하기 위한 통합과학적 수업 절차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작성한 수업 절차에 따라 실제 통합과학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과학적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정립과 교재, 교사, 학생을 고려한 종합적인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