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dividual Level

Search Result 4,2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스마트 건강도시에 관한 연구 - 도시 특성과 개인 특성의 위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mart Healthy City - Focus on Hierarchical Analysis of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 서종국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12-520
    • /
    • 2021
  •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도시특성과 개인특성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6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도시특성과 개인특성이 개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시특성이 개인특성과 더불어 개인이 건강수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영향 정도가 매우 크나 일부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향후 도시정책에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도시특성은 개인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별적인 도시정책의 변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대졸 신규취업자 임금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employee's wag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박성익;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65-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 및 4년제 대졸 신규취업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변수들과 업종수준의 특성변수들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개인수준의 임금이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1-수준)과 업종 수준의 산업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 (multi-level)를 가지게 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와 같이 위계적 자료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 구조가 되면, 전통적인 회귀분석에서와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보다 타당하게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계선형모형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과 업종수준 변수들 모두를 포함한 다중대응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수준의 임금이 서로 다른 그룹에 대응되는 개인 특성 변수값과 업종 특성 변수값이 그룹별로 서로 상이하여 개인특성 변수만이 아니라 업종특성 변수도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개인수준과 업종수준 변수들 모두를 포함한 의사결정나무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수준의 임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업종별 임금이고, 그 다음으로는 업종별 근로시간, 연령, 성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업종의 특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위계적 선형모형의 활용이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개인수준의 인적특성과 업종 수준의 산업특성 변수들을 모두 포함한 모형이 다른 모형들에 비해서 모형 적합도가 가장 개선되어 위계적 선형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요인에 관한 연구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individual and team-level effects on psychological capital)

  • 한주희;임규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5호
    • /
    • pp.9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PO fit) and person-job fit(PJ fi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Present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naly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s. This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ba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and provide the foundation to integrat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to the actual organiz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domestic organizations and composed 47 team-level and 244 individual-level data.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ling(HL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 fit and PJ fi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membe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as follows. Positive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capital with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variables,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to magnify the strength of members in the actual operation at the organization level. Such the manag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be suggested as a new approach method for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goals and visions.

  • PDF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 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 이원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was conducted in the Korean National Railroad. The cross-level model was hypothesized to study causal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cross level model combines individual level approach with group level approach. In this model supervisors(group level)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individu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safety climate(group level) influences safety behavior(individual level) positively. Traditionally operators have been blamed as accident causer. This study, however, shows that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factors are as much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 PDF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한 지역사회 및 개인 수준의 요인이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 분석 (The Effect of Community- and Individual-Level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A Multilevel Analysis)

  • 하소영;김진환;박해균;김영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32권1호
    • /
    • pp.24-33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미치는 개인 수준 요인과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2021년 시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와 2021년 국가통계포털시스템(KOSIS) 자료를 통해 수집된 성인 225,965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살 행위(자살 생각, 자살 시도) 및 지역사회 수준의 특성은 빈도(%)와 평균(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개인 수준과 지역사회 수준에 대한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에 대한 연관성은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자살 생각과 관련된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은 미충족의료였으며(Odds Ratio [OR]=1.053, 95% CI=1.035-1.071), 자살 시도와 관련된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은 고령화비율(OR=1.015, 95% CI=1.001-1.030)이었다. 자살 생각과 관련된 주된 개인 수준의 요인은 스트레스 상태(OR=9.388, 95% CI=8.629-10.213), 최근 1년간 우울경험(OR=6.737, 95% CI=6.454-7.032)이었으며, 자살 시도와 관련된 주된 개인 수준의 요인은 스트레스 상태(OR=5.213, 95% CI=3.699-7.347), 최근 1년간 우울경험(OR=13.433, 95% CI:11.247-16.044)이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의 요인과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기존에 강조되어진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개인 수준의 요인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 미충족의료와 같은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을 고려하는 자살예방정책이 요구된다.

Parallel sound change between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properties: An individual level observation

  • Lee, Hyu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23-29
    • /
    • 2016
  • The present study tested if individual speakers showing great sound change in segments (i.e., vowels and fricatives) also had innovative changing patterns in suprasegmental properties (i.e., lexical pitch accents) in Kyungsang Korean. The acoustic analysis at a group level first confirmed the presence of group level differences in distinguishing /ɨ-ʌ/ and /s-s'/ both of which had different phonemic distinction from Seoul Korean. Younger speakers had more innovative segmental change than older speakers, and even within the younger generation, female speakers produced more innovative phonetic variants than male speakers. Regarding the individual observation within the younger group, the younger speakers with large acoustic distinction in vowels and fricatives also showed acoustically less distinct accent patterns, indicating the innovative sound change pattern consistent across segment and suprasegmental properties. The group and individual observations suggested that linguistic innovators introduced new phonetic variants with consistent degree of changing pattern between segment and suprasegmental properties.

Social Identity and Regulatory Focus: Can Collective Orientation Influences Consumers' Message Evaluation?

  • Park, Sangwoo;Heo, Dakyeong;Shin, Dongwo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89-112
    • /
    • 2019
  • To investigate the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self-regulations, the authors propose a dialectic process that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locus of self-regulations between individual self and collective self. The results from three studies display a strong support for the two sets of hypotheses drawn from the proposed process.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consumers can move the locus of self-regulation from individual-self to collective-self when a social identity is activated (preliminary study and study1). Further examination of regulatory swing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regulatory orientations revealed group identification as a key variable in determining the locus of self-regulation (study2). While a consumer with a high level of group identification changes her locus of self-regulation from an individual to a collective (a regulatory shift) and evaluated messages and products framed consistent with their group orientation, a consumer with low level of group identification maintains her locus of self-regulation in her personal level of self (a regulatory preservation) and evaluated messages and products framed consistent with their personal regulatory focus.

다층모형을 활용한 개인, 가구, 지역차원에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ndividual, Household and Area-Level Characteristics using Multi-Level Models - Focusing on Public Housing in Seoul -)

  • 성진욱;남진
    • 국토계획
    • /
    • 제54권4호
    • /
    • pp.26-37
    • /
    • 2019
  •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wide range of housing welfare policies that citizens can experience in order to improve residents' the quality of life, as it emphasizes the balance of supply and management of public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three hierarchical levels of individual, household, and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individuals' quality-of-life satisfaction determin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but also by the various influencing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targets 1,736 households, 3,239 persons in 464 areas in Seou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t the level one, there wer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and housing area per person, recipient of basic living(-), period(-) and RIR (at the level two). At the level three, west-south region(-) and social mix affect the complex of public housing. In consideration of living infrastructure, the closer to public transportation, public facilities, and medical fac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public hous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public support needs to focus on individual household members, but there is a need for ways to link it with the complex and the region.

팀 의사결정에 대한 이원적 단계 모델 (A Dual-Level Model of Team Decision Making)

  • 강민철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37-59
    • /
    • 2004
  • Team decision making is a collective behavior that needs to be understood by considering properties belonging to team and individual member domains together. This paper introduces a conceptual model called "Dual-Level(DL)" model that describes a team decision-making process in terms of team level, member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team-level view explains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considering the team as a wholeand divides the process into three stages: Problem Conceptualization, Alternative Generation, and Selection. The member-level view describes what happens to individual members when they go through the group process and splits it into the five phases: Individual Cognitive Mapping, Problem Decomposition, Subproblem Session, Subproblem Integration, and Team Decision. The DL model work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ore team decision making by using a set of computational models of team design and team members. In practice, the conceptual framework is used to build a computational model of decision making team, called "Team-Soar."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관한 다수준 연구 (Social Work Practitioner's Job Performance - a Multi-Level Analysis -)

  • 조성우;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37-161
    • /
    • 2009
  • 사회복지행정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의 결정요인으로서 주로 종사자의 지식, 기술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큰 관심을 가져왔지만, 점차 조직 환경 이론의 연구관점이 사회복지행정 연구에 활발히 도입되면서 개인의 수행연구에서도 개인차 변인이외에도, 팀수준이나 조직수준의 변인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추세를 반영하며,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팀, 조직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인변인으로는 지식, 기술, 만족, 성격, 비생산적 행동이 투입되었고, 팀이나 조직수준의 변인으로는 상황적 제약, 조직공정성, 직무특성, 정부의존성, 조직간 협력이 투입되었다. 전국 23개 사회복지조직에서 활동하는 314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직무수행(과업수행, 맥락수행)에 개인차 변인, 팀 변인, 조직변인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