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genous malari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4초

자매에서 발생한 한국 토착형 소아 말라리아 2례 (Two Cases of Re-emerging Indigenous Malaria in Korean Children)

  • 곽영호;최승은;나송이;이환종;채종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88-292
    • /
    • 1997
  • Malaria is a febrile disease caused by protozoan parasites, genus Plasmodium. In Korea., indigenous malaria has been believed to be eradicated by 1984, and, thereafter, all of the reported cases were imported malaria. But since the first case report of re-emerging indigenous malaria in 1993, increasing number of cases were reported reaching more than 350 cases in 1996. However, indigenous malaria in children has not been reported yet. We experienced two cases of indigenous malaria in sisters who were 7 and 5 years old, respectively. Elder sister was presented with periodic fever, splenomegaly and mild headache. She had been to Guam before 4 months of the onset of symptoms. Younger sister was suffered from fever and splenomegaly and has not been abroad. They were diagnosed by examination of peripheral blood smear to be infected with Plasmodium vivax and were treated with hydroxychloroquine and primaquine successfully. These cases are believed to be first re-emerging cases of indigenous malaria in children, and malari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unexplained febrile children.

  • PDF

소아에 발생한 삼일열 말라리아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Features of Indigenous Vivax Malaria in Children)

  • 이은진;이종국;조종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00-207
    • /
    • 2003
  • 목 적 : 말라리아는 국내에서 1970년대 말에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93년 비무장지대에 근무하던 군인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00년에는 4,142명, 2001년에는 2,556명, 2002년에는 1,797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보고되었다. 1999년부터는 민간인의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고, 토착형 말라리아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에 존재하는 매개숙주(중국 얼룩날개 모기)에 의해 주민간에 전파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저자들은 말초혈액 도말 검사 및 말라리아 항체 검사에서 말라리아로 확진된 소아 환자 13명을 조사하여 역학적 분석 및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일산백병원에 내원한 소아 환자 중 말초혈액 도말 검사 및 말라리아 항체 검사로 확진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 13명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3례 모두 토착형 말라리아 감염이었고, 원인 원충은 삼일열 말라리아(Plasmodium vivax)였다. 13례 중 남아와 여아의 비율은 9 : 4이었고, 발병 당시 평균 연령은 $9.5{\pm}3.6$세였다. 지역별로는 13례 중 9례가 일산 시내였으며, 11례의 발병 시기가 6~8월로 여름에 주로 발생했다. 13례 중 2례만이 3일 주기의 발작적인 발열을 보였고 나머지 11례는 지속적인 발열 및 불규칙한 발열 양상을 보였다. 혈소판 감소증은 가장 두드러진 소견으로 13례 중 12례에서 동반되었으며, 3례에서는 범혈구 감소증을 보였다. 신생아를 제외한 12례에서 hydroxychloroquine과 primaquine을 투약했고, 이후 시행한 혈액 도말 검사상 더 이상의 원충은 발견되지 않았고 혈액학적 이상 소견 역시 호전되었다. 결 론 : 저자들이 경험한 소아 말라리아 환아는 모두 Plasmodium vivax에 의해 발병되고 일부 환아는 유행외 지역에서 발병된 것으로 보아 이 원충에 의한 토착화의 확산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전형적 삼일열 말라리아의 발열 양상이 없다하여도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동반된 발열 환아에서 이 질환을 의심하여야 하며 말라리아 항체 검사가 선별 검사로 유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경기북부지역의 말라리아에 관한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y of Malaria Outbreak in the Northern-part of Kyonggi-do)

  • 박용배;홍해근;방선재;임준래;문혜경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1호
    • /
    • pp.46-53
    • /
    • 2000
  • Korea has been free of malaria since the mid-1970s. Since the first malaria case was reported in 1993, the incidence of indigenous malaria has increased yearly, In this study, we planned to understand of malaria outbreak in the northern part of kyonggido. The subjects were a civilians except korean soldiers in the northern part of Kyonggido and the number of civilian malaria cases was 254 in 1997, 677 in 1998, 772 in 1999. The collected rates of Anopheles sinenis in 11 county from May to October were 10.1% to 85.1% and the monthly collected rates at June was highest. The incidence of malaria antibody according to the county was 5.4% in Paju-shi Tanhyun-myun 4.9% in Kapyong-gun Ha-myun, 3.0% in Yonchon-gun Yonchon-eup. etc. At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civilian cases and No. of A. sinenis, envionmental factor were showed high association.

  • PDF

2세 남아에서 발생한 토착형 삼일열 말라리아 1례 (A 2 years-old Male with Malaria)

  • 정수진;양윤정;김순기;홍영진;손병관;조병원;정문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93-297
    • /
    • 1997
  • Malaria, caused by any of four species of protozoan parasites of the genus Plasmodium, is charaterized by high fever, anemia and splenomegaly. Although malaria is a cause of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in Korea indigenous malaria has been believed to be eradicated by 1984. However, since the case report of native malaria in 1993, reported cases have been increased annually, reaching more than 300 cases in 1996. We experienced a 2 years-old male with fever, severe anemia and splenomegaly who resided in Inchon city. He had the history of travelling to the area (Yunchon) near western Demilitarized Zone for 1 month this summer. After more than 2 weeks without special attention, he was presented with pallor, anemia and splenomegaly. He was diagnosed to have malaria by Plasmodium vivax with the help of peripheral blood smears which showed various forms of malaria, i.e., ring form, trophozoites, shizonts and gametocytes. He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hydroxychloroquine and primaquine.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PDF

외국 여행 경력이 없는 남자 환자에서 발병한 삼일열 말라리아 1예 (Occurrence of tertian malaria in a male patient who has never been abroad)

  • 채인호;임건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95-200
    • /
    • 1994
  •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매년 1억 이상의 환자를 발생시키며 그 중 약 100만 명씩을 사망케 하고 있는 무서운 원충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는 과거에 삼일열 말라리아 (tefilnmuwia)의 유행이 있었으나 1970년대 말 이후부터는 토착적 환자 발생 보고가 없어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저자 등은 해외 여행 경력이 없는 환자 1명에서 삼일열원충 (Plasmodium vivax) 감염을 확일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23세 남자인 국군 병사로서 1993년 7월 중순부터 18일 동안 격일로 매회 4-8시간씩 계속되는 발열과 오한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경남 창원시에 거주하였고 1992년 6월 군에 입대한 후에는 경기도 파주군의 한 야전군 부대에 근무해 왔으나 외국에 나간 일은 전혀 없다고 하였다. 과거력상 수혈을 받거나 정맥주사를 맞은 일도 없다고 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도말 표본에서는 삼일열원충의 ring form, trophozoite, schizont 및 gametocyte가 검출되었고, 약간의 적혈구 감소와 혈소판 감소가 관찰되었다 확진 후 hydroxychloroquine과 primaquine을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적 혈액 도말검사에서는 말라리아 원충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 증례가 우리 나라 토착적 말라리아의 재유행에 의한 것인지, 도입성 (introduced) 말라리아의 국내 정착에 의한 2차 감염 환자인지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으나. 어쨌든 말라리아가 다시 유행할 가능성 에 대해서는 커다란 관심을 기울여 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해외유입 기생충 감염질환 (Imported Parasitic Diseases)

  • 민득영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04
  • Recently, peoples of travelling to endemic area of parasitit diseases are rapidly increased and the imported parasitic diseases by tourists have become a public health problem. Here author describess briefly about the imported parasitic in Korea. The 15 kinds of parasitic diseases, I.e., malaria, babesiosis, cutaneous leishmaniasis, visceral leishmaniasis, ancylostomiasis, cutaneous larva migrans, angiostrongylosis, gnathostomiasis,loiasis, heterophyiasis, urinary schistosomiasis, hydatis disease, pentastomiasis, cutaneous myiasis and syngamosis were imported during last thirty years. The most prevalent imported parasitic disease was malaria. Indigenous vivax malaria has been eradicated since 1970s. However imported malaria(1970~1985) was reported 107 cases of patient with a history of travel abroad. Futhermore a case of reemerging vivax malaria was patient were occurred in 2000.These parasitic disease are sometimes overlooked or misdiagnosed. There is a need to concern about travel medicine and imported parasitic diseases.

  • PDF

경기지역 소아에서 발생된 삼일열 말라리아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Indigenous Vivax Malaria in Children in Kyonggi-do Province Area)

  • 김종호;이윤경;김종현;허재균;장기영;강혜련;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18-224
    • /
    • 2000
  • 목 적 : 1970년대 이후 약 20년간 발생이 없었던 삼일열 말라리아가 1993년부터 발생되어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어 과거와 같은 토착화에 대한 우려가 높다. 국내에서 말라리아의 토착화를 막기 위하여는 현재 발생되는 말라리아 대한 역학 및 임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제일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성인에 비해 발생율은 낮으나 소아에서도 환자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어 소아에서도 동일한 관점에서 역학 및 임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인 경기지역의 소아에 발생된 말라리아의 역학 연구를 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 및 국공립 의료기관에서 말초 혈액도말 검사상 말라리아로 진단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 연령 및 성별, 발생 시기, 발생 지역, 발생 역학적 배경, 발열의 양상, 동반 증상, 진찰상 특이 소견, 일반검사 소견, 말초혈액 도말검사 소견, 치료와 연관된 사항 및 예후에 관한 내용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수는 총 21명으로서 남녀비는 2:1이었고 5세 이하에서도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되었으나 11세 이상 15세 이하의 연령에서제일 많이 발생(14명;66.7%)되었다. 발생시기는 2월, 5,월, 6월, 10월에 각 1명씩 발생하였고 4월, 9월에 각 2명이 그리고 8월에 4명, 7월에 9명이 발생되었다. 환아가 발생된 동일 거주지역과 가족내에서 성인 환자 발생이 있었고, 지역적으로 파주, 의정부, 부평, 연천, 동두천, 포천, 철원, 부천의 순으로 다발생하였다. 임상적으로 발열의 양상은 48시간 간격의 주기성 발열이 15명, 24시간 간격의 주기성 발열이 4명, 비주기성 발열이 2명에서 보였고 발열외에 두통, 구토, 식욕부진, 오심, 오한, 권태감,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었다. 진찰 소견상 비장비대가 제일 흔히 발현되었고, 검사 소견상 빈혈, 혈소판 감소증, 비정상 간기능, 백혈구 감소, 혈뇨의 순으로 이상 소견이 나타났다. 말초혈액 도말검사에서 Plasmodium vivax의 원충 단계는 young trophozite, gametocyte, schizont순으로 확인되었다. 전 예에서 chlorquine 약제의 치료반응이 좋았고 합병증이 없었으며 추적 가능한 8례에서도 재발은 없었다. 결 론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 사이에 경기지역 소아에서 발생된 말라리아는 경기 북부지역의 10세 이상 고연령 소아에서 주로 하계절에 발생되며, 주기성 발열이 임상적으로 주된 증상이며 진찰상 비장비대가 주된 양성 소견이었으며 말초 혈액 도말검사상 young trphozoite가 제일 많이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소아 환자에서의 치료 약제 반응은 좋고 합병증이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며 재발도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서울 시내 소아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1례 (A Case of Malaria Occurred in Child Living in Seoul)

  • 신선희;오필수;김영준;김미란;최하주;윤혜선;박민정;김현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82-287
    • /
    • 1997
  • Malaria due to Plasmodium vivax had been known as an indigenous protozoan disease in Korea. However, massive use of insecticides and improvement of sanitation for several decades have led to rapid reduction of malaria incidence, then it was recognized to have been almost eradicated in recent years. However in 1993, one case was reported in Phajoo, Kyungki-do, and then, reported cases have been increasing annually. Recently we encountered one case of malaria in a 3 year old male child living in Dorim-dong, Seoul, who had never been abroad and had no history of transfusion, drug abuse, and travel to endemic area in Korea. He had characteristic fever, chill and splenomegaly and was confirmed as Plasmodium vivax malaria with peripheral blood smear finding.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hydroxy chloroquine and primaquine.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PDF

Characteristics of Imported Malaria and Species of Plasmodium Involv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2012-2014)

  • Xu, Chao;Wei, Qing-Kuan;Li, Jin;Xiao, Ting;Yin, Kun;Zhao, Chang-Lei;Wang, Yong-Bin;Kong, Xiang-Li;Zhao, Gui-Hua;Sun, Hui;Liu, Xin;Huang, Bing-Che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407-414
    • /
    • 2016
  • Malaria remain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alaria prevalence situation in the province. In this study, data of malaria cases reported in Shandong during 2012-2014 were analyzed, and Plasmodium species were confirmed by smear microscopy and nested-PCR. A total of 374 malaria cases were reported, 80.8% of which were reported from 6 prefectures. Of all cases, P. falciparum was dominant (81.3%), followed by P. vivax (11.8%); P. ovale and P. malariae together accounted for 6.4% of cases. Notably, for the first time since 2012, no indigenous case had been reported in Shandong Province, a situation that continued through 2014. Total 95.2% of cases were imported from Africa. The ratio of male/female was 92.5:1, and 96.8% of cases occurred in people 20-54 years of age. Farmers or laborers represented 77.5% of cases. No significant trends of monthly pattern were found in the reported cases. All patients were in good condition after treatment, except for 3 who di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ported malari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2 in Shandong Province, especially for P. falciparum, and there is an emergence of species diversity.

A Case of Vivax Malaria Complicated by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Successful Management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Lee, Hyun-Jung;Baek, Ji-Hyeon;Chae, Myoung-Hun;Joo, Hoyeon;Lee, Jin-Soo;Chung, Moon-Hyun;Park, Yun-Kyu;Kim, Joung-Tea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51-555
    • /
    • 2013
  • Complicated malaria is mainly caused by Plasmodium falciparum, but, increasingly, Plasmodium vivax is also being reported as a cause. Since the reemergence of indigenous vivax malaria in 1993, cases of severe malaria have been steadily reported in Korea. Herein, we report a case of vivax malaria complicated by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that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 59-year-old man presented at our hospital with fever and abdominal pain, which had persisted for 10 days. On admission, the patient had impaired consciousness, shock, hypoxia and haziness in both lungs, jaundice, thrombocytopenia an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metabolic acidosis, and acute kidney injury. A peripheral blood smear and a rapid diagnostic test verified P. vivax mono-infection. Ten hours after admission, hypoxia became more severe, despite providing maximal ventilatory support. The administration of antimalarial agents, ECMO, and 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resulted in an improvement of his vital signs and laboratory findings. He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7 weeks later, without any sequelae.